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 A Study on the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of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대구와 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대구와 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하고 산업은 자동차부품산업을 별도로 구분하기 위해 161개 산업소분류에서 운송장비부문인 92부문에서 98부문을 도출하고, 30개 산업대분류와 통합하여 전체 산업을 35개 산업으로 분류한 후 재추정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와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낮고, 여러가지 산업연관효과도 비교적 낮았다. 다만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상대적으로 다소 높았다. 대구와 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을 외생화하여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를 계산하면,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기타권, 동남권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지만, 대구와 경북지역 간에는 효과가 상당히 낮았다. 산업별로는 두 지역 모두 1차 금속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화학제품, 자동차부품, 금속제품, 도·소매서비스업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쳐 자동차부품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들 산업의 발전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와 경북지역은 타 지역보다 크게 낮은 중간수요 비중을 높이고, 전방으로의 가치사슬체계를 강화하여 전방연관효과가 제고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역적으로는 대구과 경북지역간 보다는 수도권과 동남권, 기타권 등과의 연관효과가 높으므로 이들 지역과의 산업협력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among regions and industries in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2013.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ategorized into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among regions and industries in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2013.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ategorized into 5 regions consisting of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East-south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for the industries, in order to classify automobile parts industries, sections between 92 and 98 standing for transportation device parts among 161 small categories for the industries were derived, and they were integrated with 30 large categories for the industries. And then, the entire industries were reclassified into 35 indust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and Gyeongbuk were lower in intermediate input and intermediate demand, than other regions. In addition, they were lower in various input-output effects. However,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were relatively higher. When calculating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n other regions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on automobile parts industri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it had higher effects on the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ther regions, and East-South region while the effects between Daegu and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low. By industry, both the regions showed the highest effects on the primary metal products, and then chemical products, automobile parts, metal products, and wholesale and retail service industries followed in order. When the final demand of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region is increased by 10 units,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ver the entire Korea were 28.1527 units and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in Gyeongbuk region were 29.0928 units. Therefor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should make an effort to raise forward linkage effects by raising the share of their intermediate demands which is far lower than other regions, and strengthening forward value-chain system. For region, the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East-south region, and other regions are higher than that betwee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nd so the industrial collaborative relations with these regions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내용 검토
      • Ⅲ. 분석방법과 분석결과
      • Ⅳ.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내용 검토
      • Ⅲ. 분석방법과 분석결과
      • Ⅳ. 결론 및 시사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민수, "한중일 국가간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분석" 한국질서경제학회 16 (16): 197-217, 2013

      2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홈페이지"

      3 한지혜, "한·중·일 20개 지역의 산업구조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57-80, 2016

      4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홈페이지"

      5 윤갑식, "충청권지역의 산업간·지역간 연관구조 분석 : 충청권 MRIO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107-126, 2008

      6 조찬주, "충북의 자동차 전장부품산업 육성방안" 충북연구원 23 (23): 131-160, 2012

      7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2006

      8 이춘근, "지역간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231-249, 2008

      9 최수호,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가치사슬(GVC) 사례 분석: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73-84, 2016

      10 이덕배, "원주-충주간 자동차부품산업 공동발전 방안" 한국은행 강원본부⋅충북본부 1-58, 2013

      1 장민수, "한중일 국가간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분석" 한국질서경제학회 16 (16): 197-217, 2013

      2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홈페이지"

      3 한지혜, "한·중·일 20개 지역의 산업구조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57-80, 2016

      4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홈페이지"

      5 윤갑식, "충청권지역의 산업간·지역간 연관구조 분석 : 충청권 MRIO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0 (20): 107-126, 2008

      6 조찬주, "충북의 자동차 전장부품산업 육성방안" 충북연구원 23 (23): 131-160, 2012

      7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2006

      8 이춘근, "지역간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231-249, 2008

      9 최수호,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가치사슬(GVC) 사례 분석: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73-84, 2016

      10 이덕배, "원주-충주간 자동차부품산업 공동발전 방안" 한국은행 강원본부⋅충북본부 1-58, 2013

      11 박창귀, "우리나라 6대 광역 경제권역 간 산업연관관계" 국토연구원 55 (55): 115-136, 2007

      12 박진호, "대구경북 자동차부품산업의 문제점과 향후 발전방안"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1-15, 2016

      13 이춘근, "대구⋅경북지역간 산업연관모형의 개발과 분석" 대구경북개발연구원 2001

      14 통계청, "광업 및 제조업조사"

      15 이춘근,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16 (16): 49-67, 2017

      16 이춘근, "경북지역 주력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30 (30): 141-168, 2012

      17 Miller, R. E.,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Inc 2009

      18 한국은행,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민경제학회 -> 한국경제통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 The Korean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46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2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