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初等學校 倂設 幼稚園의 建築施設利用實態에 관한 硏究 : 光州廣域市의 초등학생 過疎地域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tilizing classroom facilities by the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 : focusing on the depopulation area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675808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건축공학과 , 1997. 2

      • 발행연도

        199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13.75 판사항(4)

      • DDC

        727.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x, 88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71-72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도서관(상주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사대상지인 광주시는 80년대 8개원에 지나지 않았던 병설유치원이 90년대들어 21개원으로 설립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은 첫째, 처음부터 유치원+초등학교의 개념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라 이미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던 유휴교실에 유치원 시설을 수용하고 둘째, 교육방법이 다른 초등학교와 유치원이 동일한 교지내에서 같은 시설을 이용함으로해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시에 위치한 21개원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사 내에 위치한 유치원의 시설현황 및 실내구성을 살펴보고, 이 중 교육환경이 다른 3개 유치원을 선정하여 유아의 공간이용실태를 조사·분석하므로서 도시내 과소지역에 계속 증설될 병설유치원계획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 것으로 먼저 조사내용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원의 조직체계는 초등학교 교장 겸임 원장, 초등학교 교감겸임 원감, 유치원 교사, 원아로 이루어져 있고 구비시설은 실내부분으로 일반교실, 유희실, 자료실, 교사실, 화장실등이 있고 실외부분으로 유원장이 있다. 초등학교와 공용하고 있는 시설은 자료실(1개원), 화장실(15개원), 양호실(21개원), 식당(2개원), 강당(21개원), 유원장(19개원) 등이고, 그외 일반교실, 유희실, 교사실과 같이 유아교육에 관여하는 공간은 독립된 실을 보유하고 있다.
      2) 조사대상 병설유치원을 원사의 배치에 따라 분류해보면 원사독립형(14개원), 한층전체형(6개원), 한층일부형(1개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학자들의 제안을 토대로 대체로 1인당 필요 면적을 3㎡내외로 보면 학급당 원아수 30인으로 할 때 학급교실의 면적은 90㎡내외가 필요하다. 그러나 조사대상원의 일반교실의 규모는 55∼70㎡미만인경우가 15개원으로 가장 많았고, 70∼85㎡미만인 경우가 5개원, 85㎡ 이상이 1개원으로 나타나 이상적인 교육을 위한 면적확보에는 크게 부족함을 알 수 있다.
      4) 조사대상 유치원의 일반교실은 자유놀이를 위한 흥미영역과 일제학습을 위한 대그룹영역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설립당시 유치원 전용관리실이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일반교내에서 관리제기능이 이루어지고 있다.
      5) 조사대상 유치원중 유희실을 구비하고 있는 원은 9개원으로 유휴교실의 여유가 있는 유치원에서 구비하고 있는데 유희실의 이용은 놀이기구 및 운동기구를 설치하여 자유놀이시간이나 단체활동시간에 이용하게 되는데 그 외에도 유치원 운영에 필요한 관리제기능이 이루어지고 있다.
      6) 조사대상 유치원의 화장실중 실내에 위치해 있는 원이 9개원, 室外에 位置한 圈이 12개원이고 幼稚園전용이 구비되어 있는 園이 5개원, 그 외의 園은 初等學生들과 化粧室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化粧室 便器의 크기는 幼兒의 인체치수에 맞는 便器를 구비한 園이 2개원, 그 외는 初等學校 化粧室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調査對象 幼稚園에서 園舍內에 洗面臺를 設置한 경우는 6개원으로 그 외는 初等學生의 洗面臺를 共用하고 있다.
      7) 일반교실의 시설을 살펴보면 창문은 1개원을 제외하고는 창대높이가 90cm로 유아가 볼 수 있는 최고높이인 81.3cm보다 높고 유아들이 이용하는 문은 180×100cm의 구조로 유아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합리한 구조이다. 또 마루와 벽은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것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8) 조사대상원중 전용유원장을 구비하고 있는 원은 2개원, 그중 유원장에서 놀이가 이루어지는 원은 1개원이다.
