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르네 지라르, "희생양" 민음사 1-350, 1998
2 로지 잭슨, "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1-271, 2001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별책부록(Ⅰ)" 1-757, 1989
4 심우장, "장화홍련전에 나타난 죽음의 제의적 해석" 국어국문학회 (149) : 289-323, 2008
5 미셸 짐발리스트 로잘로, "여성ㆍ문화ㆍ사회" 한길사 1-531, 2008
6 린다 하트, "악녀" 인간사랑 1-388, 1999
7 손정희, "사명당설화 연구-경남지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13 : 149-184, 1992
8 김선회, "사명당 유정의 시세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신동흔, "사명당 설화에 담긴 역사인식 연구-역사인물 설화의 서사적 문법을 통한 고찰-" 한국고전문학회 (38) : 279-310, 2010
10 임철호, "사명당 설화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23 : 249-283, 1984
1 르네 지라르, "희생양" 민음사 1-350, 1998
2 로지 잭슨, "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1-271, 2001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별책부록(Ⅰ)" 1-757, 1989
4 심우장, "장화홍련전에 나타난 죽음의 제의적 해석" 국어국문학회 (149) : 289-323, 2008
5 미셸 짐발리스트 로잘로, "여성ㆍ문화ㆍ사회" 한길사 1-531, 2008
6 린다 하트, "악녀" 인간사랑 1-388, 1999
7 손정희, "사명당설화 연구-경남지방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13 : 149-184, 1992
8 김선회, "사명당 유정의 시세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신동흔, "사명당 설화에 담긴 역사인식 연구-역사인물 설화의 서사적 문법을 통한 고찰-" 한국고전문학회 (38) : 279-310, 2010
10 임철호, "사명당 설화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23 : 249-283, 1984
11 김승찬, "사명당 구비서사물 연구" 부산대학교 56 : 1-28, 2000
12 조현설, "남성지배와 「장화홍련전」의 여성형상" 민족문학사학회 (15) : 102-131, 1999
13 "구비문학대계 1-82권, 1980-1989"
14 강진옥,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여성의 존재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 5-50, 2005
15 정상진, "계모형 설화의 전승 및 서사 양상과 의미" 부산외국어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8 : 399-423, 2003
16 한유진, "계모설화에 나타난 갈등의 양상" 이화어문학회 30 : 107-149, 2012
17 "경북 경주시 현곡면 금장리 금장1리 경로당 채록 자료"
18 "경북 경주시 인왕동 인왕경로당 채록 자료"
19 朴宗煥, "四溟堂 設話의 傳承 意識 硏究"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20 김영권, "‘첫날밤 신랑 피살담’의 서사적 양상과 의미" 한국문학회 (44) : 189-218, 2006
21 이종서, "‘전통적’ 계모관(繼母觀)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51) : 135-163, 2004
22 이윤경, "‘신방의 아들을 죽인 계모형’ 설화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16) : 279-307, 2003
23 김영권, "'첫날밤 신랑 모해 설화'의 소설화 양상 연구 : <조생원전>·<김씨열행록>·<사명당전>·<구의산>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4 성형석, "'신방의 아들을 죽인 계모형' 설화의 소설화 양상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