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도의 핵심은 자치권 보장이다.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그 보장의 범위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정해진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감독・통제도 불가피한 것이다. 국가의 감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8868
김태오 (창원대학교)
2023
Korean
자율형사립고등학교 ; 지정취소 ; 자치사무 ; 자치사무에 대한 국가의 통제 ; 교육부장관의 부동의 ; 지방자치단체의 불복소송 ;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 Cancellation of the Designation of the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 Autonomous Affairs ; State’s Supervision over Autonomous Affairs ; Minister of Education's Disapproval ; Litig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gainst the State’s Supervision over Autonomous Affairs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613-642(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자치제도의 핵심은 자치권 보장이다.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그 보장의 범위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정해진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감독・통제도 불가피한 것이다. 국가의 감독...
지방자치제도의 핵심은 자치권 보장이다.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그 보장의 범위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정해진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감독・통제도 불가피한 것이다. 국가의 감독・통제의 정도와 범위는 지방자치제도의 자치권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의 감독・통제권에 불복할 수 있는 수단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 글은 자율형사립고등학교(이하 ‘자사고’라 한다)의 지정취소에 대한 교육부장관의 감독・통제에 불복할 수 있는 수단을 다루었다. 전라북도교육감(이하 ‘전북도교육감’이라 한다)이 A 자사고 지정취소를 위해 교육부장관의 사전동의를 요청하였으나, 교육부장관이 부동의한 사례를 논의의 소재로 한 것이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자사고 지정취소 사무의 본질을 살펴보았다. 자사고 제도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으로 도입될 당시와 그 이후 지방교육자치가 강조되던 일련의 교육정책 방향, 당초 자사고 제도 도입 시 교육부장관의 사전 통제수단이 존재하지 않았던 점, 초・중등교육법령상 권한규정 및 감독규정과 헌법재판소 및 대법원의 선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자사고 지정취소 권한은 자치사무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 내렸다.
이를 전제로, 교육부장관의 부동의를 무릅쓰고 전북도교육감이 자사고 지정취소를 강행함으로써 지방자치법 제188조의 전형적인 틀에 따라 불복하는 방법을 검토해 보았다. 절차위법이 있음에도 전북도교육감이 위법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 리스크가 상당하다. 교육부장관의 부동의를 지방자치법 제188조 제1항에 따른 주무부장관의 시정명령으로 해석하여 그 시정명령을 직접 대법원에 제소하는 방안도 법리적으로는 어렵다. 현행법상 문제사안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교육부장관의 부동의에 대한 취소소송을 제기하는 방법과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하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다. 전북도교육감은 행정소송과 권한쟁의심판을 병행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문제사안의 쟁점은 교육부장관의 부동의 또는 동의거부처분의 위법성이라는 점에서, 취소소송을 통한 불복방법이 더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입법론으로, 자사고 지정취소 절차를 시행령에서 법률로 상향입법하고, 자치사무를 형해화하는 교육부장관의 사전동의 절차를 삭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사전동의 절차를 존치하더라도 그 통제의 범위는 적법성에 한정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다른 한편, 지방자치법 제188조를 개정하여 소송경제와 공백 없는 자치권 보장을 위해 주무부장관의 시정명령 단계에서부터 지방자치단체가 불복하도록 하거나, 주무부장관이 바로 지방자치단체장의 위법한 명령・처분에 대해 대법원에 제소하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흡, "헌법소송법" 박영사 2022
2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20
3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21
4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2021
5 김남진, "행정법" 법문사 2010
6 김용일, "학교 지정 권한 관련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2 (42): 169-191, 2015
7 문상덕, "특별행정법" 박영사 2022