      9) 조사대상원의 일과구성은 반일제프로그램으로 자유학습과 일제학습 위주로 구성되어 있고 교사의 지도계획에 따라서 원아의 요구와 흥미에 따라 항상 일률적이라기 보다는 다소 융통성을 지니고 이루어지고 있다.
      10) 園內에서 園兒들의 生活內容은 교육방침이나 시설의 환경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병설유치원의 경우 일제학습은 일반교실의 대그룹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자유학습은 일반교실의 흥미영역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중흥은 2층내에서, 오정은 일반교실내에서, 양동은 원사주변까지로 자유롭게 행해지고 용변은 실내에 있는 중흥과 양동은 학습행위의 전환시 교사가 용변을 지도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정해진 시간에 행해지기보다는 유아들이 필요시 개인적으로 화장실을 다녀오나 실외에 위치한 양동은 교사의 지도아래 삼삼오오 짝을 지어 이용하고 있다.
      이상 앞의 내용을 통하여 초등학교 유휴교실을 사용하고 있는 병설유치원의 시설현황 및 공간이용실태를 살펴보았다. 앞에서 밝혀진 사항에 대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원사가 초등학교 교지내 어디에 위치하는가는 유아들의 자유놀이시 큰 영향을 미친다. 유치원 교실이 초등학교 교사내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유치원의 실내소음 등으로 인하여 유치원에 인접해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 적지 않은 지장을 주고 유아들의 자유로운 생활도 통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사는 초등학생들과 분리된 동선을 가질 수 있는 독립형이나 한층전체형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2) 유치원 교실은 대부분 초등학교의 유휴교실을 사용하고 있는데 교실의 면적이 동적인 놀이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는 면적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조사대상원은 교육부분으로는 일반교실과 유희실, 유원장은 구비되어있으나 교사실(1개원), 자료실(2개원), 조리실(1개원)등과 같은 유치원운영에 필요한 관리제실을 구비한 원이 거의 없다.
      따라서 유아학습공간과 관리공간이 일반교실에 공존하고 있어 유아교육에 영향을 주므로 병설유치원 설립시 교육부분을 위한 실과 함께 독립된 관리제실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 유치원이 기존의 초등학교 시설들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유아들의 보호와 활동의 자유로움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변기의 규격, 세면대 시설규격, 창문의 높이와 문구조와같은 유아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을 유아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비한 원이 화장실은 2개원, 세면대는 10개원, 창문의 높이는 1개원으로 나타나 유아교육시설에 관한 최소한의 고려도 하고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의 교육시설에 관한 세부사항에 대해 별도의 시설·설비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5) 조사대상 유치원 중 초등학교 운동장을 공용하고 있는 원이 19개원이다. 유치원 교실과 초등학교의 놀이터가 먼 경우에는 교사의 지도에 문제가 따르고 놀이기구 이용시에는 초등학생과의 마찰이 우려되어 병설유치원의 경우 실내학습위주로 일과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병설유치원 설립시 초등학교와의 관계를 고려한 전용유원장을 유치원 교실에서 인접한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전용유원장은 햇빛이 잘 드는 남쪽에 위치시키고, 초등학생과 동선이 중복되지 않고 소음이 잘 전달되지 않은 곳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상과 같이 광주시 동·서·남·북구에 위치한 초등학교병설 유치원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정리해 보았는데 앞으로 이 부분에 관한 더욱더 자세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조사대상지인 광주시는 80년대 8개원에 지나지 않았던 병설유치원이 90년대들어 21개원으로 설립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은 첫째, 처음부터 유치원+초등학교...

