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심리학 연구자들에게 가장 흥미 있는 영역 중의 하나가 자신감(self-efficacy)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기 지도자들이 선수들에게 사용하는 자신감 강화 전략을 코치와 선수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38838
1995
Korean
304.000
학술저널
219-231(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스포츠 심리학 연구자들에게 가장 흥미 있는 영역 중의 하나가 자신감(self-efficacy)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기 지도자들이 선수들에게 사용하는 자신감 강화 전략을 코치와 선수들 ...
스포츠 심리학 연구자들에게 가장 흥미 있는 영역 중의 하나가 자신감(self-efficacy)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경기 지도자들이 선수들에게 사용하는 자신감 강화 전략을 코치와 선수들 각자가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였다. 26개 종목에서 코치 72명(남 54명, 여 18명), 선수260명(남 112명, 여 148명)의 피험자가 무선 표집되어 조사되었다. 심리적 요인의 중요성 (14개 요인)과 자신감 강화에 사용되는 13개의 진술은 빈도 분석과 4집단간의 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남자 코치들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중요성은 상위 3가지로 집중력, 자신감, 의지력을, 여자 코치들은 목표설정, 집중력, 자신감이, 남자 선수들은 자신감, 목표설정, 집중력으로, 여자 선수들은 자신감, 집중력, 목표설정으로 나타났다. 자신감 강화 전략진술에 대한 빈도 분석 결과 중요성에서 남자 코치들은 할 수 있다는 설득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여자 코치들과 남자/여자 선수들은 자신 있게 행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빈도에서는 남자코치는 할 수 있다는 설득이, 여자코치와 남자선수는 가장 신체적 컨디션을, 여자선수들은 기술지도와 훈련이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효과성에서는 남녀코치, 남녀선수 모두 할 수 있다는 설득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