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종진, "李穀의 산문에 나타난 성리학과의 교섭 양상" 우리한문학회 13 (13): 63-83, 2005
2 박성규, "李穀의 詠史詩 硏究" 한국문학회 26 : 2000
3 김종진, "李穀의 詠史詩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12 : 1998
4 황재국, "李穀의 散文에 나타난 作家意識" 강원대학교 20 : 1984
5 유호진, "李穀 詩에 있어서의 反省的 視線과 自由에의 志向" 한국한문학회 26 : 2000
6 鄭垣杓, "李穀 詩 硏究" 한국한시학회 1 : 1995
7 安秉卨, "李穀 竹夫人傳의 題材 in:중국학논총" 중국문제연구소 1990
8 황재국, "李穀 文學 硏究" 경희대학교 1984
9 元周用, "李奎報의 記에 관한 考察" 성균관대학교 1998
10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 1995
1 김종진, "李穀의 산문에 나타난 성리학과의 교섭 양상" 우리한문학회 13 (13): 63-83, 2005
2 박성규, "李穀의 詠史詩 硏究" 한국문학회 26 : 2000
3 김종진, "李穀의 詠史詩 硏究" 한국한문교육학회 12 : 1998
4 황재국, "李穀의 散文에 나타난 作家意識" 강원대학교 20 : 1984
5 유호진, "李穀 詩에 있어서의 反省的 視線과 自由에의 志向" 한국한문학회 26 : 2000
6 鄭垣杓, "李穀 詩 硏究" 한국한시학회 1 : 1995
7 安秉卨, "李穀 竹夫人傳의 題材 in:중국학논총" 중국문제연구소 1990
8 황재국, "李穀 文學 硏究" 경희대학교 1984
9 元周用, "李奎報의 記에 관한 考察" 성균관대학교 1998
10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 1995
11 유이경, "이곡의 說 작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12 홍성욱, "이곡 산문의 연구-성리학적 이데올로기의 실천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회 11 : 1999
13 元周用, "목은 이색 산문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14 김광철,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국사편찬위원회 19 : 1996
15 이병혁, "高麗末 性理學 受容과 漢詩" 태학사 2003
16 고혜령, "高麗後期 士大夫와 性理學 受容" 일조각 2002
17 김시업, "高麗後期 士大夫文學의 性格" 성균관대학교 1989
18 황의열, "韓國 文集의 文體分類 硏究1" 우리한문학회 5 : 2001
19 權近, "陽村集"
20 이병혁, "稼亭의 思想과 그 文學" 불함문화사 10 : 1989
21 李穀, "稼亭集"
22 宋載卲, "稼亭 李穀의 「東遊記」에 대하여" 한국한문학회 24 : 1999
23 황재국, "稼亭 李穀의 시에 나타난 望鄕․思親과 歸去來의 意味" 온지학회 4 : 1998
24 유명종, "稼亭 李穀의 生涯와 思想" 한국동양철학회 8 : 1997
25 황재국, "稼亭 李穀 文學 硏究" 경희대학교 1979
26 김시황, "稼亭 李穀 先生의 「代言官請罷取童女書」 簡介" 동아인문학회 13 : 2001
27 申翊聖, "樂全堂稿"
28 田祿生, "埜隱逸稿"
29 何寄澎, "唐宋古文新探" 大安出版社 1998
30 成偉鈞, "修辭通鑒" 中國靑年出版社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