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NS characteristics on the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farmhouse restaur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318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NS characteristics of farmhouse restaurants on the value of choice factors, trust, and satisfaction among consumers who have visited farmhouse restaurants using SNS, focusing on farmhouse restauran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ore reputation, comment/review, decision making, and playability of SNS characteristic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value of the farmhouse restaurant. Second,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SNS characteristics on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farmers 'restaurants and the playability of SNS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ection factors (value, trust) of farmers' restaurants. The result of this is that consumers who visit the farmhouse by 'searching' and 'searching' the SNS will feel more relaxed by receiving the kind and courteous service with the trust and safe and healthy food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fresh ingredients of the farmhouse restaura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NS characteristics of farmhouse restaurants on the value of choice factors, trust, and satisfaction among consumers who have visited farmhouse restaurants using SNS, focusing on farmhouse restau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NS characteristics of farmhouse restaurants on the value of choice factors, trust, and satisfaction among consumers who have visited farmhouse restaurants using SNS, focusing on farmhouse restauran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ore reputation, comment/review, decision making, and playability of SNS characteristic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value of the farmhouse restaurant. Second,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SNS characteristics on selec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farmers 'restaurants and the playability of SNS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election factors (value, trust) of farmers' restaurants. The result of this is that consumers who visit the farmhouse by 'searching' and 'searching' the SNS will feel more relaxed by receiving the kind and courteous service with the trust and safe and healthy food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fresh ingredients of the farmhouse restaur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NS을 이용하여 농가맛집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의 농가맛집의 SNS특성이 선택요인 가치와 신뢰 그리고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농가맛집의 경영에 있어 고객들의 SNS특성에 초점을 두고 고객관리 및 마케팅 방향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 중 가치와의 관계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각각 측정 변수 간에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SNS특성의 점포명성, 댓글/리뷰, 의사결정, 유희성이 농가맛집의 가치에 직접적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 중 신뢰와의 관계에서는 상호작용’, ‘유희성’ 요인보다 의사결정, 점포명성, 댓글/리뷰가 신뢰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유희성’, ‘댓글/리뷰’, ‘점포명성’이 ‘의사결정’, ‘상호작용’보다 만족에 높은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작용’, ‘유희성’에는 낮은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SNS특성을 활용하여 농가맛집을 방문 할 때 다양한 SNS특성을 참고하여 농가맛집을 방문 하더라도 ‘의사결정’과 댓글/리뷰’, ‘점포 명성’에 높은 영향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농가맛집의 선택요인(가치, 신뢰)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신뢰 그리고 가치의 순으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특성이 선택요인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농가맛집의 만족에 SNS특성의 유희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가치, 신뢰)에 모두 유희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댓글/리뷰’, ‘의사결정’, ‘상호작용’, ‘점포 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가치, 신뢰)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농가맛집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상의 SNS특성을 이용함에 대한 관련 연구의 이론적인 기초를 보다 체계화 하였고, 특히 온라인을 이용한 SNS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SNS특성의 연구들은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좋은 접근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SNS을 이용하여 농가맛집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의 농가맛집의 SNS특성이 선택요인 가치와 신뢰 그리고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농가맛집의 경영에 있어 고객들...

      본 연구는 SNS을 이용하여 농가맛집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의 농가맛집의 SNS특성이 선택요인 가치와 신뢰 그리고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농가맛집의 경영에 있어 고객들의 SNS특성에 초점을 두고 고객관리 및 마케팅 방향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 중 가치와의 관계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각각 측정 변수 간에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SNS특성의 점포명성, 댓글/리뷰, 의사결정, 유희성이 농가맛집의 가치에 직접적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 중 신뢰와의 관계에서는 상호작용’, ‘유희성’ 요인보다 의사결정, 점포명성, 댓글/리뷰가 신뢰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유희성’, ‘댓글/리뷰’, ‘점포명성’이 ‘의사결정’, ‘상호작용’보다 만족에 높은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작용’, ‘유희성’에는 낮은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SNS특성을 활용하여 농가맛집을 방문 할 때 다양한 SNS특성을 참고하여 농가맛집을 방문 하더라도 ‘의사결정’과 댓글/리뷰’, ‘점포 명성’에 높은 영향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농가맛집의 선택요인(가치, 신뢰)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신뢰 그리고 가치의 순으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특성이 선택요인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농가맛집의 만족에 SNS특성의 유희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가치, 신뢰)에 모두 유희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댓글/리뷰’, ‘의사결정’, ‘상호작용’, ‘점포 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특성이 농가맛집의 선택요인(가치, 신뢰)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농가맛집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상의 SNS특성을 이용함에 대한 관련 연구의 이론적인 기초를 보다 체계화 하였고, 특히 온라인을 이용한 SNS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SNS특성의 연구들은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좋은 접근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효선, "한식당 방문 고객의 경험적 가치가 신뢰,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별의 조절효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185-203, 2010

      2 김정애, "패밀리레스토랑의 쾌락적/실용적 가치가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격할인 사용유무를 조절효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33-56, 2016

      3 김규영, "컨벤션센터의 지각된 환경단서. 이미지, 만족, 애호도, 재참가 의도의 관계" 13 : 81-105, 2006

      4 유현경, "컨벤션 SNS 홍보 특성에 따른 참가만족도 및 행동의도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0 (30): 185-197, 2016

      5 제갈 연수, "지역축제 선호 유형에 따른 농가맛집 차별화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1

      6 농촌진흥청, "지역농업특성화기술지원사업 등 6차산업화 시범사업 성과분석" 엘케이경영연구원 2015

      7 송주완, "외식업체 SNS의 광고가치가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8 (18): 137-164, 2015

