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사민요 연행에 나타나는 서사 전개방식의 원리 = Principles of Narration used in the Performance of Narrative Folk Song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principles of narration used in the performance of narrative folk songs. Three major factors that generate variations in narrative songs have been explored; the narrator-singer's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s, the narrator-singer's perception of events, and the narrator-singer's adaptation to the performance circumsta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main characters are women who are in a position similar to the narrator-singer of the narrative songs. The narrator-singer becomes immersed in the main character, and distances herself from the antagonists of the narrative songs. In this case, narrative songs have a lyrical tendency. Second, the narrator-singer does not explain causes and effects in detail, but she unfolds stories dramatically, lingering on impressive events and leaping over unimportant ones. Lastly, the narrator-singer extends stories into long narrative songs with a mixture of various motifs, or she abstracts stories, turning them into short lyrical song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circumstances.
      The narrative songs have been transmitted and recreated with various narr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narrator-singer's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s, the narrator-singer's perception of events, and the narrator-singer's adaptation to the performance circumstances. The narrative songs have become the poetry of daily life through which ordinary women communicate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with each other.
      번역하기

      This paper investigates principles of narration used in the performance of narrative folk songs. Three major factors that generate variations in narrative songs have been explored; the narrator-singer's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s, the narrator-sin...

      This paper investigates principles of narration used in the performance of narrative folk songs. Three major factors that generate variations in narrative songs have been explored; the narrator-singer's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s, the narrator-singer's perception of events, and the narrator-singer's adaptation to the performance circumsta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main characters are women who are in a position similar to the narrator-singer of the narrative songs. The narrator-singer becomes immersed in the main character, and distances herself from the antagonists of the narrative songs. In this case, narrative songs have a lyrical tendency. Second, the narrator-singer does not explain causes and effects in detail, but she unfolds stories dramatically, lingering on impressive events and leaping over unimportant ones. Lastly, the narrator-singer extends stories into long narrative songs with a mixture of various motifs, or she abstracts stories, turning them into short lyrical song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circumstances.
      The narrative songs have been transmitted and recreated with various narr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narrator-singer's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s, the narrator-singer's perception of events, and the narrator-singer's adaptation to the performance circumstances. The narrative songs have become the poetry of daily life through which ordinary women communicate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with each ot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서사민요의 서술자-창자가 서사민요를 연행하는 데 적용하는 서사 전개방식의 원리를 발견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서사민요 연행에 나타나는 서사 전개의 원리를 세 가지 - 인물에 대한 태도, 사건에 대한 인식, 연행상황에의 적응 -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원리를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서사민요 대부분의 주인물은 서술자-창자와 비슷한 처지에 있는 여성으로, 서술자-창자는 이 여성의 입장과 시각에서 주인물에게 몰입하고 상대인물에게 거리를 두며 사건을 전개한다. 둘째, 서사민요의 서술자-창자는 서사의 전개 과정을 인과적으로 상세하게 서술하기보다, 충격적이고 인상적인 핵심사건을 중심으로 건너뛰기와 지연하기를 통해 극적으로 전개한다. 셋째, 서사민요의 서술자-창자는 연행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여러 서사 갈래의 모티프를 결합해 장편 서사로 확장하기도 하고, 서정적으로 압축해 단편적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처럼 서사민요는 서술자-창자의 노래 속 인물에 대한 태도, 사건에 대한 인식, 연행상황에 따라 서정적, 극적 경향을 띠며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창작, 전승되면서 이를 부르고 듣는 사람들 간의 경험과 감정을 소통하는 생활서사시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서사민요의 서술자-창자가 서사민요를 연행하는 데 적용하는 서사 전개방식의 원리를 발견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서사민요 연행에 나타나는 서사 전개의 원리를 세 ...

