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에서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적용이 필수적인가? = Is It Essential to Apply Tension Band Wire Fixation in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Fractures of the Olecranon (Mayo Type 2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3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Various problems have been reported with tension-band wire (TBW) fix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natomical plates and the improvement of fixation forces, plate fixation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for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Mayo Type 2A). This study compared the usefulness of the above two procedures applied in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hree patients with Mayo Type 2A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wentynine patients underwent TBW fixation, while the other 24 underwent plate fixation. The average outpatient follow-up period was 10 months for both groups. Both groups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and clinically. The radiological assessment included the time to bone union, joint stability, and presence of traumatic osteoarthritis at the final follow-up. The clinical assessment included the operation time,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the pres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Both groups showed stable elbow joints, proper union of fractures, and no traumatic osteoarthritis at the final follow-up. The range of motion for the TBW fixation group was 142° (range, 3° -145°), while that of the plate fixation group was 135° (range, 4°-139°) at the final follow-up (p=0.219). The MEPS was 98.2 and 97.7 for the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groups, respectively (p=0.675). The DASH score was 10.7 and 13.9 for the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groups, respectively. Both groups showed excellent results,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289).
      Conclusion: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were compared in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and good results were obtain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ence, surgeons should choose a technique they are more confident with and can be applied more efficiently.
      번역하기

      Purpose: Various problems have been reported with tension-band wire (TBW) fix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natomical plates and the improvement of fixation forces, plate fixation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for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Purpose: Various problems have been reported with tension-band wire (TBW) fix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natomical plates and the improvement of fixation forces, plate fixation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for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Mayo Type 2A). This study compared the usefulness of the above two procedures applied in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hree patients with Mayo Type 2A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wentynine patients underwent TBW fixation, while the other 24 underwent plate fixation. The average outpatient follow-up period was 10 months for both groups. Both groups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and clinically. The radiological assessment included the time to bone union, joint stability, and presence of traumatic osteoarthritis at the final follow-up. The clinical assessment included the operation time,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the pres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Both groups showed stable elbow joints, proper union of fractures, and no traumatic osteoarthritis at the final follow-up. The range of motion for the TBW fixation group was 142° (range, 3° -145°), while that of the plate fixation group was 135° (range, 4°-139°) at the final follow-up (p=0.219). The MEPS was 98.2 and 97.7 for the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groups, respectively (p=0.675). The DASH score was 10.7 and 13.9 for the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groups, respectively. Both groups showed excellent results, and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289).
      Conclusion: TBW fixation and plate fixation were compared in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and good results were obtain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ence, surgeons should choose a technique they are more confident with and can be applied more efficien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 주두 골절)에대해 골절부의 인장력을 압박력으로 변화시키는 원리로 장력대 강선 고정술이 주된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이와 함께 해부학적 금속판의 발달과 고정력 향상으로 최근에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 대해서도 금속판으로 고정술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적용되는 위 두 술식을 비교 분석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분당차병원 정형외과에서 주두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Mayo 분류 2A에 해당하는 5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하였다. 장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는 29명, 금속판내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는 24명이었으며, 평균 외래 추시 기간은 10개월이었다. 방사선적 분석으로 골절의 유합 시기, 최종 추시상 외상성 관절염의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고, 임상적으로는 수술 시간, 관절의 안정성 유지, 최종 추시에서 주관절 운동 범위, MEPS, DASH score, 술 후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두 술식 수술군 모두 방사선 검사상 골유합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골유합까지의 평균 소요 기간은 장력대 강선고정술에서는 10.3주,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11.5주였다. 수술 시간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는 46.3분,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52.0분이었으며,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주관절의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주관절의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142° (범위 3°-145°),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135° (범위 4°-139°)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19). 평균 MEPS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98.2점,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97.7점으로 두 술식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75). 평균DASH score 역시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10.7점,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13.9점으로 이 역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89). 술 후 내고정물 제거술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는 66%,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75%에서 시행하였다. 술후 합병증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 후 핀 후방 전위 1예, 이소성골화증 1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장력대 강선 고정술과 금속판 내고정술을 비교한 결과 두 군간 유의한 결과 차이 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장력대 강선 고정술 및 금속판 고정술 모두 추천할 만한 술식으로 증례에 따라, 또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목적: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 주두 골절)에대해 골절부의 인장력을 압박력으로 변화시키는 원리로 장력대 강선 고정술이 주된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장력대...

