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통령 연설문에서 ‘한류’가 시대적 흐름과 정책 기조에 따라 어떻게 의미적으로 확장되고 변형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김대중 정부부터 문재인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81789
손연정 (연세대학교)
2025
Korean
공기 표현 ; 국가 브랜드 ; 담론 ; 담화 분석 ; 대통령 연설문 ; 수행적 기능 ; 의미 확장 ; 한류 ; 화용론 ; Collocation ; National Branding ; Discourse Analysis ; Presidential Speeches ; Speech Acts ; Semantic Expansion ; Policy Discourse ; Hallyu ; Pragmatics
KCI등재
학술저널
31-61(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통령 연설문에서 ‘한류’가 시대적 흐름과 정책 기조에 따라 어떻게 의미적으로 확장되고 변형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김대중 정부부터 문재인 정...
본 연구는 대통령 연설문에서 ‘한류’가 시대적 흐름과 정책 기조에 따라 어떻게 의미적으로 확장되고 변형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김대중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의 대통령 연설문을 대상으로 빈도 분석, 공기 표현 분석, 의미 확장 및 화용적 기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통령 연설문에서 ‘한류’의 사용 빈도는 정권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박근혜·문재인 정부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둘째, ‘한류’의 의미적 확장은 경제(산업화·창조경제), 문화(K-POP·콘텐츠 확산), 외교(공공외교·국가 브랜드)의 세 가지 맥락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한류의 화용론적 기능은 강조, 선언, 정책 제안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정부별 정책 기조와 연계되어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대통령 연설문을 통해 ‘한류’가 단순한 문화적 개념이 아니라 정책적 의미를 형성하며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뉴스 기사, 정책 보고서, SNS 등 다양한 자료를 포함한 분석이 필요하며,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반영한 질적 연구도 유용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oncept of "Hallyu" has evolved in presidential speeches, reflecting historical trends and policy orientations. By examining speeches from the Kim Dae-jung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s through frequency, collocation, ...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oncept of "Hallyu" has evolved in presidential speeches, reflecting historical trends and policy orientations. By examining speeches from the Kim Dae-jung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s through frequency, collocation, semantic expansion, and pragmatic function analysis, key patterns were identified. Findings indicate that "Hallyu" was referenced most frequently in the Park Geun-hye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s. Its semantic expansion spans economic (industrialization, creative economy), cultural (K-POP, content expansion), and diplomatic (public diplomacy, national branding) contexts. Pragmatically, it functions as emphasis, declaration, and policy proposal, aligning with each administration's policy goal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Hallyu" is not merely a cultural phenomenon but a strategic policy discourse shaped by governmental priorities. Future research should integrate diverse sources, including media and policy documents, to further explore its evolving role.
도시거주 여성노인의 대인관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블루오션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K-Pop 걸그룹의 차별화 전략 사례 연구 : 걸밴드 QWER를 중심으로
사회문제 인식을 위한 영화 활용에 대한 연구 : K 대학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