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5세기 초 朴興生의 牧民論 -『居官箴戒』를 중심으로- = Park Heung-saeng’s “Mokmin” theory in the early 15th century -Examination of his Geo’gwan Jam’gy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5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idea of “treating and caring for the public(‘Mokmin, 牧民’)” shown by a person named Park Heung-saeng, who was a governmental official and academician in the early days of Joseon. His Geo’gwan Jam’gye(居官箴戒) is the only remaining example of the 15th century ‘Mokmin’ texts,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usually an abstract of Chinese “Gwanjam”-type writings. As a 15th century academic figure, Park Heung-saeng was not only well versed in Neo-Confucianism, but widely acceptive to practical academic approaches. His another writing Chwal’yo Shinseo, which he argued as an important text to be read by local officials, included a wide range of practical knowledge ranging from Yin and Yang theories to medicinal expertise. As a loyal Neo-Confucian scholar, he began his career as a professor at a local Hyang’gyo school, and later became the prefect of the Jeolla-do province’s Chang’pyeong-hyeon area, where he continued to maintain his own notion of Neo-Confucian care for the people(牧民論).
      According to him, local officials dealing with the people should first develop their own character and put their own body under check, while remaining authoritative to junior officials as well as appearing benevolent to the public. Although Park Heung-sae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ict adherence to the law and instructed others to be faithful to law enforcement, he also recommended balanced restraints as well as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at hand. Compared to the more conventional legal practices and not to mention the atmosphere of the time, which supported relentless law enforcement and expected results from such efforts, Park Heung-saeng tended to emphasize humans’ moral nature. He suggested that efforts to enlighten people should be launched first, before resorting to the rulings of law. In other words, he was a person who was more loyal to the Neo-Confucian ideology which aimed to construct an autonomous moral community based upon humans’ good will. His instructions for the local officials in the early 15th century laid out the foundation for the next generation’s new arguments in the same vein, which displayed even more Neo-Confucian ideological tendencies, in the 16th century.
      번역하기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idea of “treating and caring for the public(‘Mokmin, 牧民’)” shown by a person named Park Heung-saeng, who was a governmental official and academician in the early days of Joseon. His Geo’gwan Jam’gye(居...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idea of “treating and caring for the public(‘Mokmin, 牧民’)” shown by a person named Park Heung-saeng, who was a governmental official and academician in the early days of Joseon. His Geo’gwan Jam’gye(居官箴戒) is the only remaining example of the 15th century ‘Mokmin’ texts,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usually an abstract of Chinese “Gwanjam”-type writings. As a 15th century academic figure, Park Heung-saeng was not only well versed in Neo-Confucianism, but widely acceptive to practical academic approaches. His another writing Chwal’yo Shinseo, which he argued as an important text to be read by local officials, included a wide range of practical knowledge ranging from Yin and Yang theories to medicinal expertise. As a loyal Neo-Confucian scholar, he began his career as a professor at a local Hyang’gyo school, and later became the prefect of the Jeolla-do province’s Chang’pyeong-hyeon area, where he continued to maintain his own notion of Neo-Confucian care for the people(牧民論).
      According to him, local officials dealing with the people should first develop their own character and put their own body under check, while remaining authoritative to junior officials as well as appearing benevolent to the public. Although Park Heung-sae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ict adherence to the law and instructed others to be faithful to law enforcement, he also recommended balanced restraints as well as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at hand. Compared to the more conventional legal practices and not to mention the atmosphere of the time, which supported relentless law enforcement and expected results from such efforts, Park Heung-saeng tended to emphasize humans’ moral nature. He suggested that efforts to enlighten people should be launched first, before resorting to the rulings of law. In other words, he was a person who was more loyal to the Neo-Confucian ideology which aimed to construct an autonomous moral community based upon humans’ good will. His instructions for the local officials in the early 15th century laid out the foundation for the next generation’s new arguments in the same vein, which displayed even more Neo-Confucian ideological tendencies, in the 16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초기의 학자이자 관료였던 박흥생의 목민론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居官箴戒』는 중국의 관잠류 서적을 초록하여 편집했던 15세기 목민서로서는 현존하는 유일의 자료이다. 박흥생은 15세기의 학자답게 성리학은 물론 널리 실용의 학풍을 수용했다. 그의 또 다른 저술 『撮要新書』―박흥생이 목민관에게 중요하다고 강조한―에는 음양 술수로부터 의학에 이르는 다양한 생활 지식이 망라되어 있다. 물론 박흥생은 성리학의 충실한 훈도였다. 지방 향교의 교수를 시작으로 전라도 창평현령을 역임한 그는 성리학의 牧民論을 견지했다. 목민관은 우선 修身을 통해 자신의 몸을 단속하고, 서리들에게는 위엄을 그리고 백성들에게는 인정을 베풀어야 한다. 박흥생은 법의 엄격한 준수와 집행을 강조하면서도 융통성 있는 時中을 강조했다. 엄격한 법집행과 그 효과를 기대했던 조선초기의 법 관행에 비추어 볼 때, 박흥생은 법에 앞서 인간의 도덕 본성에 기초한 교화를 강조했다. 다시 말해 본성의 선의[性善]에 기초한 자율적 도덕 공동체의 수립이라는 성리학의 정치이념에 충실했다. 15세기 초반 이미 박흥생의 목민론은 성리학의 이해가 깊이를 더해갔던 16세기 이후의 목민론을 예견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조선초기의 학자이자 관료였던 박흥생의 목민론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居官箴戒』는 중국의 관잠류 서적을 초록하여 편집했던 15세기 목민서로서는 현존하는 유일의 자료이다. ...