      목적: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 주두 골절)에대해 골절부의 인장력을 압박력으로 변화시키는 원리로 장력대 강선 고정술이 주된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이와 함께 해부학적 금속판의 발달과 고정력 향상으로 최근에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 대해서도 금속판으로 고정술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적용되는 위 두 술식을 비교 분석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분당차병원 정형외과에서 주두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Mayo 분류 2A에 해당하는 5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하였다. 장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는 29명, 금속판내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는 24명이었으며, 평균 외래 추시 기간은 10개월이었다. 방사선적 분석으로 골절의 유합 시기, 최종 추시상 외상성 관절염의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고, 임상적으로는 수술 시간, 관절의 안정성 유지, 최종 추시에서 주관절 운동 범위, MEPS, DASH score, 술 후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두 술식 수술군 모두 방사선 검사상 골유합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골유합까지의 평균 소요 기간은 장력대 강선고정술에서는 10.3주,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11.5주였다. 수술 시간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는 46.3분,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52.0분이었으며,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주관절의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주관절의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142° (범위 3°-145°),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135° (범위 4°-139°)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19). 평균 MEPS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98.2점,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97.7점으로 두 술식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75). 평균DASH score 역시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10.7점,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13.9점으로 이 역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89). 술 후 내고정물 제거술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는 66%,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75%에서 시행하였다. 술후 합병증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 후 핀 후방 전위 1예, 이소성골화증 1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장력대 강선 고정술과 금속판 내고정술을 비교한 결과 두 군간 유의한 결과 차이 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장력대 강선 고정술 및 금속판 고정술 모두 추천할 만한 술식으로 증례에 따라, 또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puta TJ, "The findings of a multicentre study" 1007-, 2021

      2 Catalano LW 3rd, "Potential dangers of tension band wiring of olecranon fractures : an anatomic study" 36 : 1659-1662, 2011

      3 Duckworth AD, "Plate versus tension-band wire fixation for olecranon fractures :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99 : 1261-1273, 2017

      4 Weber BG, "Osteosynthesis in olecranon fractures" 56 : 90-96, 1963

      5 Rommens PM, "Olecranon fractures in adults : factors influencing outcome" 35 : 1149-1157, 2004

      6 Baecher N, "Olecranon fractures" 38 : 593-604, 2013

      7 Candal-Couto JJ, "Impaired forearm rotation after tension-band-wiring fixation of olecranon fractures : evaluation of the transcortical K-wire technique" 19 : 480-482, 2005

      8 Karlsson MK, "Fractures of the olecranon: a 15- to 25-year followup of 73patients" (403) : 205-212, 2002

      9 Ren YM, "Efficacy and safety of tension band wiring versus plate fixation in olecranon fracture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1 : 137-, 2016

      10 Morrey BF, "Current concepts in th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radial head, the olecranon, and the coronoid" 77 : 316-327, 1995

      1 Oputa TJ, "The findings of a multicentre study" 1007-, 2021

      2 Catalano LW 3rd, "Potential dangers of tension band wiring of olecranon fractures : an anatomic study" 36 : 1659-1662, 2011

      3 Duckworth AD, "Plate versus tension-band wire fixation for olecranon fractures :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99 : 1261-1273, 2017

      4 Weber BG, "Osteosynthesis in olecranon fractures" 56 : 90-96, 1963

      5 Rommens PM, "Olecranon fractures in adults : factors influencing outcome" 35 : 1149-1157, 2004

      6 Baecher N, "Olecranon fractures" 38 : 593-604, 2013

      7 Candal-Couto JJ, "Impaired forearm rotation after tension-band-wiring fixation of olecranon fractures : evaluation of the transcortical K-wire technique" 19 : 480-482, 2005

      8 Karlsson MK, "Fractures of the olecranon: a 15- to 25-year followup of 73patients" (403) : 205-212, 2002

      9 Ren YM, "Efficacy and safety of tension band wiring versus plate fixation in olecranon fracture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1 : 137-, 2016

      10 Morrey BF, "Current concepts in th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radial head, the olecranon, and the coronoid" 77 : 316-327, 1995

      11 Çağlar C, "Comparison of tension band wiring and plate fixation in Mayo type 2A olecranon fractures" 32 : 85-92,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 The Korean Fracture Societ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골절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5 0.05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5 0.05 0.21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