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주행, "한국어 문법의 이해" 월인출판사 2004
2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 숙련자의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6) : 283-320, 2008
3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4 이관희, "품사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5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6 김남미, "친절한 국어 문법" 사피엔스21 2010
7 남가영, "초등학교 문법 문식성 연구의 과제와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99-132, 2011
8 박재문,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성경재 1998
9 Saussure,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1990
10 오현아,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3) : 145-181, 2010
1 이주행, "한국어 문법의 이해" 월인출판사 2004
2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 숙련자의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6) : 283-320, 2008
3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69-290, 2010
4 이관희, "품사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5 제민경,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 신문 텍스트의 ‘전망이다’ 구문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4) : 155-181, 2011
6 김남미, "친절한 국어 문법" 사피엔스21 2010
7 남가영, "초등학교 문법 문식성 연구의 과제와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99-132, 2011
8 박재문,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성경재 1998
9 Saussure,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1990
10 오현아,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3) : 145-181, 2010
11 김은성, "이야기를 활용한 문법 교육 가능성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22) : 353-383, 2007
12 이찬주, "은유의 교육적 재해석을 위한 시론"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73-92, 2011
13 오현아,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문법 교육 내용의 이야기화 모델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38) : 117-146, 2012
14 Dewey, J, "아동과 교육과정" 원미사 2001
15 이화진,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16 신선경, "설득의 수단으로서의 은유- 은유의 생성과 수용에 대한 일고찰 -" 한국어의미학회 20 : 139-159, 2006
17 노양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18 박인기, "문학 교육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대 출판부 1996
19 남가영,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신문텍스트에 나타난 '-(다)는 것이다'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형태론 11 (11): 313-334, 2009
20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 신문 텍스트에 쓰인 ‘-도록 하-’와 ‘-게 하-’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25) : 119-161, 2010
21 이관희,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2) - 기사문에 쓰인 ‘-기로 하-’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203-239, 2012
22 남가영, "문법교육용 텍스트의 개념 및 범주" 한국어교육학회 (136) : 139-173, 2011
23 이관희,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중심 통합의 방향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37) : 173-211, 2012
24 남가영, "문법교육론 자리매김의 두 방향- 문법교육 담론의 생산적 읽기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연구소 (19) : 471-508, 2007
25 김은성,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83-110, 2012
26 남가영,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7 심영택,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문법 교육의 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21) : 355-390, 2004
28 정지은, "문법 지식의 교수적 변환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높임법" 수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9 김호정, "문법 용어를 통한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연구 (Ⅰ):음운" 국어교육학회 (28) : 275-300, 2007
30 제민경, "문법 설명 텍스트의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브:실용 문법서의 내러티브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21-42, 2011
31 송현정,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59-87, 2009
32 김은성, "문법 교수․학습 방법 구체화를 위한 수업 의사소통 양상 연구-교사의 문법적 지식 설명하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6) : 287-317, 2009
33 주세형, "국어과 문법 평가 이론의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35) : 39-66, 2011
34 민현식,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08) : 3-126, 2002
35 박태호, "국어 수업에 나타난 PCK 교수 변환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03-121, 2011
36 김은성,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37 김철호, "국어 독립 만세" 유토피아 2008
38 주세형,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문법 교수 학습 방법 개발의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67-104, 2008
3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두산동아 2009
40 Shulman,L.S, "hose who understand: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41 Wilson,S.M, "Understanding historical understanding:Subject matter knowledge and the teaching U.S. history" Stanford Univ. Press 1988
42 Grossman, "The making of a teacher: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0
43 Cochran, K, "Pedagogical content knowing: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44 (44): 263-272, 1993
44 Shulman,L.S, "Knowledge and teaching: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 1-22, 1987
45 Ball, D. L, "Knowledge and reasoning in mathematical pedagogy:Examining what prospective teachers bring to teacher educ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1988
46 이재성, "4천만의 국어책" 들녘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