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양립갈등, 생활만족, 직무디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직장보육시설 여성근로자 1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708472
2015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293-303(1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직장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양립갈등, 생활만족, 직무디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직장보육시설 여성근로자 1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
직장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양립갈등, 생활만족, 직무디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직장보육시설 여성근로자 1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정직장갈등(FWC)은 직무디스트레스(WDIS)에, 직무디스트레스(WDIS)는 직장가정갈등(WFC)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직장가정갈등(WFC)이 높아지면 생활만족(LS)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가정직장갈등(FWC)은 직무디스트레스(WDIS)를 통한 완전매개경로를 통해 생활만족(LS)에 영향을 미쳤고, 직장가정갈등(WFC)은 직무디스트레스(WIDS)가 생활만족(LS)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갈등이 갖는 양방향성(bi-direction)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생활만족(LS)과의 관계가 단순히 부정적이라고만 밝힌 기존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직장가정갈등(WFC), 가정직장갈등(FWC), 직무디스트레스(WDIS) 간의 관계를 구분하여 살펴 봄으로써, 각 갈등의 방향성에 따른 결과를 보다 명확히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연구대상이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여성근로자들로 한정되어 있어서 일반 여성 근로자들과의 비교를 통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role conflicts(WFC, FWC), work distress(WDIS), and life satisfaction(LS) for female workers using child daycare center in workplace. From the data of 137 female workers, it showed statistically 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role conflicts(WFC, FWC), work distress(WDIS), and life satisfaction(LS) for female workers using child daycare center in workplace. From the data of 137 female worker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at FWC on WDIS and WDIS on WFC were positive. It also demonstrated the degree of WFC was higher, the LS level was lower. The results revealed not only WDIS fully mediated between FWC and LS, but also WFC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IDS and LS. Compar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failed to tell the directions of work-family role conflicts on LS,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bi-directional work-family role conflicts in searching for causal relationships among WFC, FWC, WDIS, and LS. This study recommended further studies for comparing female workers using child daycare center in workplace or no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윤홍, "호텔 종사원의 직무/가족갈등과 직무디스트레스 관계 연구" 4 (4): 153-176, 2004
2 이종민, "항공사 기혼 객실여승무원의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만족, 생활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관광경영학회 18 (18): 227-247, 2014
3 강수돌, "캐나다의 ‘직장-가정 갈등’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18 (18): 327-359, 2012
4 전지현, "취업모의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가족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4
5 박인규,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 사이에서의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관광호텔종사원들을중심으로" 6 (6): 211-223, 2004
6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012
7 서동희,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한국콘텐츠학회 8 (8): 173-181, 2008
8 김경륜,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3 (53): 91-120, 2014
9 가영희,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163-186, 2006
10 최수찬, "비동거가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8 (18): 157-182, 2006
1 서윤홍, "호텔 종사원의 직무/가족갈등과 직무디스트레스 관계 연구" 4 (4): 153-176, 2004
2 이종민, "항공사 기혼 객실여승무원의 직장-가정 갈등과 직무만족, 생활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관광경영학회 18 (18): 227-247, 2014
3 강수돌, "캐나다의 ‘직장-가정 갈등’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18 (18): 327-359, 2012
4 전지현, "취업모의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가족지원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4
5 박인규,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 사이에서의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관광호텔종사원들을중심으로" 6 (6): 211-223, 2004
6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012
7 서동희,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한국콘텐츠학회 8 (8): 173-181, 2008
8 김경륜,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3 (53): 91-120, 2014
9 가영희,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163-186, 2006
10 최수찬, "비동거가족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성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8 (18): 157-182, 2006
11 천덕희, "바리스타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의 관계 연구"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2 (12): 97-110, 2013
12 양회창, "리더와의 접촉빈도와 심리적 거리가 직무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구성원이 인지하는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유통과학회 12 (12): 41-48, 2014
13 전해옥, "기혼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및 정신건강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78-385, 2011
14 박경환,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관계가 관리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5 (25): 879-905, 2012
15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 중급" S&M 리서치 그룹 2012
16 J. Rantanen, "Work-family Con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Stability and Cross-lagged Relations within One-and-six year Follow-ups" 73 : 37-51, 2008
17 S. L. Narayanan, "Work-Family Conflict-An Exploratory Study of the Dependents Child's Age on Working Mothers" 2 (2): 449-470, 2013
18 L. Kulik, "Work-Family Conflict, Resources, and Role Set Density : Assessing their effects on Distress Among Working Mothers" 40 (40): 445-465, 2013
19 J. H. Greenhaus,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31 : 72-92, 2006
20 J. H. Wayne, "The Role of Identity and Work-Family Support in Work-Family Enrichment and its Work-Related Consequences" 69 : 445-461, 2006
21 Y. Hua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to-Family Conflict and Family-to-Work Conflict : A Longitudinal Study" 25 (25): 79-100, 2004
22 J. H. Greenhaus, "Source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10 (10): 76-88, 1985
23 M. Wu,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onflict with Business and Marriage Outcomes in Taiwanese Copreneurial Women" 25 (25): 742-753, 2010
24 S. E. Anderson, "Organizational Initiatives and Informal Workplace Practices : Links to Work-Family Conflict and Job-Related Outcomes" 28 (28): 787-810, 2002
25 S. B. James, "Interrelationships of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Different Facets of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23 (23): 99-113, 2003
26 C. M. Brotheridge, "Impact of Work-Family Interference on General Well-being : A Replication and Extension" 12 (12): 203-221, 2005
27 M. R. Frone, "Developing and Testing an Integrative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50 : 145-167, 1997
28 J. R. Mesmer-Mangus, "Convergence between Measures of 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 : A Meta-analytic Examination" 67 : 215-232, 2005
29 M. R. Frone, "Antecen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77 (77): 65-78, 1992
30 J. P. Near, "A Comparison of Work and Nonwork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27 (27): 184-190, 1984
방사선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어 음운인식에서의 조음거리와 긴장성 자질의 특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