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 증진 전략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생성한 아이디어를 미술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감상, 소통함으로써 유아의 미술적 능력과 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 증진 전략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생성한 아이디어를 미술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감상, 소통함으로써 유아의 미술적 능력과 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 증진 전략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생성한 아이디어를 미술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감상, 소통함으로써 유아의 미술적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고자 하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미술성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는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단계, 교사의 역할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을 선정한 후,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및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성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D유치원 만 5세 2학급(실험집단: 23명, 비교집단: 23명) 유아 46명이다. 유아 미술성향 검사는 윤현숙(2005)이 제작한 ‘미술성향 검사’를 사용하였고, 유아 그림표현능력 검사는 장순미(2008)가 제작한 ‘그림표현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2019년 6월 13일부터 8월 14일까지 9주 동안 총 21회로, 실험집단은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성향 및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결과,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연과 주변 환경을 다양하게 탐색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 소통하는 미술교육을 통해 미술적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로 선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대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탐색하고 인식하는 능력을 기른다.’,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른다.’, ‘예술작품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열린 마음으로 감상하는 능력을 기른다.’, ‘나와 다른 사람의 예술작품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기른다.’, ‘미술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대상의 아름다움에 반응하며 풍부한 감성과 심미적 태도를 기른다.’로 설정하였다. 교육내용은 아름다움 탐색, 창의적 표현, 예술 감상으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단계, 교사의 역할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다양성의 원리’, ‘창의적 사고의 원리’, ‘몰입의 원리’, ‘소통의 원리’, ‘개방성의 원리’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단계는 동기 유발 및 자료 탐색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정교화하기, 미술표현하기, 미술작품 공유 및 재표현하기, 평가하기로 구성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안내자’, ‘격려자’, ‘공유자’, ‘사고촉진자’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평가는 유아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둘째, [연구문제 2]의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은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미술교육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미술성향과 그림표현능력을 검사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미술성향과 그림표현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가 적합하게 구성된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미술성향과 그림표현능력 증진에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성 증진 전략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미술적 능력과 태도를 증진시키는 교육활동으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program is art education program in which children express their idea artistically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program is art education program in which children express their idea artistically with the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Also, through the program, children enjoy and communicate it, and can develop artistic ability and attitude. For such purpos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wo subjects - [Question 1] and [Question 2] -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composition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1-1. What are the purposes and objective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1-2.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1-3.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1-4. What are the evaluation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2-1. What is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on art disposition?
2-2. What is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on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In [Question 1], for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we have established the purposes and objectives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of early childhood and constructed the contents of education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works and precedent researches. Teaching-learning principles, teaching-learning stages, and teacher's role were constructed by teaching-learning methods. After selecting the evaluation methods of the program,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reviewing,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field suitability of the program.
In [Question 2],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on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drawing expression ability was proved. The research subjects were 46 five-year-old children (2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in the comparative group) at D kindergarten in J province.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Art Disposition Test' developed by Yoon Hyun-sook(2005)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Test’ developed by Jang Soon-mee(2008).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21 times for 9 weeks from June 13, 2019 to August 14, 2019: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 group; conventional art education activities was conducted in the comparative group. For the data analysis, multi 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on children's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veloping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the purpose of the program has been selected as developing children’s artistic ability and attitude by looking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oming up with their thought and feeling through communication. The selected specific objectives to achieve these are to develop in children the followings through ar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Raising the ability to explore and recognize objects in various ways’, ‘improving the ability to think and express about one’s thought and feeling, ‘improving the ability to appreciate with open mind and respecting the variety of art’, ‘raising the ability to share and communicate the others’ arts which are different from mine’, ‘improving the attitude to participate in artistic activity with much interest’, ‘responding the beauty of objects and improving deep sensibility and esthetic attitude’.
We have determined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throughout the experiment as the follow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exploring the beauty, creative expression, appreciating the ar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consisted of teaching-learning principles, pha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s roles.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consisted of ‘the principle of variety’, ‘the principle of creative thought’, ‘the principle of immersion’, ‘the principle of communication’ and ‘the principle of openness’. The phase of teaching and learning consists of exploring the data and leading the motivation, coming up with idea, elaborating the idea, expressing the art, re-expressing and sharing the idea and evaluating. The teacher’s roles focus on the role of ‘guide’, ‘encourager’, ‘sharer’, ‘promoter of thought’. Evaluation of the program consisted of program evaluation and child evaluation; the child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being divided into the teacher evaluation and the child evaluation.
