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법 설명 텍스트에 쓰인 비유적 표상의 양상- 교양 문법서를 대상으로- = Treatise : The Analohies as Representation of Grannar Knowledges Used in General 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9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and suggest the value of analogy as representation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For it, this study analyzes the analogies which are used in general books for Korean grammar. The analogies are classified into four following types:the significance and perspective of learning grammar, the meaning-function of grammar knowledges, the concept of grammar knowledges, and the relation with grammar knowledges. Furthermore, we discus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 of using analogies in grammar education. For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based learners` active construction of various grammar knowledge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bout analogy for explanation of grammar knowledge and application of analogy.
      번역하기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and suggest the value of analogy as representation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For it, this study analyzes the analogies which are used in general books for Korean grammar. The analogies are classified i...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and suggest the value of analogy as representation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For it, this study analyzes the analogies which are used in general books for Korean grammar. The analogies are classified into four following types:the significance and perspective of learning grammar, the meaning-function of grammar knowledges, the concept of grammar knowledges, and the relation with grammar knowledges. Furthermore, we discus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 of using analogies in grammar education. For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based learners` active construction of various grammar knowledge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bout analogy for explanation of grammar knowledge and application of analo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행, "한국어 문법의 이해" 월인출판사 2004

      2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 숙련자의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6) : 283-320, 2008

      3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4 이관희, "품사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5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6 김남미, "친절한 국어 문법" 사피엔스21 2010

      7 남가영, "초등학교 문법 문식성 연구의 과제와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99-132, 2011

      8 박재문,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성경재 1998

      9 Saussure,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1990

      10 오현아,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3) : 145-181, 2010

      1 이주행, "한국어 문법의 이해" 월인출판사 2004

      2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 숙련자의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6) : 283-320, 2008

      3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4 이관희, "품사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5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6 김남미, "친절한 국어 문법" 사피엔스21 2010

      7 남가영, "초등학교 문법 문식성 연구의 과제와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99-132, 2011

      8 박재문,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성경재 1998

      9 Saussure,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1990

      10 오현아,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3) : 145-181, 2010

      11 김은성, "이야기를 활용한 문법 교육 가능성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22) : 353-383, 2007

      12 이찬주, "은유의 교육적 재해석을 위한 시론"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73-92, 2011

      13 오현아,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문법 교육 내용의 이야기화 모델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38) : 117-146, 2012

      14 Dewey, J, "아동과 교육과정" 원미사 2001

      15 이화진,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6 신선경, "설득의 수단으로서의 은유- 은유의 생성과 수용에 대한 일고찰 -" 한국어의미학회 20 : 139-159, 2006

      17 노양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18 박인기, "문학 교육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대 출판부 1996

      19 남가영,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형태론 11 (11): 313-334, 2009

      20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25) : 119-161, 2010

      21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2) - 기사문에 쓰인 ‘-기로 하-’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203-239, 2012

      22 남가영, "문법교육용 텍스트의 개념 및 범주" 한국어교육학회 (136) : 139-173, 2011

      23 이관희,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중심 통합의 방향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37) : 173-211, 2012

      24 남가영, "문법교육론 자리매김의 두 방향- 문법교육 담론의 생산적 읽기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연구소 (19) : 471-508, 2007

      25 김은성,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83-110, 2012

      26 남가영,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7 심영택,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문법 교육의 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1) : 355-390, 2004

      28 정지은, "문법 지식의 교수적 변환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높임법" 수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9 김호정, "문법 용어를 통한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연구 (Ⅰ):음운" 국어교육학회 (28) : 275-300, 2007

      30 제민경, "문법 설명 텍스트의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브:실용 문법서의 내러티브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21-42, 2011

      31 송현정,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59-87, 2009

      32 김은성, "문법 교수․학습 방법 구체화를 위한 수업 의사소통 양상 연구-교사의 문법적 지식 설명하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6) : 287-317, 2009

      33 주세형, "국어과 문법 평가 이론의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35) : 39-66, 2011

      34 민현식,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08) : 3-126, 2002

      35 박태호, "국어 수업에 나타난 PCK 교수 변환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03-121, 2011

      36 김은성,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37 김철호, "국어 독립 만세" 유토피아 2008

      38 주세형,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문법 교수 학습 방법 개발의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67-104, 2008

      3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두산동아 2009

      40 Shulman,L.S, "hose who understand: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41 Wilson,S.M, "Understanding historical understanding:Subject matter knowledge and the teaching U.S. history" Stanford Univ. Press 1988

      42 Grossman, "The making of a teacher: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0

      43 Cochran, K, "Pedagogical content knowing: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44 (44): 263-272, 1993

      44 Shulman,L.S, "Knowledge and teaching: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 1-22, 1987

      45 Ball, D. L, "Knowledge and reasoning in mathematical pedagogy:Examining what prospective teachers bring to teacher educ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1988

      46 이재성, "4천만의 국어책" 들녘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3 1.3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