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湖南文革의 전개와 省無聯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69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대혁명시기 대표적 ‘極左’ 造反派 조직으로 알려진 省無聯의 지도자 대부분은 ‘과거’ 문제 또는 ‘혈통론’의 문제를 지녔다. 따라서 성무련이 造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극좌적’ 성격을 띨 가능성이 높았다. 성무련에 가담한 하방지식청년이나 퇴역군인의 생계 문제 역시 성무련의 ‘극좌적’ 성격을 강화시켰다. 이러한 성무련의 특징은 省革籌 체제 반대, ‘脫權’을 넘어선 ‘脫軍權’의 주장, 중화인민공사의 설립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비록 성무련의 활동이 통일적・조직적・계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군 중심의 3결합 방식에 따른 혁명위원회를 통해 문혁을 통제하려는 중공중앙의 의도와 명확히 배치되었다. 이에 중공중앙은 성무련에 대한 대대적인 비판운동을 전개하였다. 먼저 중공중앙은 성무련의 배후에 ‘黑線’이 존재한다고 비판하였다. ‘극좌적’ 성격은 바로 이들 때문에 기인한 것이라 하여 성무련의 존재 의의를 부정하면서 그에 가담한 일반 대중을 분리시키려는 것이 중공중앙의 정치적 의도였다. 또한 중공중앙은 성무련의 전국적 영향을 경계하면서 그들이 지닌 주의・주장에 대해 직접적 비판을 가하면서 ‘반혁명 잡동사니’라는 딱지를 붙였다. 이러한 비판을 받아 성무련은 결국 무력하게 붕괴하고 말았지만, 그들의 지녔던 이상은 사라지지 않았고 사상운동의 한 맹아로써 보다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지속되었다.
      번역하기

      문화대혁명시기 대표적 ‘極左’ 造反派 조직으로 알려진 省無聯의 지도자 대부분은 ‘과거’ 문제 또는 ‘혈통론’의 문제를 지녔다. 따라서 성무련이 造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

      문화대혁명시기 대표적 ‘極左’ 造反派 조직으로 알려진 省無聯의 지도자 대부분은 ‘과거’ 문제 또는 ‘혈통론’의 문제를 지녔다. 따라서 성무련이 造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극좌적’ 성격을 띨 가능성이 높았다. 성무련에 가담한 하방지식청년이나 퇴역군인의 생계 문제 역시 성무련의 ‘극좌적’ 성격을 강화시켰다. 이러한 성무련의 특징은 省革籌 체제 반대, ‘脫權’을 넘어선 ‘脫軍權’의 주장, 중화인민공사의 설립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비록 성무련의 활동이 통일적・조직적・계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군 중심의 3결합 방식에 따른 혁명위원회를 통해 문혁을 통제하려는 중공중앙의 의도와 명확히 배치되었다. 이에 중공중앙은 성무련에 대한 대대적인 비판운동을 전개하였다. 먼저 중공중앙은 성무련의 배후에 ‘黑線’이 존재한다고 비판하였다. ‘극좌적’ 성격은 바로 이들 때문에 기인한 것이라 하여 성무련의 존재 의의를 부정하면서 그에 가담한 일반 대중을 분리시키려는 것이 중공중앙의 정치적 의도였다. 또한 중공중앙은 성무련의 전국적 영향을 경계하면서 그들이 지닌 주의・주장에 대해 직접적 비판을 가하면서 ‘반혁명 잡동사니’라는 딱지를 붙였다. 이러한 비판을 받아 성무련은 결국 무력하게 붕괴하고 말았지만, 그들의 지녔던 이상은 사라지지 않았고 사상운동의 한 맹아로써 보다 광범위하게 확대되고 지속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모리스 마이스너,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2" 이산 2004

      2 陳益南, "靑春無痕-一個造反派工人的十年文革" 香港中文大學 2006

      3 湖南省直文化系統革命派批“省無聯”聯絡站, "鄭波同志在省會文藝系的重要講" 1968

      4 林秀光, "造反派組織の連帶と對立, in 中國文化大革命再論" 慶應義塾大學出版會 2003

      5 楊曦光, "牛鬼蛇神錄-文革囚禁中的精靈" 牛津大學出版社 1994

      6 北野譽, "湖南省無連と「造反」の系譜, in 超克と抵抗" 社會評論社 1991

      7 渡辺一衛, "湖南省無聯から啓蒙社へ-紅衛兵はなにを學んだか-" 6 (6): 1980

      8 渡邊一衛, "湖南文革と省無聯, in 現代中國の挫折-文化大革命の省察" 亞細亞經濟硏究所 1985

      9 省直文化系統革命派批判“省無聯”聯絡站, "湖南文藝戰報" 1968

      10 손승회, "武訓ㆍ『武訓傳』 批判과 平反" 대구사학회 104 : 165-200, 2011

      1 모리스 마이스너,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2" 이산 2004

      2 陳益南, "靑春無痕-一個造反派工人的十年文革" 香港中文大學 2006

      3 湖南省直文化系統革命派批“省無聯”聯絡站, "鄭波同志在省會文藝系的重要講" 1968

      4 林秀光, "造反派組織の連帶と對立, in 中國文化大革命再論" 慶應義塾大學出版會 2003

      5 楊曦光, "牛鬼蛇神錄-文革囚禁中的精靈" 牛津大學出版社 1994

      6 北野譽, "湖南省無連と「造反」の系譜, in 超克と抵抗" 社會評論社 1991

      7 渡辺一衛, "湖南省無聯から啓蒙社へ-紅衛兵はなにを學んだか-" 6 (6): 1980

      8 渡邊一衛, "湖南文革と省無聯, in 現代中國の挫折-文化大革命の省察" 亞細亞經濟硏究所 1985

      9 省直文化系統革命派批判“省無聯”聯絡站, "湖南文藝戰報" 1968

      10 손승회, "武訓ㆍ『武訓傳』 批判과 平反" 대구사학회 104 : 165-200, 2011

      11 楊大慶, "文革中的長沙“紅中會”" 557 : 2007

      12 陳益南, "文革中湖南“省無聯”問題槪述" 515 : 2006

      13 "文化大革命と現代中國Ⅱ-資料と解題" アジア經濟硏究所 1983

      14 "文化大革命と現代中國Ⅰ(資料と解題)" アジア經濟硏究所 1982

      15 "徹底催毁‘省無聯’專輯, in 東風戰報" 編輯部翻印 1968

      16 "建國以來毛澤東文稿 第12冊" 中央文獻出版社 1998

      17 クラウス・メーネルト(Klaus Mehnert), "北京と新左翼" 時事通信社 1970

      18 "人民日報"

      19 顧鴻章, "中國知識靑年上山下鄕始末" 中國檢査出版社 1997

      20 顧鴻章, "中國知識靑年上山下鄕大事記" 中國檢査出版社 1997

      21 中共湖南省委黨史委, "中共湖南黨史大事年表(社會主義時期, 1949.8~1989.10)" 國防科技大學出版社 1992

      22 竹內實, "ドキユメント現代史16・文化大革命" 平凡社 1973

      23 Wang Shaoguang, "‘New Trends of Thought’ on the Cultural Revolution" 8 (8): 1999

      24 Jonathan Unger, "Whither China? Yang Xiguang, Red Capitalists, and the Social Turmoil of the Cultural Revolution"

      25 Song Yongyi, "Chinese Cultural Revolution Database(Second Edition)" Universities Service Centre for China Studies 2006

      26 Andrew G. Walder, "Beijing Red Guard Factionalism: Social Interpretations Reconsidered" 61 (61):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