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의 ‘대동아사’ 구상과 역사교육 -<동아 및 세계> 과목과 교과서 『중등역사 1』을 중심으로- = The Idea of ‘The Greater East Asia History’ of Japanese Empire and History Education: Focusing on the History Subject <East Asia and The World> and Textbook Secondary School History 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63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ast Asia and The World> is a foreign history subject that was based on ‘The Training instruction manual’ announced in Japanese Empire and the Colonial Joseon in 1943 , when the Asian-Pacific War was at its peak. It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secondary schools in Japanese Empire and Colonial Joseon, and integrated the contents of foreign history education, which had been previously divided into Oriental history and Western history. The textbook of this course was Secondary School History 1, which was produced as a national textbook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4.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were born on the flow of the “Greater East Asia Education System” designed by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to establish an emergency education system for the war of aggression.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tried to producea war ideology through the history and to project ideology into history education. Thus,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Great East Asia,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conducted. This book provided a logic for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The purpose of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is to make students who learned <East Asia and The World> fight in a war by teaching students the histor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which is the process of enlargement of the glory of the Emperor of Japan.
      번역하기

      <East Asia and The World> is a foreign history subject that was based on ‘The Training instruction manual’ announced in Japanese Empire and the Colonial Joseon in 1943 , when the Asian-Pacific War was at its peak. It was established for the ...

      <East Asia and The World> is a foreign history subject that was based on ‘The Training instruction manual’ announced in Japanese Empire and the Colonial Joseon in 1943 , when the Asian-Pacific War was at its peak. It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secondary schools in Japanese Empire and Colonial Joseon, and integrated the contents of foreign history education, which had been previously divided into Oriental history and Western history. The textbook of this course was Secondary School History 1, which was produced as a national textbook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4.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were born on the flow of the “Greater East Asia Education System” designed by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to establish an emergency education system for the war of aggression.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tried to producea war ideology through the history and to project ideology into history education. Thus,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Great East Asia,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conducted. This book provided a logic for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The purpose of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is to make students who learned <East Asia and The World> fight in a war by teaching students the histor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which is the process of enlargement of the glory of the Emperor of Jap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아 및 세계>는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3년에 일본과 조선에서 발표된 중학교교수 및 수련지도요목(中學校敎授及修練指導要目)에 의거해 동양사와 서양사로 이원화되어 있던 기존의 외국사 교육이 하나로 통합되며 탄생한 역사과목이다. 이 과목의 교과서가 바로 1944년 문부성 국정 단일 교과서로 제작된 『중등역사 1(中等歷史 一)』이었다.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은 1940년대로 접어들며 일제가 비상전시교육체제 확립을 위해 고안한 ‘대동아교육체제’ 하에서 등장하였다. 일제는 사학계를 통해 전쟁 이데올로기를 생산해내고, 이를 역사교육에 투영하고자 했다. 이에 문부성 주관의 국정 개설서인 『대동아사개설(大東亞史槪說)』의 편찬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개설서는 ‘대동아공영권의 역사’를 담은 것이었고,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의 내용 구성 논리를 제공하였다. 즉,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의 등장은 천황의 영광이 확대되는 과정인 ‘대동아공영권의 역사’를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을 대동아공영권의 확립을 위해 전쟁에 나가는 황국신민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중등역사 1』은 아시아·태평양전쟁 당시 일제가 역사교육을 통해 국민들에게 형성시키려던 대외인식의 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동아 및 세계>는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3년에 일본과 조선에서 발표된 중학교교수 및 수련지도요목(中學校敎授及修練指導要目)에 의거해 동양사와 서양사로 이원화되어 있던 ...

      <동아 및 세계>는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3년에 일본과 조선에서 발표된 중학교교수 및 수련지도요목(中學校敎授及修練指導要目)에 의거해 동양사와 서양사로 이원화되어 있던 기존의 외국사 교육이 하나로 통합되며 탄생한 역사과목이다. 이 과목의 교과서가 바로 1944년 문부성 국정 단일 교과서로 제작된 『중등역사 1(中等歷史 一)』이었다.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은 1940년대로 접어들며 일제가 비상전시교육체제 확립을 위해 고안한 ‘대동아교육체제’ 하에서 등장하였다. 일제는 사학계를 통해 전쟁 이데올로기를 생산해내고, 이를 역사교육에 투영하고자 했다. 이에 문부성 주관의 국정 개설서인 『대동아사개설(大東亞史槪說)』의 편찬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개설서는 ‘대동아공영권의 역사’를 담은 것이었고,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의 내용 구성 논리를 제공하였다. 즉,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의 등장은 천황의 영광이 확대되는 과정인 ‘대동아공영권의 역사’를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을 대동아공영권의 확립을 위해 전쟁에 나가는 황국신민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중등역사 1』은 아시아·태평양전쟁 당시 일제가 역사교육을 통해 국민들에게 형성시키려던 대외인식의 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림, "일제하 중등학교 國民科의 도입과 ‘國史’(日本史) 교육" 역사교육학회 (50) : 103-140, 2013