Secon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has been verified by the fac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in young children’s art disposition. In the sub-categor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art component ability, art expression ability and artistic attitude. In young children’s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categor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adequacy of content, detailed description, originality, adequacy of material and tool and the harmonious composition of a pictur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creativity in this study was connectively composed of purposes and objectiv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lso,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art disposition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These results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and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as educational activities to support children's artistic ability and attitud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1 유경훈, 이경화, "창의성", 서울: 동문사, 2014
2 김선, 한순미, 이경화, 성은현, 박숙희, "창의성", 서울: 학지사, 2004
3 박영태, "창의성의 별", 서울: 학지사, 2004
4 강유진, 임경애, 이원영, 김정미, "유아미술교육", 서울: 학지사, 2015
5 김영채, "CPS: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박영사, 2004
6 Arnheim, R., "시각적 사고 (김정오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7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교육부 고시 제 2019-189호, 2019
8 윤명술, "창의성 계발의 아동화 지도", 서울: 미술공론사, 2006
9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경기: 교육과학사, 2009
10 주상윤,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기법",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2010
1 유경훈, 이경화, "창의성", 서울: 동문사, 2014
2 김선, 한순미, 이경화, 성은현, 박숙희, "창의성", 서울: 학지사, 2004
3 박영태, "창의성의 별", 서울: 학지사, 2004
4 강유진, 임경애, 이원영, 김정미, "유아미술교육", 서울: 학지사, 2015
5 김영채, "CPS: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박영사, 2004
6 Arnheim, R., "시각적 사고 (김정오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7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고시문", 교육부 고시 제 2019-189호, 2019
8 윤명술, "창의성 계발의 아동화 지도", 서울: 미술공론사, 2006
9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경기: 교육과학사, 2009
10 주상윤,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기법", 울산: 울산대학교 출판부, 2010
11 Wilson, B., "명화로 배우는 드로잉 (김창식 역)", 서울: 미진사, 2007
12 전경원, "창의력 계발을 위한 유아미술교육", 서울:교문사, 2002
13 김경숙, 전경원, "누리과정이 반영된 유아 창의성 교육", 파주: 정민사, 2014
14 지성애, "유아 미술성향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31(5), 277-298, 2011
15 백중열, "교사를 위한 유아미술교육 이론과 실제", 경기: 공동체, 2013
16 이경화, "4, 5세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교육심리연구, 16(3), 147-160, 2002
17 김용환, 하정연, "백정이 자연친화적 접근의 유아미술교육", 경기: 공동체, 2015
18 이정욱, 임수진, "탐색, 표현, 감상의 통합적 유아미술교육", 경기: 정민사, 2014
19 Amabile, T. M.,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NY: CEF Press. (1996). 심리학의 눈으로 본 창조의 조건 (고빛샘 역). 서울: 21세기북스, 1989
20 Rovinson, K.,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학교혁명 (정미나 역)", 서울: 21세 기북스, 2015
21 김영채,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적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1999
22 안지령, "유아미술 작품에 반영된 목소리의 의미 고찰", 유아교육, 16(3), 151-162, 2007
23 안성혜, "유아용 코딩아트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설계", 예술교육연구, 17(2), 43-60, 2019
24 최윤정, "창의성 구성요소에 따른 미술지도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5 최혜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6 김우주, "Thiking Maps를 활용한 창의성 미술 교육 지도 방안", 아동미술교 육, 12, 79-97, 2013
27 박라미, "미술교육에서 아동미술재료 인식변화의 필요성", 아동미술교육, 3(3), 17-34, 2004
28 Malchiodi, C. A., "아동미술 심리 이해 (김동연, 이재연, 홍은주 역)", 서 울: 학지사, 1998
29 Cropley, A. J., "창의성 계발과 교육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역)", 서울: 학지사, 2001
30 이미혜, "자연친화적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1 성진숙, 조연순, 이혜숙, "창의성교육: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32 문승한, "MeFOT 모형의 주요 학습방법 탐색 및 수업방법 제안", 인문사회 21, 7(4), 455-473, 2016
33 박미진, "창의성 발현 요인에 관한 미술교육자의 인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4 박정애, "의미 만들기의 미술: 미술교육을 위한 새 패러다임", 서울: 시공사, 2008
35 정희경,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방안연구", 부산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6 홍나연, "코딩을 활용한 창의 융합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37 백영애, "DBAE에 기초한 유아미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8 서민주, 임부연, "유아 미술활동에서 조형매체를 통한 소통의 의미 탐구", 미술교육논총, 28(2), 31-58, 2014
39 한종화,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40 박유영, "시지각 발상 중심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1 윤현숙, "유아를 위한 균형적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42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 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서울: 학지사, 2006
43 현화동, "유아교사의 미술교육 교수법 개선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중앙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4 임귀자,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5 박소영, "초등학교 미술과 교수 학습 방법 연구. 연구보고 RRC 2002-14-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46 박영태, 하수연, "활동형태에 따른 MeFOT 훈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인문논총, 29, 264-288, 2008
47 김혜현, "PBL CPS 미술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8 이희경, "창의성 계발 사고기법을 활용한 초등미술과 수업 방안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9 Weisberg, R., "창의성: 문제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 (김미선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50 오종숙, "창의적 표현의 기회가 유아의 미술표현 방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51 박유진,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 교육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연구",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2 김미남, "아동의 미술 정의에 내재된 담론 분석: 미술교육 방향의 재고", 조 형교육, 46, 29-49, 2013
