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대중음악 소비자들에 관한 연구 -20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4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술 발전에 따라 문화산업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문화산업은 획일적이고 무비판적인 소비를 만들 수도 있다. 디지털 시대에 들어 대중음악의 소비는 쉽고 빨라졌지만, 규격화된 디지털 음악이 양산되면서 수동적인 소비를 만들고 있다.
      이 연구는 대중음악 소비자들의 음악 소비 방식과 대중음악 산업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디지털 음악을 주로 소비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물리적 음반인 CD를 구입하기보다는 디지털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해 음악을 소비하고 있었다. 음악을 듣는 방식이 변화한 것이다. 디지털 음악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편리함이나 최신 음악의 업데이트, 가격 등을 지적했다.
      대중음악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 대중음악 상품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동적 청취와 대중음악 산업에 대한 문제의식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획일적인 대중음악 소비에서 벗어나 공연이나 페스티벌, 장르의 다양성 등 디지털을 벗어난 음악 소비가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했다. 대중음악 산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독점적 자본과 아이돌 그룹 등 획일적인 상품 생산을 인정하면서도 현재 대중음악에 대한 과도한 비판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러한 인식은 문화산업 구조에서 음악 소비자들이 타협적으로 문화를 이해하고 소비하는 이중적 태도를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기술 발전에 따라 문화산업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문화산업은 획일적이고 무비판적인 소비를 만들 수도 있다. 디지털 시대에 들어 대중음악의 소비...

      기술 발전에 따라 문화산업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문화산업은 획일적이고 무비판적인 소비를 만들 수도 있다. 디지털 시대에 들어 대중음악의 소비는 쉽고 빨라졌지만, 규격화된 디지털 음악이 양산되면서 수동적인 소비를 만들고 있다.
      이 연구는 대중음악 소비자들의 음악 소비 방식과 대중음악 산업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디지털 음악을 주로 소비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물리적 음반인 CD를 구입하기보다는 디지털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해 음악을 소비하고 있었다. 음악을 듣는 방식이 변화한 것이다. 디지털 음악 서비스를 활용하는 이유는 편리함이나 최신 음악의 업데이트, 가격 등을 지적했다.
      대중음악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 대중음악 상품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동적 청취와 대중음악 산업에 대한 문제의식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획일적인 대중음악 소비에서 벗어나 공연이나 페스티벌, 장르의 다양성 등 디지털을 벗어난 음악 소비가 필요하다는 점에 동의했다. 대중음악 산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독점적 자본과 아이돌 그룹 등 획일적인 상품 생산을 인정하면서도 현재 대중음악에 대한 과도한 비판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러한 인식은 문화산업 구조에서 음악 소비자들이 타협적으로 문화를 이해하고 소비하는 이중적 태도를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ltural industry is changing grea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ultural industry characterized by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may create uniform and uncritical consumption. In the digital age, popular music consumption has became easier and faster, but as standardized digital music has been mass produced, it is making passive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opular music consumers consume music and their perception of the popular music industry. For the purpose of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mainly consume digital music.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consuming music using digital downloads and streaming services rather than buying CDs, which are physical records. Also, participants said the reason for using digital music service was the convenience, the latest music update, and the price.
      Regarding the perception of popular music, passive listening to accept popular music products as it is and a sense of problem with the popular music industry were also confirmed. Interviewees agreed that non-digital music consumption, such as performances, festivals, and variety of genres,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uniform consumption of popular music. In recognition of the popular music industry, while acknowledging the production of uniform products such as monopoly capital and idol groups, voices were warned against excessive criticism of current popular music. This recognition suggests that music consumers have a dual attitude to compromisingly understand and consume culture in the cultural industry structure.
      번역하기

      The cultural industry is changing grea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ultural industry characterized by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may create uniform and uncritical consumption. In the digital age, popular music consumption has ...

      The cultural industry is changing grea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ultural industry characterized by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may create uniform and uncritical consumption. In the digital age, popular music consumption has became easier and faster, but as standardized digital music has been mass produced, it is making passive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opular music consumers consume music and their perception of the popular music industry. For the purpose of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mainly consume digital music.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consuming music using digital downloads and streaming services rather than buying CDs, which are physical records. Also, participants said the reason for using digital music service was the convenience, the latest music update, and the price.
      Regarding the perception of popular music, passive listening to accept popular music products as it is and a sense of problem with the popular music industry were also confirmed. Interviewees agreed that non-digital music consumption, such as performances, festivals, and variety of genres,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uniform consumption of popular music. In recognition of the popular music industry, while acknowledging the production of uniform products such as monopoly capital and idol groups, voices were warned against excessive criticism of current popular music. This recognition suggests that music consumers have a dual attitude to compromisingly understand and consume culture in the cultural industry struc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Ⅳ. 대중음악 소비에 관한 심층인터뷰 결과
      • Abstract
      •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Ⅳ. 대중음악 소비에 관한 심층인터뷰 결과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연, "한국의 테마파크와 아도르노의 문화 산업론" 한국비평이론학회 13 (13): 159-178, 2008

