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법 제814조에 관련된 최근의 판례 검토 = A Review of Recent Supreme Court Cases Relating to Article 814 of the Commercial Ac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Commercial Act, the liability of the consignor or the consignee of the sea carrier shall be terminated without agreement in any trial within one year from the date of delivery or on the date of delivery to the consignee, regardless of the ca...

      Under the Commercial Act, the liability of the consignor or the consignee of the sea carrier shall be terminated without agreement in any trial within one year from the date of delivery or on the date of delivery to the consignee, regardless of the cause of the claim, but this period may be extended by agreement of the parties(Article 814 (1)). And if the consignor or the consignee has made an agreement with the carrier or made a legal claim to the carrier within the period of paragraph 1, if the sea carrier has entrusted the transportation to a third party, three months have elapsed since the date of the agreement or claim. The liability of the sea carrier to that third party shall not be extinguished in spite of paragraph 1(Artcile 814 (2)).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814 (1) and (2) of the Commercial Act, and three recent Supreme Court cases have been issued.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matters dealt with in the Supreme Court case and the lower court case by dividing them into major issues and related issues, and sought reasonable improvements.
      First, whether the completion of contract execution by the sea carrier, the scope of the just consignee, the starting point of the expulsion period, and the period extended by agreement by extension, in addition to the expiration period of paragraph 1, are included in the 'period of paragraph 1' specified in paragraph 2. The Supreme Court's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it makes sense is relevant when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However, it is a pity that we did not clearly determine when the ʻdelivery dateʼ will be calculated. Secon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how to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the mixed carrier and the laws that apply to the multimodal transport is valid, but it is a pity that the multimodal carrier has not clearly identified the process of becoming a party to a contract of carriage. Third, in the case of Article 816 (2) based on network liability system, there is a debate about the meaning of the regulations applied to the section with the longest distance and the most expensive section. Fourth, even if the legislative purpose of prompt stabilization of legal relation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application of a short period of time even if there is a deliberate or serious negligence on the sea carrier should be excluded, because it is too unreasonable for the carriers and consignees in relatively poor pos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상운송인의 송하인 또는 수하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은 그 청구원인에 관계없이 수하인에게 운송물을 인도한 날 또는 인도할 날부터 1년 이내에 재판상청구가 없으면 소멸하는데, 이 기...

      해상운송인의 송하인 또는 수하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은 그 청구원인에 관계없이 수하인에게 운송물을 인도한 날 또는 인도할 날부터 1년 이내에 재판상청구가 없으면 소멸하는데, 이 기간은 당사자의 합의로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해상운송인이 제3자에게 운송을 위탁한 경우에 송하인 또는 수하인이 동 기간내에 운송인과 배상합의를 하거나 운송인에게 재판상 청구를 하였다면 그 합의또는 청구가 있은 날부터 3개월이 경과하기 전에는 그 제3자에 대한 해상운송인의 책임은 제1항에도 불구하고 소멸하지 않는데, 해상운송인과 그 제3자 간에위 단서와 동일한 취지의 약정이 있는 경우에도 같다. 이러한 상법 제814조의해석과 관련하여 그동안 논란이 있었는데, 최근에 이에 관한 대법원 판례가 3건나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법원 판례와 하급심 판결에서 다룬 사항들을 주요쟁점과 관련문제로 구분하여 검토하며 합리적인 해석론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주요쟁점인 해상운송인의 계약이행 완료시점, 정당한 수하인의 포섭범위, 단기 제척기간의 기산점, 제척기간의 도과 여부가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인지여부, 제814조 제2항의 ʻ제1항의 기간ʼ에 제1항 본문의 제척기간 외에 단서의 합의연장기간도 포함되는지에 관한 대법원의 판단은 해상운송의 특성과 해상운송인의 운송종료의무 및 제814조 제2항의 입법취지를 고려할 때 타당하다. 다만제소기간의 기산점인 ʻ운송물을 인도할 날ʼ이 언제인지를 명확히 판단하지 않은것은 아쉽다. 다음으로 관련문제인 복합운송주선인의 법적 지위, 복합운송에서의적용법규 확정방법에 관한 대법원 판례는 타당하지만, 복합운송주선인이 운송계약의 당사자로 되는 과정을 명확히 확인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 또한 이종책임주의에 기초한 제816조 제2항의 경우 운송거리가 가장 긴 구간에 적용되는 법규 및 운임이 가장 비싼 구간에 적용되는 법규 등에 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이를 좀 더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고, 비록 법률관계의 조속한 안정이라는 입법취지를 감안하더라도 해상운송인에게 고의·중과실이 있는 경우에도단기 제척기간을 적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위의 송하인과 수하인에게너무 불합리하므로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옥렬, "해상운송에 관한 로테르담 규칙의 쟁점 및 전망" 법무부 (88) : 64-93, 2009