      조사대상지인 광주시는 80년대 8개원에 지나지 않았던 병설유치원이 90년대들어 21개원으로 설립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은 첫째, 처음부터 유치원+초등학교의 개념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라 이미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던 유휴교실에 유치원 시설을 수용하고 둘째, 교육방법이 다른 초등학교와 유치원이 동일한 교지내에서 같은 시설을 이용함으로해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시에 위치한 21개원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사 내에 위치한 유치원의 시설현황 및 실내구성을 살펴보고, 이 중 교육환경이 다른 3개 유치원을 선정하여 유아의 공간이용실태를 조사·분석하므로서 도시내 과소지역에 계속 증설될 병설유치원계획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 것으로 먼저 조사내용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원의 조직체계는 초등학교 교장 겸임 원장, 초등학교 교감겸임 원감, 유치원 교사, 원아로 이루어져 있고 구비시설은 실내부분으로 일반교실, 유희실, 자료실, 교사실, 화장실등이 있고 실외부분으로 유원장이 있다. 초등학교와 공용하고 있는 시설은 자료실(1개원), 화장실(15개원), 양호실(21개원), 식당(2개원), 강당(21개원), 유원장(19개원) 등이고, 그외 일반교실, 유희실, 교사실과 같이 유아교육에 관여하는 공간은 독립된 실을 보유하고 있다.
      2) 조사대상 병설유치원을 원사의 배치에 따라 분류해보면 원사독립형(14개원), 한층전체형(6개원), 한층일부형(1개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학자들의 제안을 토대로 대체로 1인당 필요 면적을 3㎡내외로 보면 학급당 원아수 30인으로 할 때 학급교실의 면적은 90㎡내외가 필요하다. 그러나 조사대상원의 일반교실의 규모는 55∼70㎡미만인경우가 15개원으로 가장 많았고, 70∼85㎡미만인 경우가 5개원, 85㎡ 이상이 1개원으로 나타나 이상적인 교육을 위한 면적확보에는 크게 부족함을 알 수 있다.
      4) 조사대상 유치원의 일반교실은 자유놀이를 위한 흥미영역과 일제학습을 위한 대그룹영역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설립당시 유치원 전용관리실이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일반교내에서 관리제기능이 이루어지고 있다.
      5) 조사대상 유치원중 유희실을 구비하고 있는 원은 9개원으로 유휴교실의 여유가 있는 유치원에서 구비하고 있는데 유희실의 이용은 놀이기구 및 운동기구를 설치하여 자유놀이시간이나 단체활동시간에 이용하게 되는데 그 외에도 유치원 운영에 필요한 관리제기능이 이루어지고 있다.
      6) 조사대상 유치원의 화장실중 실내에 위치해 있는 원이 9개원, 室外에 位置한 圈이 12개원이고 幼稚園전용이 구비되어 있는 園이 5개원, 그 외의 園은 初等學生들과 化粧室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化粧室 便器의 크기는 幼兒의 인체치수에 맞는 便器를 구비한 園이 2개원, 그 외는 初等學校 化粧室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調査對象 幼稚園에서 園舍內에 洗面臺를 設置한 경우는 6개원으로 그 외는 初等學生의 洗面臺를 共用하고 있다.
      7) 일반교실의 시설을 살펴보면 창문은 1개원을 제외하고는 창대높이가 90cm로 유아가 볼 수 있는 최고높이인 81.3cm보다 높고 유아들이 이용하는 문은 180×100cm의 구조로 유아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합리한 구조이다. 또 마루와 벽은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것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8) 조사대상원중 전용유원장을 구비하고 있는 원은 2개원, 그중 유원장에서 놀이가 이루어지는 원은 1개원이다.
      9) 조사대상원의 일과구성은 반일제프로그램으로 자유학습과 일제학습 위주로 구성되어 있고 교사의 지도계획에 따라서 원아의 요구와 흥미에 따라 항상 일률적이라기 보다는 다소 융통성을 지니고 이루어지고 있다.
      10) 園內에서 園兒들의 生活內容은 교육방침이나 시설의 환경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병설유치원의 경우 일제학습은 일반교실의 대그룹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자유학습은 일반교실의 흥미영역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중흥은 2층내에서, 오정은 일반교실내에서, 양동은 원사주변까지로 자유롭게 행해지고 용변은 실내에 있는 중흥과 양동은 학습행위의 전환시 교사가 용변을 지도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정해진 시간에 행해지기보다는 유아들이 필요시 개인적으로 화장실을 다녀오나 실외에 위치한 양동은 교사의 지도아래 삼삼오오 짝을 지어 이용하고 있다.
