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박정희 대통령의 문화정책 인식 연구 - 박정희 대통령의 연설문 분석을 중심으로 = Ex-president Park Chung-hee’s Awareness of the Cultural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7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imed at analyzing the ex-president Park Chung-hee’s awareness of the cultural policy. For this reason, the 48 speeches which had been conducted during the 15 years(1964-1979) were examined. The concept of cultur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economy, the objectives and measures of cultural policy were analyzed and discussed. As a result, the terms spiritual culture and national culture took priority over other culture related terms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field. In addition, the cultural policy had been perceived as the important tool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value of the spirit of self-help, self-dependence, frugality, cooperation and production were stressed in the cultural policy as a way of serving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culture and the arts conducive to cultivating these values were publicly subsidized.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imed at analyzing the ex-president Park Chung-hee’s awareness of the cultural policy. For this reason, the 48 speeches which had been conducted during the 15 years(1964-1979) were examined. The concept of culture, relationship betwe...

      This article is aimed at analyzing the ex-president Park Chung-hee’s awareness of the cultural policy. For this reason, the 48 speeches which had been conducted during the 15 years(1964-1979) were examined. The concept of cultur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economy, the objectives and measures of cultural policy were analyzed and discussed. As a result, the terms spiritual culture and national culture took priority over other culture related terms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field. In addition, the cultural policy had been perceived as the important tool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value of the spirit of self-help, self-dependence, frugality, cooperation and production were stressed in the cultural policy as a way of serving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culture and the arts conducive to cultivating these values were publicly subsidiz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박정희 대통령의 연설문(1963년 12월부터 1979년 3월까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문화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러한 인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문화정책 인식 분석은 문화의 개념과 특성, 문화와 경제의 관계, 문화정책의 목적과 수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문화정책과 박정희 체계의 정치경제적 맥락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박정희 대통령은 문화를 제2의 경제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었으며, ‘조국근대화’와 ‘경제발전’을 위한 이데올로기로 활용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희 대통령은 ‘정신문화’와 ‘민족문화’를 발전시켜 경제적 근대화에 필요한 국민정신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선택된 전통문화’, ‘건전한 문화예술과 대중문화’, ‘예술의 대중 및 문화의 생활화’, ‘민족문화의 주체성 확립’ 등이 강조되었다. 문화예술의 심미적, 예술적 가치보다는 정치적 가치가 더 중요하게 고려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박정희 대통령의 인식은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의 문화정책에 실제로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박정희 체계의 문화정책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박정희 대통령의 인식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박정희 대통령의 연설문(1963년 12월부터 1979년 3월까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문화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러한 인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

      이 연구는 박정희 대통령의 연설문(1963년 12월부터 1979년 3월까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문화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러한 인식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문화정책 인식 분석은 문화의 개념과 특성, 문화와 경제의 관계, 문화정책의 목적과 수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문화정책과 박정희 체계의 정치경제적 맥락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박정희 대통령은 문화를 제2의 경제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었으며, ‘조국근대화’와 ‘경제발전’을 위한 이데올로기로 활용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희 대통령은 ‘정신문화’와 ‘민족문화’를 발전시켜 경제적 근대화에 필요한 국민정신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선택된 전통문화’, ‘건전한 문화예술과 대중문화’, ‘예술의 대중 및 문화의 생활화’, ‘민족문화의 주체성 확립’ 등이 강조되었다. 문화예술의 심미적, 예술적 가치보다는 정치적 가치가 더 중요하게 고려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박정희 대통령의 인식은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의 문화정책에 실제로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박정희 체계의 문화정책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박정희 대통령의 인식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양렬, "한국의 문화행정체계 50년" 7 : 29-74, 1995

      2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한국의 문화정책"

      3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5년사" 1988

      4 문화예술진흥위원회, "제1차 문예중흥5개년계획: 사업실적(1974∼1978)" 1979

      5 이주연, "전통에 관한 담론 분석 : 문화 정책과 대통령 담화문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5

      6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이념에 관한 연구" 5 : 82-132, 1993

      7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9집(1972년 1월∼1972년 12월)" 1973

      8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8집(1971년 1월∼1910년 12월)" 1972

      9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7집(1970년 1월∼1970년 12월)" 1971

      10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6집(1969년 1월∼1969년 12월)" 1970

      1 오양렬, "한국의 문화행정체계 50년" 7 : 29-74, 1995

      2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한국의 문화정책"

      3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5년사" 1988

      4 문화예술진흥위원회, "제1차 문예중흥5개년계획: 사업실적(1974∼1978)" 1979

      5 이주연, "전통에 관한 담론 분석 : 문화 정책과 대통령 담화문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5

      6 정갑영,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이념에 관한 연구" 5 : 82-132, 1993

      7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9집(1972년 1월∼1972년 12월)" 1973

      8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8집(1971년 1월∼1910년 12월)" 1972

      9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7집(1970년 1월∼1970년 12월)" 1971

      10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6집(1969년 1월∼1969년 12월)" 1970

      11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5집(1968년 1월∼1968년 12월)" 1969

      12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4집(1967년 1월∼1967년 12월)" 1968

      13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3집(1966년 1월∼1966년 12월)" 1967

      14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2집(1965년 1월∼1965년 12월)" 1966

      15 대통령공보비서관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집(1963년 12월∼1964년 12월)" 1965

      16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6집(1979년 1월∼1979년 10월), 추도판" 1979

      17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5집(1978년 1월∼1978년 12월)" 1979

      18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4집(1977년 1월∼1977년 12월)" 1978

      19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3집(1976년 1월∼1976년 12월)" 1977

      20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2집(1975년 1월∼1975년 12월)" 1976

      21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1집(1974년 1월∼1974년 12월)" 1975

      22 대통령비서실,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0집(1973년 1월∼1973년 12월)" 1974

      23 전재호, "민족주의와 역사의 이용: 박정희 체제의 전통문화정책" 7 : 83-106, 1998

      24 정홍익, "문화행정연구: 개념틀과 분석" 25 (25): 229-245, 1992

      25 임학순,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역사적 분석" 9 : 95-119, 1998

      26 문화공보부, "문화공보 30년" 1979

      27 이영도, "기록을 통해서 본 70년대 ‘문예중흥5개년 계획’" 7 : 82-87, 2009

      28 Haksoon Yim,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Policy in South Korea" 8 (8): 37-48, 2002

      29 趙顯守, "70年代 韓國文化政策에 대한 硏究: 第一次 文藝中興 五個年計劃(1974~1978)을 中心으로" 中央大學校 社會開發大學院 1987

      30 정갑영, "21세기를 향한 우리나라 전통문화정책의 방향과 과제" 7 : 103-123, 1995

      31 하효숙, "1970년대 문화정책을 통해 본 근대성의 의미 : 문예중흥 5개 년 계획과 새마을 운동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KCI등재
      2021-04-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8 1.48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