      2 정영석, "해상법원론" 텍스트북스 2009

      3 최종현, "해상법상론" 박영사 2009

      4 김인현, "해상법" 법문사 2018

      5 서헌제, "해상물품운송계약론" 박영사 2009

      6 정동윤, "주석 상법" 박영사 2015

      7 최세련, "제소기간에 관한 고찰" 해상보험법연구회 6 (6): 2010

      8 최세련, "운송주선인의 법적 지위 및 히말라야 약관의 적용 범위 - 대법원 2007. 4. 27. 선고 2007다4943 판결의 평석 -" 한국해법학회 30 (30): 115-138, 2008

      9 정영석, "운송물 손해의 발생구간과 복합운송인의 책임 - 대법원 2009.8.20. 선고 2007다87016 판결의 평석을 중심으로-" 한국상사판례학회 22 (22): 361-401, 2009

      10 정준우, "손해발생구간의 불명확성과 복합운송인의 책임"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3 : 2011

      1 송옥렬, "해상운송에 관한 로테르담 규칙의 쟁점 및 전망" 법무부 (88) : 64-93, 2009

      2 정영석, "해상법원론" 텍스트북스 2009

      3 최종현, "해상법상론" 박영사 2009

      4 김인현, "해상법" 법문사 2018

      5 서헌제, "해상물품운송계약론" 박영사 2009

      6 정동윤, "주석 상법" 박영사 2015

      7 최세련, "제소기간에 관한 고찰" 해상보험법연구회 6 (6): 2010

      8 최세련, "운송주선인의 법적 지위 및 히말라야 약관의 적용 범위 - 대법원 2007. 4. 27. 선고 2007다4943 판결의 평석 -" 한국해법학회 30 (30): 115-138, 2008

      9 정영석, "운송물 손해의 발생구간과 복합운송인의 책임 - 대법원 2009.8.20. 선고 2007다87016 판결의 평석을 중심으로-" 한국상사판례학회 22 (22): 361-401, 2009

      10 정준우, "손해발생구간의 불명확성과 복합운송인의 책임"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3 : 2011

      11 정찬형, "상법강의(하)" 박영사 2019

      12 채이식, "상법강의(하)" 박영사 1991

      13 정동윤, "상법(하)" 법문사 2008

      14 이상협, "상법 제814조 제2항 전단의 ‘제1항의 기간’의 해석 - 대법원 2018. 12. 13. 선고 2018다244761 판결 -" 한국상사판례학회 32 (32): 161-200, 2019

      15 정우영, "복합운송주선인의 법적 지위와 책임에 관한 고찰-대법원 2019. 7. 10.선고 2019다213009 판결"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11 : 2019

      16 김창준, "복합운송주선업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법해석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17 김창준, "복합운송주선업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해사문제연구소 (367) : 2004

      18 박재홍, "복합운송규정의 입법상 주요 쟁점 - 복합운송인의 책임관계를 중심으로 -" 법무부 (52) : 133-159, 2010

      19 구종순, "무역실무" 박영사 2012

      20 송상현, "도시와 환경" 박영사 2015

      21 방희석, "국제운송론" 박영사 2009

      22 이제현, "국제물류주선인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33 (33): 785-804, 2018

      23 양석완, "계약운송인으로서 해상운송주선인의 법적 지위" 한국상사법학회 29 (29): 285-315, 2010

      24 金昌俊, "複合運送에 관한 商法規定의 新設" 한국해법학회 26 (26): 337-378, 2004

      25 채이식, "船舶所有者 및 海上運送人(艤裝者)의 槪念" 한국해법학회 24 (24): 45-67, 2002

      26 Berlingieri, Francesco, "Yearbook 2007-2008" CMI 280-,

      27 S. Mankabady, "Some Legal Aspects of the Carriage of Goods by Container" 23 :

      28 Baughen, Simon, "Lloyd's Maritime and Commercial Law Quarterly, Part 2" 2005

      29 김인현, "2017년 중요해상판례소개" 한국해법학회 40 (40): 223-284,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OMMERCIAL LAW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상사법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3 0.979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