      이상 앞의 내용을 통하여 초등학교 유휴교실을 사용하고 있는 병설유치원의 시설현황 및 공간이용실태를 살펴보았다. 앞에서 밝혀진 사항에 대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원사가 초등학교 교지내 어디에 위치하는가는 유아들의 자유놀이시 큰 영향을 미친다. 유치원 교실이 초등학교 교사내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유치원의 실내소음 등으로 인하여 유치원에 인접해 있는 초등학교 교실에 적지 않은 지장을 주고 유아들의 자유로운 생활도 통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사는 초등학생들과 분리된 동선을 가질 수 있는 독립형이나 한층전체형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2) 유치원 교실은 대부분 초등학교의 유휴교실을 사용하고 있는데 교실의 면적이 동적인 놀이공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는 면적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3) 조사대상원은 교육부분으로는 일반교실과 유희실, 유원장은 구비되어있으나 교사실(1개원), 자료실(2개원), 조리실(1개원)등과 같은 유치원운영에 필요한 관리제실을 구비한 원이 거의 없다.
      따라서 유아학습공간과 관리공간이 일반교실에 공존하고 있어 유아교육에 영향을 주므로 병설유치원 설립시 교육부분을 위한 실과 함께 독립된 관리제실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 유치원이 기존의 초등학교 시설들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유아들의 보호와 활동의 자유로움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변기의 규격, 세면대 시설규격, 창문의 높이와 문구조와같은 유아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을 유아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비한 원이 화장실은 2개원, 세면대는 10개원, 창문의 높이는 1개원으로 나타나 유아교육시설에 관한 최소한의 고려도 하고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의 교육시설에 관한 세부사항에 대해 별도의 시설·설비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5) 조사대상 유치원 중 초등학교 운동장을 공용하고 있는 원이 19개원이다. 유치원 교실과 초등학교의 놀이터가 먼 경우에는 교사의 지도에 문제가 따르고 놀이기구 이용시에는 초등학생과의 마찰이 우려되어 병설유치원의 경우 실내학습위주로 일과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병설유치원 설립시 초등학교와의 관계를 고려한 전용유원장을 유치원 교실에서 인접한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전용유원장은 햇빛이 잘 드는 남쪽에 위치시키고, 초등학생과 동선이 중복되지 않고 소음이 잘 전달되지 않은 곳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상과 같이 광주시 동·서·남·북구에 위치한 초등학교병설 유치원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정리해 보았는데 앞으로 이 부분에 관한 더욱더 자세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1980s, there were only 8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the area surveyed in this study. The number has increased to 21 in the 1990s, and continues to grow. Many problems have appeared because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are located on the same school complex and share the same facilities with the elementary school, where a different style of teaching is used.
      This study investigates current building facilities and interior compositions of the 21 kindergartens which are located within elementary school complexes. Also, 3 kindergartens with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been selected for study and analysis of their usage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nd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 which are increasing in depopulation areas of metropolitan cities.
      1) The kindergartens surveyed in this study share a material room, restroom (15 kindergartens), school infirmary (21 kindergartens), cafeteria (2 kindergarten), auditorium (2 kindergartens), and a play room (19 kindergartens) with elementary schools. They maintain kindergarten facilities such as a regular classroom, a playroom, and teachers' room in independent spaces.
      2) The surveyed affiliated kindergartens can be classified into 3 types according to location: an independent building, a whole floor, and a part of a floor. The most common is a part of a floor type (14 kindergartens), but this type of set up significantly interferes elementary school classes which are located right next to them. Affiliated kindergarten classes are also restricted by limiting children's fre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lacing a kindergarten in a separate building or on a separate floor, so that classes and other activities of bot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ould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3) Most kindergartens use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s their regular classroom. In terms of the classroom size, the condition of affiliated kindergartens is not bad considering the numbers of both classrooms and kindergarten students.
      4) Most classrooms used by the surveyed kindergartens are regular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Special kindergarten facility areas like those used for snack preparation, teaching material storage, and the space for receiving guests are all placed in one classroom. Since special facility areas could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education, independent spaces for these areas should be established in separate areas such as in a renovated corridor area or in an annexed room.