      2 우선주, "일제 강점기 조선의 중등학교 동·서양사 교육, 1922-1945"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3 스테판 다나카,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2004

      4 역사교육연구소,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5

      5 강상중,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산 1997

      6 김호동,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사계절 [파주] 2016

      7 박걸순, "식민지 시기의 역사학과 역사인식" 경인문화사 2004

      8 모토무라 료지, "말이 바꾼 세계사" 가람기획 2005

      9 안지나, "만주국 건국 이데올로기의 균열과 변형-민족협화에서 오족협화로, 왕도주의에서 왕도낙토로-" 만주학회 (18) : 35-57, 2014

      10 최원석,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창비 2010

      1 김보림, "일제하 중등학교 國民科의 도입과 ‘國史’(日本史) 교육" 역사교육학회 (50) : 103-140, 2013

      2 우선주, "일제 강점기 조선의 중등학교 동·서양사 교육, 1922-1945"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3 스테판 다나카, "일본 동양학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2004

      4 역사교육연구소,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5

      5 강상중,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산 1997

      6 김호동,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사계절 [파주] 2016

      7 박걸순, "식민지 시기의 역사학과 역사인식" 경인문화사 2004

      8 모토무라 료지, "말이 바꾼 세계사" 가람기획 2005

      9 안지나, "만주국 건국 이데올로기의 균열과 변형-민족협화에서 오족협화로, 왕도주의에서 왕도낙토로-" 만주학회 (18) : 35-57, 2014

      10 최원석,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창비 2010

      11 백영서, "동아시아인의 ‘동양’ 인식" 창비 2001

      12 김후련,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고대일본의 자타인식" 역사문화연구소 (21) : 197-226, 2004

      13 와다 하루키,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일조각 2004

      14 장신, "韓末, 日帝强占期의 敎科書 發行制度와 歷史敎育" 역사교육연구회 (91) : 1-23, 2004

      15 연민수, "神功皇后 전설과 日本人의 對韓觀" 한일관계사학회 (24) : 3-26, 2006

      16 박찬흥, "滿鮮史觀에서의 한국고대사 인식 연구" 고려사학회 (29) : 9-40, 2007

      17 "每日新報"

      18 有高巖, "概説大東亜史" 同文書院 1943

      19 財団法人 敎科書硏究センター, "旧制中等学校敎科內容の変遷" ぎようせい 1984

      20 신현승, "日本의 東洋史學者 内藤湖南의 歷史認識 —支那認識과 文化史觀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19 : 321-353, 2009

      21 渡部学, "日本植民地敎育政策史料集成(朝鮮篇)" 竜渓書舎 1991

      22 "日本內閣官報"

      23 角田将士, "戰前日本における歷史敎育內容編成に關する史的硏究-自國史と外國史の關連を視点として" 風間書房 2010

      24 奈順惠子, "戦時下日本における<大東亜史>構想" 35 : 1995

      25 朝鮮總督府, "官報"

      26 文部省敎育調査部, "大東亞新秩序建設の意義" 文部省敎育調査部 1941

      27 矢野仁一, "大東亞史の構想" 目黑書店 1944

      28 石井均, "大東亜建設審議会に関する一考察" 25 : 1981

      29 滿井隆行, "外國史の敎育-その史的硏究" 葵書房 1966

      30 長谷川亮一, "十五年戦争期における文部省の修史事業と思想統制政策-いわゆる「皇国史観」の問題を中心として" 千葉大学大学院 2007

      31 文部省, "中等歷史 一" 中等學校敎科書株式會社 1943

      32 박찬흥, "‘만선사’에서의 고대 만주 역사에 대한 인식" 한국고대사학회 (76) : 127-165, 2014

      33 남상호, "‘대동아전쟁’과 『대동아사개설』 편찬" 한일관계사학회 (31) : 241-297, 2008

      34 冨永 望, "<資料紹介> 『大東亜史概説』" 14 : 2016

      35 나가하라 게이지, "20세기 일본의 역사학" 삼천리 2011

      36 橋口菊, "1943年中等学校令の成立課程と大東亜建設審議会" 56 (56): 1989

      37 허미애, "1930년대 전반기 일제의 고등보통학교 역사교과서 검인정제도와 조선사교육의 특성" 고려대학교대학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