      8 김혜숙, "외식상품 SNS 구전정보 특성이 신뢰 및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NS 수신자 특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255-282, 2016

      9 허영욱, "외식산업의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 성과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10 안대희, "외식기업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품질이 브랜드명성과 품질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4 (14): 169-188, 2011

      1 정효선, "한식당 방문 고객의 경험적 가치가 신뢰, 고객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별의 조절효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185-203, 2010

      2 김정애, "패밀리레스토랑의 쾌락적/실용적 가치가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격할인 사용유무를 조절효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33-56, 2016

      3 김규영, "컨벤션센터의 지각된 환경단서. 이미지, 만족, 애호도, 재참가 의도의 관계" 13 : 81-105, 2006

      4 유현경, "컨벤션 SNS 홍보 특성에 따른 참가만족도 및 행동의도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0 (30): 185-197, 2016

      5 제갈 연수, "지역축제 선호 유형에 따른 농가맛집 차별화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1

      6 농촌진흥청, "지역농업특성화기술지원사업 등 6차산업화 시범사업 성과분석" 엘케이경영연구원 2015

      7 송주완, "외식업체 SNS의 광고가치가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8 (18): 137-164, 2015

      8 김혜숙, "외식상품 SNS 구전정보 특성이 신뢰 및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NS 수신자 특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255-282, 2016

      9 허영욱, "외식산업의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 성과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10 안대희, "외식기업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품질이 브랜드명성과 품질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4 (14): 169-188, 2011

      11 문영주, "온라인 커뮤니티 명성,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 즐거움이 성과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신뢰와 몰입을 매개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9 (9): 75-99, 2008

      12 김재욱, "온라인 커뮤니티 마케팅 활동과 친커뮤니티 행동간의 관계에 있어서 몰입의 매개역할" 한국마케팅학회 17 (17): 77-98, 2002

      13 김형준, "스마트폰 외식정보서비스의 구전정보 특성에 따른 신뢰형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pplication 외식정보서비스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3 (23): 45-64, 2014

      14 김기진, "스마트폰 외식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용이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친숙도와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 (20): 61-81, 2011

      15 손세창, "소셜커머스 만족과 불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012 (2012): 1101-1119, 2012

      16 김경호, "소규모 농가경영체 가공 및 외식산업의 퍼플오션 창출을 위한 농축산품 소재 발굴과 상품화 전략 연구" 농촌진흥청 2018

      17 김철완, "브랜드 SNS 몰입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30 (30): 107-116, 2012

      18 박선희, "백화점 CRM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에 미치는 영향-대전지역 의류제품 고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28 (28): 1186-1195, 2004

      19 김태곤, "농업의 6차산업화 개념설정과 창업방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20 황영모, "농업 농촌의 6차산업화-일본의 논의와 전북의 사례를 중심으로" 2011

      21 성보영, "농가맛집의 지각된 가치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산업연구소 9 (9): 91-106, 2015

      22 김현철, "농가맛집의 경영성과 측정 지표 개발" 2012 (2012): 139-139, 2013

      23 김수인, "농가맛집에서 사용하는 로컬 푸드에 대한 신뢰가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4 (24): 906-914, 2014

      24 이유재, "기업의 수익성과 가치에 미치는 고객만족의 동태적 영향" 2007 (2007): 1-14, 2007

      25 대구경북신문, "경북여행길, 농가맛집에서 따뜻한 향토음식으로"

      26 "www.nongsaro.go.kr"

      27 Oliver, R. L., "Whence consumer loyalty" 1 : 33-44, 1999

      28 Rizavi, S. S, "User perceived quality of social networking web site: A study of labor region" 2 (2): 902-913, 2011

      29 Hausman, A. V., "The effect of web interface features on consumer online purchase intentions" 62 (62): 5-13, 2009

      30 오왕규,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한 외식기업의 SNS특성이 사용자 지각과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31 Speckman, R. E., "Strategic supplier selection: Understanding long-term buyer relationships" 31 (31): 75-81, 1988

      32 Holbrook, M. B., "Service quality. In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 21-71, 1994

      33 성혜진, "SNS를 통한 외식정보 검색시 개인특성과 사용자 만족, 지속적 이용의도,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5 (15): 81-101, 2012

      34 곽비송, "SNS 특성이 레스토랑의 몰입 및 신뢰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학회 9 (9): 103-123, 2013

      35 박태후, "SNS 정보품질이 가치, 태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36 Tse, D. K,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An extension" 25 (25): 204-213, 1988

      37 Woodruff, R. B., "Know your customer: new approaches to understanding customer value and satisfaction cambridge, 17(3)" blackwell publishers 11-, 1996

      38 Zhu, F. X., "IT-based services and service quality in consumer banking" 13 (13): 69-90, 2002

      39 McLeon, R, "Getting to Value" 43 (43): 25-29, 2002

      40 Liu, C., "Explor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b site success in the context of electronic commerce" 38 (38): 23-33, 2000

      41 Anderson, E., "Determinants of continuity in conventional Industrial channel dyads" 8 (8): 310-323, 1989

      42 Koufaris, M., "Customer trust online: Examining the role of the experience with the web site" Zicklin School of Business, Baruch College 2002

      43 Swan, J. E, "Customer trust in the Salesperson: An integrative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mpirical literature" (44) : 93-107, 1999

      44 Zeithamal, V. A., "Consumer perception of price, Quality and value :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52 (52): 2-22, 1998

      45 Engel, J. F., "Consumer behavior" The Dryden Press 1994

      46 Kohli, D. K, "A search tool for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conserved sequence patterns in saccharomyces spp. orthologous promoter" 4 (4): 411-415, 2004

      47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년 인터넷 실태조사"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5 2.45 2.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8 2.37 2.735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