      2 김진아, "한국 대중음악의 아이돌 편중에 관한 연구:대중음악 생산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예술연구소 6 (6): 145-172, 2011

      3 이동연, "하위문화:스타일의 의미" 현실문화연구 1998

      4 김현정, "팬텀 진화 그리고 그 정치성서태지 팬클럽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9-278, 2002

      5 김평수, "음악저작권이 창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0

      6 김성중, "워즈워스, 베토벤, 아도르노: 저항의 예술" 19세기영어권문학회 15 (15): 33-57, 2011

      7 김희영, "예술과 문화의 영역에 대한 재고 -문화의 타자 키치, 아직도 예술의 적인가?" 한국미술이론학회 0 (0): 25-41, 2007

      8 박근서,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 (8) : 2011

      9 김방현, "아도르노의 대중 음악론" (6) : 1990

      10 성미영, "아도르노의 개념 비판-사회와 예술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동일화 사고 비판-" 철학연구소 (42) : 29-57, 2011

      1 김혜연, "한국의 테마파크와 아도르노의 문화 산업론" 한국비평이론학회 13 (13): 159-178, 2008

      2 김진아, "한국 대중음악의 아이돌 편중에 관한 연구:대중음악 생산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예술연구소 6 (6): 145-172, 2011

      3 이동연, "하위문화:스타일의 의미" 현실문화연구 1998

      4 김현정, "팬텀 진화 그리고 그 정치성서태지 팬클럽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9-278, 2002

      5 김평수, "음악저작권이 창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0

      6 김성중, "워즈워스, 베토벤, 아도르노: 저항의 예술" 19세기영어권문학회 15 (15): 33-57, 2011

      7 김희영, "예술과 문화의 영역에 대한 재고 -문화의 타자 키치, 아직도 예술의 적인가?" 한국미술이론학회 0 (0): 25-41, 2007

      8 박근서,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 (8) : 2011

      9 김방현, "아도르노의 대중 음악론" (6) : 1990

      10 성미영, "아도르노의 개념 비판-사회와 예술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동일화 사고 비판-" 철학연구소 (42) : 29-57, 2011

      11 이수완, "아도르노와 대중음악" 낭만음악사 18 (18): 23-50, 2006

      12 서정민, "신뢰 잃은 음원 차트…새 패러다임 찾기 ‘버튼’ 눌렀다"

      13 스튜어트 홀,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한나래 1996

      14 박선웅, "스튜어트 홀의 문화연구: 이데올로기와 재현의 정치" 2000

      15 김수정, "수용자연구의 해독모델과 존 피스크에 대한 재평가: 수용자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열린 논쟁을 위하여"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8 (18): 2-46, 2010

      16 강신규, "생산과 소비 사이, 놀이와 노동 사이<프로듀스 48>과 팬덤의 재구성" 한국언론학회 63 (63): 269-315, 2019

      17 더글라스 켈러, "미디어 문화: 영화, 랩, MTV, 광고, 마돈나, 패션, 사이버 펑크까지" 새물결 1997

      18 오성균, "문화산업의 생산전략과 판매전략 -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 읽기" 한국헤세학회 (22) : 437-455, 2009

      19 이득재, "문화산업과 문화경제학 비판" 2004

      20 문현병, "문화산업과 대중문화" 2002

      21 이상길,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매스미디어에서 온라인 미디어까지" 한국언론정보학회 52 (52): 154-176, 2010

      22 존 피스크,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한나래 1996

      23 그래엄 터너, "문화 연구 입문" 한나래 1995

      24 김성중,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이데올로기와 아도르노" 한국영미어문학회 (88) : 175-193, 2008

      25 추승엽, "디지털 음악 시대에서의 물리적 음반: 메이저 제작사의 경쟁 전략 탐색" 한국경영학회 23 (23): 95-116, 2019

      26 신현준, "디지털 음악 경제에 관한 명상" 2010

      27 백욱인, "디지털 복제 시대의 지식, 미디어, 정보 지식의 기술ㆍ사회적 조건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9 (49): 5-19, 2010

      28 장미혜,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음악시장 변화" 비판사회학회 (72) : 230-256, 2006

      29 이동연, "대중음악의 죽음: 징후적 독해" 2006

      30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1996

      31 신혜경,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벤야민 앤 아도르노" 김영사 [서울] 2009

      32 이동연, "대중문화연구와 문화비평" 문화과학사 2002

      33 로이 셔커, "대중 음악 사전" 한나래 1999

      34 김은정, "뉴미디어 시대의 팬덤과 문화매개자: 방탄소년단(BT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78-391, 2020

      35 막스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철학적 단상" 문학과지성사 2001

      36 김수정, "‘집단적 도덕주의’ 에토스혼종적 케이팝의 한국적 문화정체성"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3 (23): 5-52, 2015

      37 Theodor W. Adorno, "Culture industry reconsidered" 6 : 1975

      38 Jung-Yup Lee, "Contesting the digital economy and culture: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popular music in Korea" 10 (1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