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연합은 ‘사회적’인가?: 사회적 시장경제 담론의 제도화와 유럽의회 = The EU is ‘Social’?: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course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and the European Parlia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408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사회적 시장경제가 어떻게 유럽연합의 준헌법적 원칙이자 EU의 핵심 기준이 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럽의회에서 사회적 시장경제 담론의 제도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의 질서자유주의에 기초한 사회적 시장경제가 EU의 일상화된 담론으로 제도화되어 리스본조약에 포함되는 과정에서 유럽의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EU의 사회적 시장경제는 유럽화의 관점과 마찬가지로 EU 경제를 이해하는 특정한 방식으로 확고한 자리를 잡았으며, 점진적인 수렴 과정을 통한 제도화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적 시장경제가 담론적 실천의 집합체로서 제도화되고 유럽적 정체성으로 재구성되어 일상적 담론으로 안정화되는 변화를 일으키는 정치적 동원과 전략은 무엇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유럽통합 초기부터 2007년 리스본조약에 명시되기까지 유럽의회에서 사회적 시장경제라는 담론의 제도화 과정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EU는 과연 ‘사회적’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사회적 시장경제가 어떻게 유럽연합의 준헌법적 원칙이자 EU의 핵심 기준이 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럽의회에서 사회적 시장경제 담론의 제도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

      본 논문은 사회적 시장경제가 어떻게 유럽연합의 준헌법적 원칙이자 EU의 핵심 기준이 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럽의회에서 사회적 시장경제 담론의 제도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의 질서자유주의에 기초한 사회적 시장경제가 EU의 일상화된 담론으로 제도화되어 리스본조약에 포함되는 과정에서 유럽의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EU의 사회적 시장경제는 유럽화의 관점과 마찬가지로 EU 경제를 이해하는 특정한 방식으로 확고한 자리를 잡았으며, 점진적인 수렴 과정을 통한 제도화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적 시장경제가 담론적 실천의 집합체로서 제도화되고 유럽적 정체성으로 재구성되어 일상적 담론으로 안정화되는 변화를 일으키는 정치적 동원과 전략은 무엇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유럽통합 초기부터 2007년 리스본조약에 명시되기까지 유럽의회에서 사회적 시장경제라는 담론의 제도화 과정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EU는 과연 ‘사회적’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discourse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the European Parliament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social market economy became a core standard of the EU, recognized as a quasi-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EU and on par with other priorities of the community. The European Parliament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social market economy based on German ordoliberalism was institutionalized as a routine discourse of the EU and introduced into the Lisbon Treaty. In addition, the EU’s social market economy, like the perspective of Europeanization, was firmly established as a specific way of understanding the EU economy, and institutionalization proceeded through a gradual convergence process. In this regard, this paper trac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discourse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the European Parliament from the early days of European integration to its inclusion in the 2007 Lisbon Treaty in order to understand more specifically what political mobilization and strategies brought about the change in which the social market economy was institutionalized as a set of discursive practices, reconstructed as a European identity, and stabilized in everyday life. Through this, it aims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EU is social.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discourse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the European Parliament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social market economy became a core standard of the EU, recognized as a quasi-constitutional p...

      This paper examin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discourse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the European Parliament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social market economy became a core standard of the EU, recognized as a quasi-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EU and on par with other priorities of the community. The European Parliament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social market economy based on German ordoliberalism was institutionalized as a routine discourse of the EU and introduced into the Lisbon Treaty. In addition, the EU’s social market economy, like the perspective of Europeanization, was firmly established as a specific way of understanding the EU economy, and institutionalization proceeded through a gradual convergence process. In this regard, this paper trac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discourse on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the European Parliament from the early days of European integration to its inclusion in the 2007 Lisbon Treaty in order to understand more specifically what political mobilization and strategies brought about the change in which the social market economy was institutionalized as a set of discursive practices, reconstructed as a European identity, and stabilized in everyday life. Through this, it aims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EU is socia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