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금오신화》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각 작품의 서사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각의 개별 작품 속에 등장하는 세 여성을 하나의 방식으로 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59981
2011
-
810
KCI등재
학술저널
43-71(2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금오신화》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각 작품의 서사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각의 개별 작품 속에 등장하는 세 여성을 하나의 방식으로 호...
이 글은 《금오신화》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각 작품의 서사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각의 개별 작품 속에 등장하는 세 여성을 하나의 방식으로 호명하여 그녀들의 존재양상을 분석한 뒤, 그것이 개별 작품의 서사화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금오신화》 가운데 여성인물이 등장하는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 〈취유부벽정기〉의 서사화 전략은 여인의 죽음이라는 축과, 여성과 남성의 관계맺음이라는 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각각의 방향성을 달리하면서 전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생규장전〉은 수혜자의 입장에 있는 이생을 부각시키기 위한 남성 중심적 부부서사로 진행되었으며, 〈만복사저포기〉는 적극적 협력자의 위상을 점하는 양생과 효서사의 중심에 있는 여성 가운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은 중립적인 가족서사로 진행되었으며, 〈취유부벽정기〉는 관찰자적 입장을 취하는 남성보다는 국가의 흥망에 관한 담론을 펼친 여성을 중심으로 한 여성 중심적 사회서사로 진행되었다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서사화는 전쟁서사와 절개서사가 여인의 죽음에 대한 직접적 책임이 있는 대상에 관한 서사를 추상화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세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 일관된 서사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Geumosinwha》 three people feminine people which appear is to grasp the narrative strategy of each work with the center. That appeared in the work of each individual in the way of the same woman called and analyze 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Geumosinwha》 three people feminine people which appear is to grasp the narrative strategy of each work with the center.
That appeared in the work of each individual in the way of the same woman called and analyze how the presence of her back, it’s a narrative of individual works and whether the discussion was to relate to.
As a result, 《Geumosinwha》 of the female figure appeared 〈Yisaenggyujangjeon〉, 〈Manboksajeopoki〉, 〈Chuiyuboobeokjeonki〉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shaft and the girl’s death, bring forth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men at the point where the axes intersect each unlike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has been confirmed.
〈Yisaenggyujangjeon〉 of the narrative perspective of the beneficiaries to highlight in this life for a male-dominated narrative of the couple were run with. 〈Manboksajeopoki〉 of the narrative that occupies the active phase of the curing and co-workers in the center of narrative of hyo women on either side of the biasing that was conducted by a neutral narrative of the family.
〈Chuiyuboobeokjeonki〉 to take the position of the narrativec efforts of the observed rise and fall of the country than men, expand the discourse on women-centered community with a focus on women was conducted in narrative of the society.
Based on such an epic narrative of the war, and the incision of the narrative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death of a woman on the target narrative abstraction, which was conducted in a manner that is consistent through the three films can be called the narrative wa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256, 1997
2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472, 1977
3 박희병, "한국, 중국, 베트남 전기소설의 미적 특질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6 : 35-78, 2000
4 장개종, "한․중․월 전기소설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1992
5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473, 2000
6 이혜정, "전쟁과 평화에 대한 여성주의적 독해" 한국여성철학회 4 : 59-78, 2004
7 김경미,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213-242, 2010
8 시모어 체트먼, "원화와 작화" 예림기획 1-425, 1998
9 이혜순, "열녀전의 입전의식과 그 사상적 의의, In 조선시대 열녀담론" 월인 9-35, 2002
10 홍인숙, "열녀 담론의 새로운 독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 : 85-118, 2002
1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256, 1997
2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472, 1977
3 박희병, "한국, 중국, 베트남 전기소설의 미적 특질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36 : 35-78, 2000
4 장개종, "한․중․월 전기소설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1992
5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473, 2000
6 이혜정, "전쟁과 평화에 대한 여성주의적 독해" 한국여성철학회 4 : 59-78, 2004
7 김경미,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213-242, 2010
8 시모어 체트먼, "원화와 작화" 예림기획 1-425, 1998
9 이혜순, "열녀전의 입전의식과 그 사상적 의의, In 조선시대 열녀담론" 월인 9-35, 2002
10 홍인숙, "열녀 담론의 새로운 독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 : 85-118, 2002
11 고정갑희, "성장치와 여성주의 문화론" 도서출판여이연 (2) : 7-31, 2000
12 정출헌, "서거정과 김시습: 조선초기 사대부 문인의 두 초상" 동양한문학회 21 : 223-248, 2005
13 임형택, "매월당 문학의 성격-방외인 문학의 세계와 현실주의 정신"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3 : 78-81, 1979
14 신재홍, "금오신화 의 환상성에 대한 주제론적 접근" 청관고전문학회 1 : 301-321, 1999
15 장윤환, "금오신화 의 환상성 연구" 경희대학교 2011
16 최용철, "금오신화 의 판본" 국학자료원 1-596, 2003
17 서지영, "규범과 욕망의 틈새: 조선시대 문학 속의 섹슈얼리티, In 한국 고소설과 섹슈얼리티" 보고사 9-36, 2009
18 김수연, "『금오신화』의 구조미학: 相違와 疏通의 ‘遊’" 한국고전문학회 (38) : 311-340, 2010
19 김수성,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1995
20 박일용, "<이생규장전>의 밀회 장면에 나타난 환상성과 그 현실적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20) : 5-35, 2005
21 박일용, "<이생규장전>의 결혼과 절사(節死) 장면에 나타난 환상성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1) : 297-326, 2006
22 정규식, "<雲英傳>에 형상화된 삶의 권력과 죽음의 권리" 한국고소설학회 (31) : 41-70, 2011
23 김용기, "<萬福寺樗蒲記>의 敍述技法과 人物 性格의 形象化 方式 硏究" 우리문학회 22 (22): 3-30, 2007
24 정규식, "<崔致遠>의 성적 욕망과 자기 정체성 확립" 한국고소설학회 (22) : 5-34, 2006
25 정규식, "<周生傳>의 인물 연구 -상호적 관계성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28) : 5-37, 2009
26 정규식, "<何生奇遇傳>과 육체의 서사적 재현" 한국문학회 (53) : 231-261, 2009
27 조동일, "15세기 귀신론과 귀신이야기의 변모, In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127-183, 199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0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1 | 0.739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