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2가사 중 〈수양산가〉의 창법 연구 = 서도 창법의 출현 부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580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2가사는 가곡이나 시조와 같이 정가풍의 창법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양산가〉를 비롯해 몇 곡은 서도창법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12가사 중 〈수양산가〉에 나오는 서...

      12가사는 가곡이나 시조와 같이 정가풍의 창법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양산가〉를 비롯해 몇 곡은 서도창법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12가사 중 〈수양산가〉에 나오는 서도소리 창법들을 현재 불려지고 있는 서도민요나 좌창 등의 창법과 동일한 창법임을 악보와 음반을 통해 확인하고 이러한 창법들이 수양산가에 나타난 부분들을 유형별로 발췌해 본 연구이다.

      첫번째 유형은 기음(基音)에서 5도 위의 음을 ‘조름목 요성’으로 처리하는 유형이다.
      〈수양산가〉의 사설 중에서 제3장단 위수빈의 ‘의’, 제5장단 의 적의 빚은 술 ‘의’, 제9장단 달구경가는 ‘는’, 제16장단 절로 검어 ‘어’, 제23장단 나느니나 노느니나노 ‘느니나노, 제32장단 마외역에 울었느니’, ‘마와’와 ‘역에’, 제37장단 놀고 ‘고’의 가사에서 이러한 유형이 나타나는데 총 38장단 중 7장단에 걸쳐 8회 출현하고, 서도소리 중 긴난봉가, 잦은 난봉가, 금다래 타령, 공명가, 개성 산염불등에 많이 보이는 창법이다.

      두번째 유형은 고음(高音)에서 저음{低音)으로 하행시 ‘풀어내림 요성’ 이다.
      수양산가 사설 중 제18장단 네로니네로 ‘네로’, 제19장단 노느니나 네헤루허고 ‘니루’, 제20장단 나루니루허고 네로나니 ‘니루’, 제35장단 오날같이 좋고좋은 ‘날’의 가사에서 이러한 유형이 4장단에 걸쳐 4회 출현하고 서도소리 산염불, 놀량, 개성 산염불 등에 이와 유사한 창법이 나타난다.

      세번째 유형은 중간음을 집중적으로 요성하는 형태이다.
      〈수양산가〉는 黃(Eb), 仲(Ab), 林(Bb), 無(Db) 등의 음이 출현하는데 黃-仲-林, 또는 黃-仲-無로 진행할 경우, 예외없이 중간음인 仲음을 많이 요성한다. 남도의 판소리나 시조의 경우, 기음인 黃을 요성하고 4도 위의 仲음은 떨지 않고 평으로 내는데 반해, 서도 소리에서는 중간음인 仲을 주로 요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적인 창법이 수양산가의 경우 요성의 총 횟수가 약 120회로 조사되었는데 이중 52회 정도가 중간음을 요성하는 특징적인 형태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가 〈수양산가〉 외에 다른 가사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는 앞으로 전공자들에 의해 재정리 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2Gasa(歌詞) is generally sung in the Jeongka(正歌) style of vocalism as Gakok(歌曲) or Shijo(時調) is sung. However, some songs, such as 〈Suyangsanga〉(首陽山歌), are sung using the Seodo vocalism(唱法). This paper verifies, throu...

      12Gasa(歌詞) is generally sung in the Jeongka(正歌) style of vocalism as Gakok(歌曲) or Shijo(時調) is sung. However, some songs, such as 〈Suyangsanga〉(首陽山歌), are sung using the Seodo vocalism(唱法).
      This paper verifies, through musical notes and records, that the Seodosori Changbeob, used in 〈Suyangsanga〉, is the same kind of Changbeob that is used in Seodominyo or Jwachang(坐唱). The analysis also includes various Changbeob usages in Suyangsang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uses the tone that is 5 levels above to basis tone as the 'Joremmok Yoseong'.
      This type is shown in various verses of 〈Suyangsanga〉: 'Ui' in Wisubinui(verse 3), 'Ui' in Jeokui Bijen Sul(verse 5), 'Nen' in Dalgugyeongka(verse 9), 'Eo' in jeollo Geomeo(verse 16), 'Neni' in Nanenina Noneninano(verse 23), 'Ma' and 'Yeokae' in Mawaeyeokae Wuleotneni(verse 32), 'Go' in Nolgo(verse 37). This type of singing was used 8 times in 7 verses out of a total of 38 verses. This typeof vocalism was uses in various Seodo Sori works such as Ginnanbongka, Jajen Nanbongka, Geumdarae Taryeong, Gongmyeongka, and Kaeseong Sanyeombul.

      The second type is the 'Puleonaerim Yosung', used when going from a high note to a low note.
      This type appears 4 times in 4 verses: 'Nero' in Neroninero(verse 18), 'Niru' in Nonenina Neheluheogo(verse 19), 'Niru' in Naruniruheogo Neronani(verse 20), 'Nal' in Onalgachi Jokojoen(verse 35). This type of vocalism appears in Seodosori Sanyeombul, Nollyang, Kaeseong.
      The third type focuses on the use of the middle note.
      Notes (Eb), (Ab), (Bb), and (Db) appear in Suyangsanga. When the notes are in a sequence, such as Eb- Ab- Bb or Eb- Ab- Db, the middle note(Ab) is stressed. Pansori and Sijo of jeolla-do stress the basis note Eb and do not stress the Ab note, which is 4 notes above. However, Seodosori stresses the middle note Ab. This type of vocalism used in Suyangsanga stresses the middle note 57 times out of a total of about 120.
      Whether these results may be applied to other works of Gasa than Suyangsanga is a question that must be continuously researched by academics in this fie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