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와 의존명사 ‘.’ 가 함께 쓰인 구문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0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는 명사구 내포문에 거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71953
2014
Korean
선어말어미 ; 의존명사 ; 언어 변화 ; 연결어미 ; 종결어미 ; 문법화 ; prefinal ending ; linguistic change ; bound noun ; connective endings ; final endings ; grammaticalization
KCI등재
학술저널
221-249(2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와 의존명사 ‘.’ 가 함께 쓰인 구문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0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는 명사구 내포문에 거의...
이 연구는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와 의존명사 ‘.’ 가 함께 쓰인 구문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015세기 문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는 명사구 내포문에 거의 필 수적으로 나타나며, 그리고 그 분포는 동명사형어미 ‘-ㄴ, -ㄹ, -ㅁ’의 앞이다. 또한 15세기 문헌을 살펴보다 보면 명사구 내포문이 아니라 연 결어미, 종결어미에 쓰인 ‘-오-’도 발견할 수 있다. 명사구 내포문과 어 미에 쓰인 형태소와 분포가 같다면 우리는 그 둘 사이의 상관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중세국어에서 ‘-오-’는 명사구 내 포문을 구성하여 명사성을 가지게 하는 요소로 기능하면서 강조, 초점 등의 양태적 의미 기능을 수행하며 쓰이다가 ‘-오-’의 소멸로 명사성을 잃어 가면서 부사화, 접속문화하여 양태적 기능만을 갖도록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 형태소가 쓰이는 환경에 있어서 명사성을 잃으면서 양태적 의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과정의 이유를 내포문 구성에서의 ‘초점’에서 얻을수 있다. 의존명사 구문에서도 선어말어미 ‘-오-’는 나타난다. 그러나 그 출현 여부는 의존명사의 성격에 따라 빈도가 다르다. 의존명사를 목록을 다음 과 같이 제시하면서 명사성이 강한 보편성 의존명사 구문일수록 선어말 어미 ‘-오-’가 필수적으로 결합한다. 의존명사 ‘.’가 ‘이’와 결합한 ‘디’ 는 15세기 문헌에서 많은 수가 ‘-오-’를 선행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오 -’와 의존명사 ‘.’가 통합한 구문은 선어말어미 ‘-오-’와 의존명사의 문 법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한 중심에 서 있는 구문일 수 있다. 실제로 15세기 문헌에서 의존명사 ‘.’가 주격조사, 지정사와 쓰인 구문에서는 ‘-오-’가 없이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이 ‘-올디, -온디’ 구문은 15세기 이후의 문헌에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다른 말로 교체되는 현상까지 보인다. 이는 아마도 다른 구문에서 쓰인 ‘-오-’가 소멸하는 과정에서 함께 사라진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볼 수 있 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the prefinal ending "-O-" that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nd the dependent noun "ㄷ" were used together. The prefinal ending "-O-",which appear in the 15th centur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the prefinal ending "-O-" that appeared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nd the dependent noun "ㄷ" were used together. The prefinal ending "-O-",which appear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ppear in the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 almost requisitely, and it is distributed before the verbal formendings "-n, -l,-m." And whe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is examined, the prefinal ending "-O-", which was used in connective endings and final endings rather than in the noun phrase embedded sentence, can also be found. If the distribution of the noun phrase imbedded sentence is the same as that of the morpheme used in the endings, we can think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s a result, "-o-" in medieval Korean makes up the noun phrase imbedded sentence, and functions as the element enabling it to have noun natur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modal meanings such as emphasis and focus and loses noun nature due to the extinction of "-O-" and becomes adverbial or conjunctive sentence, and can change to have only the function of modality. The prefinal ending "-O-" can also appear in the dependent noun sentence structure. But the frequency of its appearance var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dependent noun. As shownin the catalogue of the dependent nouns presented as follows, the universal dependent noun sentence structure, which is of strong noun nature, is requisitely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 “-O-”. The word “디” which is dependent noun “.” combined with “이” appears invariably before “-오- ”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Accordingly,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O-” is combined with the dependent noun “.” can be the sentence structure that stands in the middle of the grounds that explain the grammatical process of the prefinal ending “-O-” and the dependent noun. Actually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it can be seen that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the dependent noun “.” is used with the subjective case postposition, seldom appears without “-O-”. But the “-올디, -온디” sentence structure seldom appears in the literature after the 15th century and sometimes it is replaced with other words. This can be presumed that probably it disappeared in the course of the extinction of “-O-” that was used in other sentence structur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호, "후기 중세국어의 종결어미 {-다/-라}의 의미" 국어학회 12 : 1983
2 전정례, "형태소 분석의 중요성에 대하여 -선어말어미 ‘-오-’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27) : 273-289, 2010
3 강길운, "한정법(삽입모음 -오/우-)에 대하여" 덕성여자대학교 1972
4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1998
5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5
6 고영근,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탑출판사 1981
7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8 박경현, "중세국어 종결어미의 기본형 설정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50 : 1993
1 이광호, "후기 중세국어의 종결어미 {-다/-라}의 의미" 국어학회 12 : 1983
2 전정례, "형태소 분석의 중요성에 대하여 -선어말어미 ‘-오-’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27) : 273-289, 2010
3 강길운, "한정법(삽입모음 -오/우-)에 대하여" 덕성여자대학교 1972
4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1998
5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5
6 고영근,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탑출판사 1981
7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8 박경현, "중세국어 종결어미의 기본형 설정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50 : 1993
9 전정례, "중세국어 명사구내포문에서의 `-오-'의 기능과 변천" 서울대학교 1991
10 양정호, "중세국어 동명사의 선어말어미 '-오-' 연구" 서울대학교 2001
11 김영희, "종속 접속문의 조응 현상과 구조적 이중성" 국어학회 (43) : 247-272, 2004
12 정재영, "의존명사 ‘’의 문법화" 태학사 1996
13 권재일, "의존구문의 혁신성" 12 : 1987
14 "월인석보"
15 허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75
16 이숭녕, "어간형성과 활용어미에서의 「-(오/우)-」의 개재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8 : 1959
17 "소학언해"
18 정수현, "선어말어미 '-오-'의 기능과 변천 : 명사성의 약화와 그 기능 변화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11
19 임홍빈, "선어말 {-오/우-}와 확실성"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3 : 1981
20 "석보상절"
21 허 웅, "삽입모음고-15세기 국어의 일인칭 활용과 대상 활용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7 : 1958
22 "법화경언해"
23 "번역소학"
24 "두시언해"
25 "능엄경언해"
26 서태룡ㄴ, "내포와 접속" 국어학회 8 : 1979
27 최재희, "국어 종속접속의 통사적 지위" 한글학회 (238) : 1997
28 황선엽, "국어 연결어미의 통시적 연구 : 한글 창제 이전 차자표기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2
29 이기문, "개정 국어사 개설" 민중서관 1972
30 徐泰龍, "國語 活用語尾의 形態와 意味"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31 李仁模, "中世國語의 敍法과 時制의 硏究" 고려대학교 1976
32 전정례, "‘-온/-올/-오’ 연구" 한말연구학회 (6) : 2000
33 최대희, "‘-오-’의 실현과 의존명사 명사성과의 상관성 연구-15세기 문헌을 대상으로-" 한말연구학회 (32) : 363-392, 2013
34 손주일, "{-오/우-}의 형태소 정립을 위하여" 서강어문학회 7 : 1991
35 이숭녕, "Volitive form으로서의 Prefinal ending 「-(o/u)-」의 개재에 대하여" 진단학회 21 : 1960
36 허 웅, "15세기 국어의 주체-대상법 활용" 한글학회 (152) : 1973
37 허원욱, "15세기 국어의 이름마디와 매김마디 연구" 건국대학교 1992
38 손주일, "15세기 국어 ‘-ㄴ, -ㄹ’ 관형사형과 ‘±{-오/우-}’와의 관련성"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 : 1996
39 정수현, "15세기 관형화 구성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 연구" 겨레어문학회 (48) : 351-370, 2012
40 이숭녕, "-(오/우)-논고" 국어국문학회 27 : 1964
성찰적 근대성과 4,19세대 비평의 한 행로 -염무웅론-
이상 「지도의 암실」과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의 실험적 제휴
탈식민주의적 감각과 현대시를 향한 열망 -송욱의 역사주의와 교양주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8 | 1.05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