8 문상덕, "지방자치쟁송과 민주주의"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0 (10): 23-46, 2010
9 박정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을 보장하기 위한 행정소송" 1 (1): 1-24, 2001
10 서원우, "지방자치단체의 사법적 보장" 35 (35): 47-74, 1994
1 이동흡, "헌법소송법" 박영사 2022
2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20
3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21
4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2021
5 김남진, "행정법" 법문사 2010
6 김용일, "학교 지정 권한 관련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2 (42): 169-191, 2015
7 문상덕, "특별행정법" 박영사 2022
8 문상덕, "지방자치쟁송과 민주주의"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0 (10): 23-46, 2010
9 박정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을 보장하기 위한 행정소송" 1 (1): 1-24, 2001
10 서원우, "지방자치단체의 사법적 보장" 35 (35): 47-74, 1994
11 한귀현, "지방자치단체의 사무구분체계 및 국가관여법제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4
12 이일세,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통제수단의 법적 문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5 (15): 3-41, 2015
13 이진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감독과 그에 대한 사법적 통제― 법치주의와 지방자치의 균형 및 조화를 위한 사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6 (26): 260-291, 2018
14 조성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감독의 법적 쟁점"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6 (16): 341-378, 2016
15 나민주, "지방분권 강화에 따른 지방교육자치 정착을 위한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8
16 연합뉴스, "전북교육청, 자사고 문제로 교육부와 8년만에 또 헌재 가나"
17 연합뉴스, "전북교육청, 교육부 상대로 제기한 ‘A 자사고 소송’ 취하"
18 한국경제, "전북교육청, 교육부 상대로 제기한 ‘A 자사고 소송’ 취하"
19 교육플러스, "전북교육청, A 자사고 재지정 소송 취하...전교조 “특권학교 망령 되살렸다”"
20 이원우, "원고적격 확대를 위한 방법론의 전환 — 독점적 지위의 배제를 구하는 소송을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66) : 1-33, 2021
21 홍정선, "신지방자치법" 박영사 2021
22 교육부, "새 정부 교육부 업무보고"
23 교육부, "법제처의 법령해석과 정부법무공단 법률자문 내용이 배치된 것이라는 보도에 대한 설명 - 법제처의 법령해석과 정부법무공단의 법률자문 내용은 동일 -"
24 류철호, "법령상 협의규정에 관한 검토" 44-68, 2005
25 박진영, "기초지방자치단체가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위법한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권한쟁의심판청구의 적법성 – 권한쟁의심판과 행정소송법상 항고소송과의 관할 경합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28 (28): 775-814, 2022
26 김하열, "권한쟁의심판의 발전과 과제" 19 : 415-485, 2008
27 이원우, "군사시설보호구역에 의한 재산권 제한과 피해구제방안" 19 : 9-29, 2002
28 박현정, "국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보조금 지원 거부에 관한 소고 ― 대법원 2011. 9. 29. 선고 2010두26339 판결을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32) : 159-191, 2012
29 이상덕, "국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간접보조금 지원 거부에 관한 항고소송에서의 대상적격과 원고적격" 사법발전재단 1 (1): 237-271, 2013
30 교육부, "교육부 전북 경기 교육청 자사고 지정취소 동의신청에 대한 검토 결과 발표"
31 전라북도교육청, "교사의 교육권, 안정적으로 행사할 수 있어야” (생략) - 교육부장관 부동의 관련해서는 대법원 제소키로 -"
32 최봉석, "自治事務의 職權取消에 대한 異議의 訴"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3 (23): 263-306, 2018
33 장경원, "敎育自治와 國家의 監督權 (대법원 2015.9.10. 선고 2013추517 판결, 대법원 2015.9.10. 선고 2013추524 판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4 (24): 135-161, 2017
34 조성규, "地方自治權의 司法的 保障: 抗告訴訟의 可能性을 중심으로" 행정법이론실무학회 14 : 239-272, 2005
35 정남철, "地方自治團體에 대한 國家監督 및 司法的 統制"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6 (16): 313-340, 2016
36 전라북도교육청, "2019년 자율형 사립고 운영성과 평가결과"
37 교육부, "2014 교육부(본부) 규제 완화 현황"
“유럽연합 기본권 헌장과 유럽연합 회원국 기본권 목록 담론의 상호관계”에 대한 토론문
“한국의 정치적・사회적 발전과 평등권해석론의 몇 가지 과제”에 대한 토론문
“프랑스의 인권 혁명, 그 전환점들과 미래”에 대한 토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