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태준, "홍대용과 그의 시대" 일지사 1987
2 김병민, "홍대용과 고항삼재의 사상문화교류 in: 한국이행기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5
3 정훈식, "홍대용 연행록의 구성방식과 성격" 한국문학회 (40) : 59-82, 2005
4 김병민, "조선중세기 북학파문학연구" 목원대학출판사 1992
5 洪大容, "신편 국역 홍대용 담헌서 3" 민족문화추진회 2008
6 金景善, "燕轅直指" 민족문화추진회 1976
7 朴趾源, "燕巖集" 민족문화추진회
8 洪大容, "湛軒書" 경인문화사 1972
9 배원환, "湛軒 洪大容의 「燕記」硏究" 嶺南大學校 2001
10 정훈식, "洪大容의 燕行錄 硏究" 부산대학교 2007
1 김태준, "홍대용과 그의 시대" 일지사 1987
2 김병민, "홍대용과 고항삼재의 사상문화교류 in: 한국이행기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5
3 정훈식, "홍대용 연행록의 구성방식과 성격" 한국문학회 (40) : 59-82, 2005
4 김병민, "조선중세기 북학파문학연구" 목원대학출판사 1992
5 洪大容, "신편 국역 홍대용 담헌서 3" 민족문화추진회 2008
6 金景善, "燕轅直指" 민족문화추진회 1976
7 朴趾源, "燕巖集" 민족문화추진회
8 洪大容, "湛軒書" 경인문화사 1972
9 배원환, "湛軒 洪大容의 「燕記」硏究" 嶺南大學校 2001
10 정훈식, "洪大容의 燕行錄 硏究" 부산대학교 2007
11 김태준, "洪大容評傳" 민음사 1987
12 허경진, "洪大容 집안에서 편집한『燕杭詩牘』" 열상고전연구회 (27) : 247-298, 2008
13 小川晴久, "十八世紀의 哲學과 科學의 사이-洪大容과 三浦梅園" (20) : 233-256, 1978
14 정훈식, "「건정동필담(乾淨同筆談」과 사행문학의 전환" 배달말학회 (31) : 299-321, 2002
15 김현미, "18세기 연행록의 전개와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