      본고는 조선초기의 학자이자 관료였던 박흥생의 목민론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居官箴戒』는 중국의 관잠류 서적을 초록하여 편집했던 15세기 목민서로서는 현존하는 유일의 자료이다. 박흥생은 15세기의 학자답게 성리학은 물론 널리 실용의 학풍을 수용했다. 그의 또 다른 저술 『撮要新書』―박흥생이 목민관에게 중요하다고 강조한―에는 음양 술수로부터 의학에 이르는 다양한 생활 지식이 망라되어 있다. 물론 박흥생은 성리학의 충실한 훈도였다. 지방 향교의 교수를 시작으로 전라도 창평현령을 역임한 그는 성리학의 牧民論을 견지했다. 목민관은 우선 修身을 통해 자신의 몸을 단속하고, 서리들에게는 위엄을 그리고 백성들에게는 인정을 베풀어야 한다. 박흥생은 법의 엄격한 준수와 집행을 강조하면서도 융통성 있는 時中을 강조했다. 엄격한 법집행과 그 효과를 기대했던 조선초기의 법 관행에 비추어 볼 때, 박흥생은 법에 앞서 인간의 도덕 본성에 기초한 교화를 강조했다. 다시 말해 본성의 선의[性善]에 기초한 자율적 도덕 공동체의 수립이라는 성리학의 정치이념에 충실했다. 15세기 초반 이미 박흥생의 목민론은 성리학의 이해가 깊이를 더해갔던 16세기 이후의 목민론을 예견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경,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조선시대사학회 (52) : 157-196, 2010

      2 김호, "조선초기『疑獄集』간행과 ‘無冤’의 의지" 한국학연구소 (41) : 429-458, 2016

      3 서유구, "임원경제지 위선지 1" 소와당 2011

      4 신천식, "상촌 김자수와 그 후예" 상촌사상연구회 2003

      5 조윤경, "삼론교학에 나타난 ‘방편(方便)’의 의미 - ‘방편(方便)’과 ‘권(權)’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9) : 7-41, 2015

      6 조창록, "문헌 자료를 통해 본 조선의 원예 문화" 동방한문학회 (56) : 73-96, 2013

      7 임형택, "목민심서(牧民心書)의 이해 다산 정치학과 관련하여" 한국실학학회 (13) : 7-38, 2007

      8 김형종, "명․청 시대 중국의 관잠서" 7 : 2014

      9 송양섭, "다산 정약용의 수령 진휼론에 나타난 朱子賑法의 적용과 그 당대적 변용 — 『牧民心書』 賑荒條의 분석 —" 민족문화연구원 (68) : 175-224, 2015

