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융복합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성 지식, 성 태도 및 생식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5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융복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108명의 대학생이(평균연령 20.84세) 생...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융복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108명의 대학생이(평균연령 20.84세) 생식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은 2016년 11월 9일부터 12월 7일까지 4주간 주 2회, 110분 동안 진행되었고 설문지를 통해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성 태도는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한 뒤 유의하게 더 향상되었고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5)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성 태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고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대학생들의 생식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RHPP) affect th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of 108 (mean 20.84 years) we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RHPP) affect th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of 108 (mean 20.84 years) were participated in the RHPP, and this program was conducted to 110 min, twice a week for 4 weeks from November 9, 2016 to December 7. We investigated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questionnaire. As the results, the sexual attitude was better than baselin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xual knowledge and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p<0.05).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outcome measure were observed in the sexual knowledg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p>0.05). We found that the RHPP improves the sexual attitude and correlate between the sexual knowledg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s study will be utilized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f University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2.1 연구대상 및 절차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2.1 연구대상 및 절차
      • 2.2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
      • 2.3 측정 도구
      • 2.4 자료분석 방법
      • 3. 연구 결과
      •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2 대상자의 성 지식의 변화
      • 3.3 대상자의 성 태도의 변화
      • 3.4 대상자의 생식건강증진행위의 변화
      • 3.5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분석
      • 4. 논의
      • 5.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경림, "한국 대학생의 성행동, 생식건강 관련 건강행위, 성경험 특성 실태"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624-633, 2010

      2 김혜래, "일부 육군사병의 성지식 수준과 성교육 욕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 77-104, 2006

      3 어용숙, "일 대학의 남녀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소 21 (21): 140-147, 2015

      4 신경림,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448-456, 2010

      5 심정신, "보건계열 대학생의 성지식, 피임지식 및 성허용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14, 2016

      6 김기열,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의식 및 성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5 (15): 1-13, 2014

      7 전경숙,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45-68, 2004

      8 조호윤,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 개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1 (31): 29-43, 2014

      9 김상희, "남자대학생의 성의식과 성태도"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248-257, 2012

      10 강윤선, "남녀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소 23 (23): 9-17, 2017

      1 신경림, "한국 대학생의 성행동, 생식건강 관련 건강행위, 성경험 특성 실태"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624-633, 2010

      2 김혜래, "일부 육군사병의 성지식 수준과 성교육 욕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 77-104, 2006

      3 어용숙, "일 대학의 남녀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소 21 (21): 140-147, 2015

      4 신경림,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448-456, 2010

      5 심정신, "보건계열 대학생의 성지식, 피임지식 및 성허용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14, 2016

      6 김기열,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의식 및 성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5 (15): 1-13, 2014

      7 전경숙,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45-68, 2004

      8 조호윤, "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 개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1 (31): 29-43, 2014

      9 김상희, "남자대학생의 성의식과 성태도"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248-257, 2012

      10 강윤선, "남녀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동서간호학연구소 23 (23): 9-17, 2017

      11 김정애, "국내 대학생들의 성경험 실태 및 성경험 예측 요인 분석"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0 (40): 71-80, 2014

      12 김은주, "간호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성정체성, 성평등의식과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간호학회 21 (21): 60-68, 2014

      13 V. Mevsim, "Young people benefit from comprehensive education on reproductive health" 14 (14): 144-152, 2009

      14 C. A. Anderson,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on Youth" 4 (4): 81-110, 2003

      15 Byeon In Jeong, "The Effects of Sexuality Reporting and Sexuality Exposure on Sexual Affect, Cognition, and Intention of Male College Students" 7 (7): 30-62, 2012

      16 L. Berkowitz., "Some effects of thoughts on antiand prosocial influences of media events: a cognitive-neoassociation analysis" 95 (95): 410-427, 1984

      17 P. M. Godia, "Sexual reproductive health service provision to young people in Kenya; health service providers' experiences" 13 : 476-, 2013

      18 G. H. Woo.,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Univeristy student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19 A. V. Marcell,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Care Receipt Among Young Males Aged 15-24" 2017

      20 S. M. Ho.,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nyang University 2009

      21 A. J. von Rosen, "Sexual Health and the Internet: Cross-Sectional Study of Online Preferences Among Adolescents" 19 (19): 379-, 2017

      22 J. R. Choi., "Sex in Adolescence and Educational Counseling" 32 : 359-381, 2006

      23 A. M. Karim, "Reproductive healt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unmarried youth in Ghana" 29 (29): 14-24, 2003

      24 L. D. Lindberg, "Reassessing adolescent mal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and recommendations" 2 (2): 40-56, 2008

      25 O. Oladepo, "Perceptions about sexual abstinence and knowledge of HIV/AIDS prevention among in-school adolescents in a western Nigerian city" 11 : 304-, 2011

      26 K. S. Koh., "Mediating effects of birth control knowledge in relation to effects of high schoolers' birth control self-efficacy on birth control attitude" Jeju National University 2014

      27 V. Durongritichai, "Knowledge, attitudes, self-awareness, and factors affecting HIV/AIDS prevention among Thai university students" 43 (43): 1502-1511, 2012

      28 "KCDC"

      29 G. R. Donenberg,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families, youth, and HIV : family-based intervention studies" 31 (31): 869-873, 2006

      30 G. M. Mounir, "Impac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female Alexandria University students" 78 (78): 433-466, 2003

      31 안숙희, "Health Behaviors, Reproductive Health History, and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4 (14): 205-212, 2008

      32 S. C. Sung, "Effectiveness of the sexual healthcar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on sexual healthcare" 33 (33): 498-503, 2013

      33 A. J. Mason-Jon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role of school-based healthcare in adolescent sexual, reproductive, and mental health" 1 : 49-, 2012

      34 M. H. Jo.,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Culture of Sexuality" 32 : 5-37,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5.85 5.8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7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