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비교했을 때 일반시설이 아닌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국가중요시설의 경비 및 도난, 화재 등을 방지하는 업무 특성이 있어 직무상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02622
2013
Korean
350.7
KCI등재
학술저널
91-11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특수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비교했을 때 일반시설이 아닌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국가중요시설의 경비 및 도난, 화재 등을 방지하는 업무 특성이 있어 직무상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
특수경비원은 일반경비원과 비교했을 때 일반시설이 아닌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국가중요시설의 경비 및 도난, 화재 등을 방지하는 업무 특성이 있어 직무상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경비업법」상 특수경비원은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단체행동권이 제약되어 있다. 따라서 특수 경비업체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타 업종에 비해 근무환경 및 복지여건의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이 끊임없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는 곧 특수경비원들이 조직 내에서 ‘일한 만큼 보상받지 못한다’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특수경비원이 조직 내 임금, 승진, 부서이동 등 근무환경에 대한 공정성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특수 경비조직 내 공정성이 조직효과성 즉,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문제점을 검증하기 위해 인천시 소재 특수 경비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경비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응답이 부실하거나 회수가 안 된 설문지를 제외한 105명을 분석대상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공항에서 근무하는 특수경비원들은 자신들의 임금 및 보상제도에 대한 절차 및 과정이 공정하다고 판단될 때 조직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경비원들은 일한 만큼 적절한 보상을 받는다고 느끼고, 보상에 따른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어 있다고 느끼면,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 관리의 측면에서 특수경비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여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적절한 보상체제와 근무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보상체제와 관련하여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거나, 보상 제도를 더욱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관리하여 조직구성원들이 회사에 대한 믿음을 강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are under a lot of stress at work compared to regular security guards, because they are in charge of preventing theft and arson of key facilities of the government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national security inst...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are under a lot of stress at work compared to regular security guards, because they are in charge of preventing theft and arson of key facilities of the government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national security instead of general facilities. However, the「Security Industry Act」limits the collective action of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who want to demand better working conditions. Therefore, special guards face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demand their rights, although they are involved in various conflicts associated with working conditions and welfare issues, more than other occupations. The preceding studies on this issue argue that special guards believe 'they are not compensated properly for their work' in their organization.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toward their organizational justice as to their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wage, promotion, and department transfer. To clar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validate the problem of this study,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airport special security guards working for a special security company located in Incheon City. Ultimately, 105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or uncollected respon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special security guards working at an airport have high organizational satisfaction when they believe the procedure and process of their wage and compensation are fair. It suggests that when special security guards feel they are receiving proper compensation for their work and the right to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as to their compensati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omes higher. Based on such findings, the first priority for special security guards should be granting the rights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as to proper compensation system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s a way to lower their turnover intention by boost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국회 경호공무원의 보상공정성 지각에 따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특별사법경찰활동의 절차적 정당성 구현 : 미란다 경고의 고지를 중심으로
경찰공무원의 멘토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