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출산 사회에서 지역사회연계와 정책참여를 통한 가정과교육의 역할 =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by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2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사회에서 가정교과내용, 지역사회와 연계활동,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의 측면에서 가정과교육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반...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사회에서 가정교과내용, 지역사회와 연계활동,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의 측면에서 가정과교육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저출산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 가정교과에서는 8학년, 9학년, 10학년에서 학년별 연계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미래에 가정을 꾸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가족관과 자녀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 사회교과에서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고, 과학교과에서는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과학적 지식으로 다루고, 도덕교과에서는 저출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내용을 거의 다루고 있지 않았다. 즉, 가정교과가 저출산을 다루는 주 교과로서의 역할과 책임이 있다. 중등학교와 지역사회,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교육과정의 개발, 동아리 활동, 구체적인 수업 방법을 개발하여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인구문제와 관련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정학 전문가의 적극적인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은 개인, 가족, 사회, 국가정책에 기여하며, 교과의 역랑을 발휘하여 저출산과 관련한 인구문제를 해결하는 교과로 거듭날 수 있다. 가정과교육의 나아갈 방향으로 저출산 극복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 지역사회 봉사활동, 범교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가정과 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역사회에서 가족․아동․육아․저출산․고령화와 관련한 인구문제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가정과 교사로서 평생교육의 강사요원으로 활동하며,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에 참여할 것이 제안되었다. 이를 통하여 자신의 삶과 지역사회, 국가의 안녕을 위한 변화의 주체를 육성하는 교과로 위상을 높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in the contexts of curriculum contents,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The results showed following. First, h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in the contexts of curriculum contents,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The results showed following. First, home economics is a key subject matter in dealing with a low fertility problem among 2007 revised curriculum for secondary education leve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s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through 8th grade to 10th grade in 4 units, where as curricula contents of social studies, science, and moral education deal with a low fertility problem in partial. Second, it is proposed to be active in community involvement incorporating with secondary education, college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by service learning, outreach program, and extension program. Third, public policy and advocacy particip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are crucial for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practice in enhancing the condi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community wellbeing such as a low fertility problem. To perform this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ome economics teachers should participate in developing curricula and teaching materials for the extra curricula activity, creative experiencing activity, and service learning activity. Home economics teacher educators also should actively involved in outreach program and extension program as well as in public policy advocacy activity for solving a low fertility probl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부흥중학교, "학교인구교육을 통한 결혼과 가족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 형성" 2008

      2 합덕중학교, "학교 인구교육 활성화를 통한 저출산·고령화사회 인구관 형성" 2010

      3 양정혜,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가족” 분석 : 저출산ㆍ고령화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195-215, 2007

      4 박선영, "저출산고령화사회와 관련한 가정 교과 교과서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6 (26): 159-174, 2007

      5 경남중등 인구교육 교과연구회,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적용가능한 중학생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상남도 교육청 2010

      6 연합뉴스, "저출산 극복을 위한 청소년의 모임 ISY(유아 보장청소년 단체)"

      7 김양희, "저출산 고령사회시대에 가정과 교육에 바란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6

      8 양정혜, "일-가족 균형적 관점에서 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357-378, 2010

      9 교동중학교, "인구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저출산·고령화 사회 인구관 형성" 2009

      10 "연구학교 네트워크"

      1 부흥중학교, "학교인구교육을 통한 결혼과 가족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 형성" 2008

      2 합덕중학교, "학교 인구교육 활성화를 통한 저출산·고령화사회 인구관 형성" 2010

      3 양정혜,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가족” 분석 : 저출산ㆍ고령화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 20 (20): 195-215, 2007

      4 박선영, "저출산고령화사회와 관련한 가정 교과 교과서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6 (26): 159-174, 2007

      5 경남중등 인구교육 교과연구회,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적용가능한 중학생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상남도 교육청 2010

      6 연합뉴스, "저출산 극복을 위한 청소년의 모임 ISY(유아 보장청소년 단체)"

      7 김양희, "저출산 고령사회시대에 가정과 교육에 바란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6

      8 양정혜, "일-가족 균형적 관점에서 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357-378, 2010

      9 교동중학교, "인구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저출산·고령화 사회 인구관 형성" 2009

      10 "연구학교 네트워크"

      11 교육인적자원부, "실과(기술·가정)교육과정"

      12 보건복지부, "새로마지 플랜 2015"

      13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

      14 장진경,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대한가정학회 43 (43): 165-183, 2005

      15 한국정보화진흥원, "미래연구 백서" 2011

      16 윤인경, "미래 사회의 요구와 가정과 교육의 방향" 한국가정과 교육학회 2008

      17 김외숙, "미국 가정학의 대학확장교육활동(Extension)의 동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93-202, 2002

      18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19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과 교육과정"

      20 박수경, "고등학교 기술·가정 '부모됨'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실천적 추론 수업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이수희,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자료의 개발과 적용-‘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113-129, 2005

      22 채정현, "가정교육학의 사회적 기여와 미래 방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39-154, 2010

      23 유태명, "가정교육 전공자의 지역사회에서의 역할과 기여"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03

      24 전미경, "가정교과에서의 저출산·고령사회를 위한 교육과 실천 사례" 22 (22): 94-115, 2010

      25 이연숙, "가정과교육의 평생교육적 관점과 방향" 2003

      26 전세경, "가정과교육에서의 평생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03

      27 Brown, M. M.,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Minnesot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Vocational Education 1980

      28 Baldwin, E. E., "Transformative professional practice: Overcoming ambivalence, building community" 8 (8): 21-37, 1995

      29 Moore, E., "Three Directions For Public Policy Involvement" 2 (2): 6-7, 1987

      30 Yoo, T., "The need for a reconceptualization of a core curriculum in undergraduate home economics education: A theoretical-critical consideration of major historical issues and practical concerns in the field"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1

      31 Garrison, A. K., "The benefits of the FCCLA student organization: A Grounded theory study"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7

      32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 "Position Statements un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2011" IFHE 2011

      33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 "IFHE Position Statement-Home Economics in the 21st Century" IFHE 2008

      34 Home Economics Institute of Australia Inc, "Home economics and the Australian Curriculum Position paper" 17 (17): 1-13, 2010

      35 Brown, M. M., "Home Economics: A Definition" AHEA 1979

      36 Perkin, D. F., "Getting dinosaurs to dance: Community collaboration as applications of ecological theory" 7 (7): 39-47, 1994

      37 Smith, F. M., "From home economics to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 New university core concepts" 87 (87): 13-20, 1995

      38 Pendergast, D., "Families as social capital: The choice of future generation - Creating Home Economics Futures"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3-23, 2011

      39 권유진, "Designing Service-learning Courses through the Analysis of Service-learning Course Syllabi and Faculty Survey" 대한가정학회 10 (10): 99-112, 2009

      40 Keith. J. G., "Building and maintaining community coalitions on behalf of children, youth, and families" Michigan State University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1993

      41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n Curriculum development timelines"

      42 Vincenti, V., "A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81

      43 경기복지재단, "2010 경기도 저출산·고령화 대책을 위한 출산·양육·가족친화"슬로건"공모"

      4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고시 제 2009-41호"

      45 통계청, "2003년 출생·사망 통계 결과"

      46 AAFCS, "2000-2005 Strategic Plan" The Author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