53 문현경, "시각문화를 활용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4 박혜훈, "유아를 위한 인터랙티브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55 강병직, "문화예술기반 학교 창의성 지수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0(1), 1-30, 2015
56 Read, H., "예술을 통한 교육 (황향숙, 김성숙, 김지균, 김향미, 김황기 역)", 서울: 학지사, 1945
57 홍미영,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러닝 지원시스템 설계원리 개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8 곽정인, 이영애,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미술교육 관련 활동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5), 313-337, 2014
59 김혜숙, "학생들의 시각언어 표현력 향상의 창의성 계발의 상호관계 탐구", 미술교육논총, 25(1), 323-352, 2011
60 Anderson, T., Milbrandt, M. K., "삶을 위한 미술교육 (김정희, 최정 임, 신승렬, 김선아, 손지현 역)", 서울: 예경, 2012
61 Leong, D. J., McAfee, O.,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 평가 (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황윤세 역)", 서울: 학지사, 2008
62 김상언,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3 김경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4 임지수, "조형요소 중심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65 이윤영,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66 권미혜, "그림책과 연계한 감각중심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67 고은별, "그림책을 활용한 심미적 접근의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68 박현선, "그림을 통한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 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69 김영혜, "미술협동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0 조서희, "정재은브레인스토밍에 기초한 그리기표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29(2), 231-256, 2011
71 조석희,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사고개발, 9(2), 47-69, 2013
72 문인정, "토의중심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과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73 박인영,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창의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74 손금옥,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미술성향에 미치 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5 김선월, "자연의 미적 요소에 기초한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6 최경실,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 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7 김윤미, "CPS 활용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에 미 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8 옥부연, "Osbon-Parnes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미술교육 프로 그램 개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79 장순미, "미술관 방문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 및 그림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80 채영란,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의 발달 특성과 인지능력 및 재인 기억력 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1 이종구, "사고력 계발을 위한 언어로서의 미술교육- 만 4세에서 초등학생 을 대상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82 김인숙,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1(2), 239-265, 2014
83 김유리, "창의적 사고기법을 통한 표현력 향상에 관한 연구: 브레인스토밍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4 지성애,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지각력, 언어능력 및 또래상호작용 질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35-254, 2007
85 이화식, "황은선 창의성 계발 기법과 창의적 문제 해결법과의 관계? 미술 과를 중심으로", 조형교육, 33, 485-515, 2009
86 백승선,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에 기초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87 공자영, "CPS 디자인 프로젝트가 유아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 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8 김유나, "초등미술수업에서 트레핑거의 CPS모형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 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89 이규림, "명화를 활용한 창의적 발상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창의성 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209-229, 2015
90 장연자, "미래 사회와 미술교육 그리고 창의성: 창의성 강화를 위해 고려되 어야 할 전제들", 기초조형학연구, 16(1), 505-516, 2015
91 이정희, "CPS 모형을 활용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대인문제해결 력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92 황인순, "자연물을 활용한 협력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미술 성향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3 정미영, "종이접기와 점토를 활용한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미술성향과 공 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4 최정화, "시각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관한 연구: 타이포 일러 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95 양영모, "초등학교 학생의 창의성과 수업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창의적 문 제해결 팀 프로젝트 효과", Global Creative Leader, 7(1), 43-64, 2017
96 강소영, "Bernstein의 사고도구를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7 김성현, 양새롬, 김성희,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207-235, 2013
98 이민정, "미술교육에서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창의성 신장과 인성교육 방안: 지각과 소통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 17(3), 19-39, 2016
99 신혜림,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 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9
100 이승철, "디자인적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 해결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01 Epstein, A. S., "유아교수방법: 교육적 의도를 가진 교사 (이은해, 박진 재, 송영주, 송혜린, 신혜영, 정선진, 최혜영 역)", 파주: 양서원, 2009
102 김선아, 박진경, "창의성과의 관계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위 한 기초연구?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28(1), 89-122, 2014
103 Eisner, E. W., "Education artistic vision. London: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99).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서울교대미술교육연구회 역)", 서 울: 예경,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