      이 연구는 서사민요의 서술자-창자가 서사민요를 연행하는 데 적용하는 서사 전개방식의 원리를 발견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서사민요 연행에 나타나는 서사 전개의 원리를 세 가지 - 인물에 대한 태도, 사건에 대한 인식, 연행상황에의 적응 -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원리를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서사민요 대부분의 주인물은 서술자-창자와 비슷한 처지에 있는 여성으로, 서술자-창자는 이 여성의 입장과 시각에서 주인물에게 몰입하고 상대인물에게 거리를 두며 사건을 전개한다. 둘째, 서사민요의 서술자-창자는 서사의 전개 과정을 인과적으로 상세하게 서술하기보다, 충격적이고 인상적인 핵심사건을 중심으로 건너뛰기와 지연하기를 통해 극적으로 전개한다. 셋째, 서사민요의 서술자-창자는 연행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여러 서사 갈래의 모티프를 결합해 장편 서사로 확장하기도 하고, 서정적으로 압축해 단편적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처럼 서사민요는 서술자-창자의 노래 속 인물에 대한 태도, 사건에 대한 인식, 연행상황에 따라 서정적, 극적 경향을 띠며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창작, 전승되면서 이를 부르고 듣는 사람들 간의 경험과 감정을 소통하는 생활서사시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재해, "한국의 민속예술" 문학과 지성사 1988

      2 박경수, "한국서술시의 시학" 태학사 1998

      3 "한국민요대전 (총9권)" (주)문화방송 1996

      4 임임석재, "한국구연민요자료집" 민속원 2004

      5 "한국구비문학대계 (총85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6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의 날실과 씨실 : 우리 어머니들의 노래" 도서출판 역락 2009

      7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유형분류방안 비교" 한국민요학회 40 : 57-93, 2014

      8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강원 지역을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56 : 55-80, 2012

      9 임재해, "전통과 상생의 산촌마을신전" 안동민속박물관 249-280, 2015

      10 서영숙, "우리 민요의 세계" 도서출판 역락 2002

      1 임재해, "한국의 민속예술" 문학과 지성사 1988

      2 박경수, "한국서술시의 시학" 태학사 1998

      3 "한국민요대전 (총9권)" (주)문화방송 1996

      4 임임석재, "한국구연민요자료집" 민속원 2004

      5 "한국구비문학대계 (총85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6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의 날실과 씨실 : 우리 어머니들의 노래" 도서출판 역락 2009

      7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유형분류방안 비교" 한국민요학회 40 : 57-93, 2014

      8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강원 지역을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56 : 55-80, 2012

      9 임재해, "전통과 상생의 산촌마을신전" 안동민속박물관 249-280, 2015

      10 서영숙, "우리 민요의 세계" 도서출판 역락 2002

      11 김학성, "시집살이 노래의 서술구조와 장르적 본질" 한국시가학회 14 : 2003

      12 고혜경, "서사민요의 장르적 성격" 민요학회 4 : 35-51, 1995

      13 고혜경, "서사민요의 일 유형 연구: 부부결합형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1983

      14 李靜娥, "서사민요연구 : 양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5 조동일, "서사민요 연구" 계명대 출판부 1979

      16 서영숙, "서사민요 <그릇 깬 며느리 노래>의 전승양상과 향유의식" 한국민요학회 29 : 161-186, 2010

      17 서영숙, "금지된 욕망을 노래하다 : 어머니들의 숨겨진 이야기노래" 도서출판박이정 2017

      18 허남춘, "고전시가와 가악의 전통" 도서출판 월인 355-374, 1999

      19 Leach MacEdward, "The ballad book" A.S. Barnes & Company, INC 1955

      20 Young-Sook Suh, "Narrative Structure and Psychological Consciousness in Song of Defending Country" Journal of the Research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87 (87): 59-83, 2016

      21 Young-Sook Suh,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Consciousness of Reality in Folk Ballad "Mr. Lee's first daughter"" Society of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null (null): 375-411, 2011

      22 Suh, Youngsook, "Meaning of death in tragic love songs: Comparison between Korean narrative songs and Anglo-American ballads" the Academy of Romania 1-2 : 119-130, 2017

      23 Dundes, Alan, "International Folkloristics: Classic Contributions by the Founders of Folklore" Rowman & Littlefield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