      5) When a kindergarten uses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y,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safety of children and consider the sizes of the toilet and sink, the height of windows, and other facilities that are designed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However, there are only 2 kindergartens equipped with a restroom designed for kindergarten children, 10 kindergartens with a special sink, and only 1 kindergarten with windows designed for this purpose. These examples show such considerations are applied minimally. A separate facility and establishment of standards exclusively for kindergarten facilities are necessary.
      6) A kindergarten playroom should face south in order to receive a maximum amount of sunlight. It also needs to be placed in an independent, noise-free space outside the area frequent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the same school complex.
      번역하기

      In the 1980s, there were only 8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the area surveyed in this study. The number has increased to 21 in the 1990s, and continues to grow. Many problems have appeared because school-af...

      In the 1980s, there were only 8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in Kwangju metropolitan city, the area surveyed in this study. The number has increased to 21 in the 1990s, and continues to grow. Many problems have appeared because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are located on the same school complex and share the same facilities with the elementary school, where a different style of teaching is used.
      This study investigates current building facilities and interior compositions of the 21 kindergartens which are located within elementary school complexes. Also, 3 kindergartens with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been selected for study and analysis of their usage of elementary school buildings and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 which are increasing in depopulation areas of metropolitan cities.
      1) The kindergartens surveyed in this study share a material room, restroom (15 kindergartens), school infirmary (21 kindergartens), cafeteria (2 kindergarten), auditorium (2 kindergartens), and a play room (19 kindergartens) with elementary schools. They maintain kindergarten facilities such as a regular classroom, a playroom, and teachers' room in independent spaces.
      2) The surveyed affiliated kindergartens can be classified into 3 types according to location: an independent building, a whole floor, and a part of a floor. The most common is a part of a floor type (14 kindergartens), but this type of set up significantly interferes elementary school classes which are located right next to them. Affiliated kindergarten classes are also restricted by limiting children's fre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lacing a kindergarten in a separate building or on a separate floor, so that classes and other activities of bot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ould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3) Most kindergartens use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s their regular classroom. In terms of the classroom size, the condition of affiliated kindergartens is not bad considering the numbers of both classrooms and kindergarten students.
      4) Most classrooms used by the surveyed kindergartens are regular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Special kindergarten facility areas like those used for snack preparation, teaching material storage, and the space for receiving guests are all placed in one classroom. Since special facility areas could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education, independent spaces for these areas should be established in separate areas such as in a renovated corridor area or in an annexed room.
      5) When a kindergarten uses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y,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safety of children and consider the sizes of the toilet and sink, the height of windows, and other facilities that are designed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However, there are only 2 kindergartens equipped with a restroom designed for kindergarten children, 10 kindergartens with a special sink, and only 1 kindergarten with windows designed for this purpose. These examples show such considerations are applied minimally. A separate facility and establishment of standards exclusively for kindergarten facilities are necessary.
      6) A kindergarten playroom should face south in order to receive a maximum amount of sunlight. It also needs to be placed in an independent, noise-free space outside the area frequent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the same school comple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i
      • 表目次 = iii
      • 그림 目次 = v
      • 寫眞 目次 = vi
      • (초록) = vii
      • 目次 = i
      • 表目次 = iii
      • 그림 目次 = v
      • 寫眞 目次 = vi
      • (초록) = vii
      • 1. 序論 = 1
      • 1.1 硏究의 目的 및 意義 = 1
      • 1.2 硏究의 範圍 및 方法 = 2
      • 2. 倂設幼稚園의 豫備考察 = 4
      • 2.1 幼兒敎育의 公敎育化 = 4
      • 2.2 幼稚園의 敎育 = 13
      • 2.3 初等學校倂設 幼稚園의 施設基準 = 16
      • 3. 倂設幼稚園의 施設現況調査分析 = 19
      • 3.1 調査槪要 = 19
      • 3.2 질문조사 = 20
      • 3.3 調査結果分析 = 21
      • 4. 調査對象의 空間利用現況 = 50
      • 4.1 調査槪要 = 50
      • 4.2 幼稚園의 日課構成 = 59
      • 4.3 日課構成을 통한 空間利用 = 60
      • 5. 結論 = 67
      • 參考文獻 = 71
      • (ABSTRACT) = 73
      • 附錄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