      10 송찬섭, "다산 정약용의 목민활동과 이상사회: 곡산부사 시기(1797~1799)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31) : 169-206, 2016

      1 김선경,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조선시대사학회 (52) : 157-196, 2010

      2 김호, "조선초기『疑獄集』간행과 ‘無冤’의 의지" 한국학연구소 (41) : 429-458, 2016

      3 서유구, "임원경제지 위선지 1" 소와당 2011

      4 신천식, "상촌 김자수와 그 후예" 상촌사상연구회 2003

      5 조윤경, "삼론교학에 나타난 ‘방편(方便)’의 의미 - ‘방편(方便)’과 ‘권(權)’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9) : 7-41, 2015

      6 조창록, "문헌 자료를 통해 본 조선의 원예 문화" 동방한문학회 (56) : 73-96, 2013

      7 임형택, "목민심서(牧民心書)의 이해 다산 정치학과 관련하여" 한국실학학회 (13) : 7-38, 2007

      8 김형종, "명․청 시대 중국의 관잠서" 7 : 2014

      9 송양섭, "다산 정약용의 수령 진휼론에 나타난 朱子賑法의 적용과 그 당대적 변용 — 『牧民心書』 賑荒條의 분석 —" 민족문화연구원 (68) : 175-224, 2015

      10 송찬섭, "다산 정약용의 목민활동과 이상사회: 곡산부사 시기(1797~1799)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31) : 169-206, 2016

      11 이해준, "다산 정약용의 목민서에 나타난 호남지방-지역사의 시각에서 바라본 다산과 그의 저술-" 역사문화학회 10 (10): 203-226, 2007

      12 원재린, "근기남인계 목민학 전통과 『목민심서』" 7 : 2014

      13 원재린, "順菴 安鼎福의 牧民사상과 주요 목민책" 한국실학학회 (25) : 133-169, 2013

      14 "鄕藥集成方"

      15 "選擇要略"

      16 "菊堂先生遺稿"

      17 구효정, "般若經類에서의 方便의 變用 硏究" 동국대학교 2015

      18 "眉巖集"

      19 정호훈, "眉巖 柳希春의 학문활동과 ??治縣須知??" 한국사상사학회 (29) : 39-71, 2007

      20 한상덕, "牧民忠告에 나타난 張養浩의 公職觀 연구" 경남문화연구원 (48) : 189-222, 2015

      21 김용흠, "洪良浩 實學思想의 系統과 『牧民大方』" 조선시대사학회 (56) : 77-123, 2011

      22 "李石澗經驗方"

      23 "朝鮮王朝實錄"

      24 김정신, "朝鮮前期 勳舊勢力의 人性論과 刑政중시의 政治運營" 한국사상사학회 (33) : 133-180, 2009

      25 "救急易解方"

      26 鄭端(淸), "政學錄" 藝文印書館 1966

      27 蔣義斌, "呂本中與佛教" (2) : 1997

      28 김성수, "南宋 初期 詩壇 硏究" 경북대학교 2017

      29 한상권, "公罪와 私罪" 한국법사학회 (53) : 7-37, 2016

      30 范忠信, "中國法律文化探究: 情理法과 中國人" 일조각 1996

      31 김수정, "『유마경』의 방편사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32 김선경, "『목민심서』 연구: 통치기술의 관점에서 읽기" 역사교육연구회 (123) : 105-139, 2012

      33 백민정, "『목민심서(牧民心書)』를 통해 본 다산 정약용의 지방운영의 정치적 논리와 특징" 국학연구원 (176) : 185-223, 2016

      34 김호, "‘權道’의 성리학자 金正國, 『警民編』의 역사적 의의"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3) : 45-88, 2017

      35 정호훈, "18세기 목민서牧民書의 발달 양상과 『목민심서牧民心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8) : 19-63, 2016

      36 김용흠, "18세기 ‘牧民書’와 지방통치 - 『牧民攷』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35) : 129-172, 2010

      37 정호훈, "15~6세기 牧民書의 전개와 牧民學" 한국사상사학회 (36) : 263-308, 2010

      3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선택요략"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6

      39 박기용, "(국역)국당유고․이요당유고" 월인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