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Space 시대의 민간기업의 우주 활동 참여는 우주의 상업적 활동에 대한 국제적인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촉진하고 있다. 현재 우주 상업적 활동 중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우주 자원 활동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0890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5-174(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New Space 시대의 민간기업의 우주 활동 참여는 우주의 상업적 활동에 대한 국제적인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촉진하고 있다. 현재 우주 상업적 활동 중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우주 자원 활동이...
New Space 시대의 민간기업의 우주 활동 참여는 우주의 상업적 활동에 대한 국제적인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촉진하고 있다. 현재 우주 상업적 활동 중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우주 자원 활동이다. 무엇보다 미국의 국내법이 미국 시민에게 우주 자원의 소유권을 인정한 것은 1967년 외기권 협약의 주요 원칙인 인류 공동 유산성과 전유 금지 원칙을 위반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우주 경제 시대에 민간기업과 민간인의 우주에 대한 상업적 활동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촉진할 수 있는 국내 기본법 제정에 대해 독일 관련법들과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WTO 중심의 국제 경제 통합 제도가 주도하는 자본주의 시장 경제를 보완하는 사회 국가 원리를 반영한 기본법의 필요성에 대해 우주 자원과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creasing involvement of private companies in space activities during the New Space era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international governance of commercial endeavors in space. Currently, the most contentious aspect of space commercialization is ...
The increasing involvement of private companies in space activities during the New Space era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international governance of commercial endeavors in space. Currently, the most contentious aspect of space commercialization is the extraction of space resources. Notably, the recognition of ownership of space resources by American citizens under U.S. domestic law has faced criticism for potentially violating the principles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and non-appropriation, which are fundamental tenets of the 1967 Outer Space Treaty.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basic law that can facilitate commercial activities in space by private companies and civilians in a constructive manner during the era of the space economy, with a focus on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of relevant German laws.
In particular, I aim to analyze legislative measures for space resource activities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the essential legal functions of basic laws, which reflect the principles of a social state complementing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on which the international economic integration system is based, with a focus on WTO
경기도 스마트시티 정책 방향 모색: 싱가포르와 바르셀로나 사례를 중심으로
유럽연합은 ‘사회적’인가?: 사회적 시장경제 담론의 제도화와 유럽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