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 사찰을 대표하는 불국사는 활단층인 불국사(울산)단층선이 통과하는 한반도에서 지반이 가장 불안정한 곳에 입지한다. 사찰이 조성된 선상지 지형면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하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58734
200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5-331(17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불교 사찰을 대표하는 불국사는 활단층인 불국사(울산)단층선이 통과하는 한반도에서 지반이 가장 불안정한 곳에 입지한다. 사찰이 조성된 선상지 지형면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하므...
한국 불교 사찰을 대표하는 불국사는 활단층인 불국사(울산)단층선이 통과하는 한반도에서 지반이 가장 불안정한 곳에 입지한다. 사찰이 조성된 선상지 지형면의 폭이 좁고 경사가 급하므로 건축자들은 불교의 상징세계를 완성하기 위하여 부지의 남쪽과 서쪽을 확장하였다. 인위적으로 넓힌 공간에는 이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내진 구조를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건축미를 극대화하면서 중요한 목적인 내진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화강암을 목재처럼 가공하거나 자연석과 다듬은 석재를 이용하여 여러 장치들을 고안하였다. 불국사에 적용된 내진 구조는 그렝이법, 목조건축 기법을 적용한 석조구조(결구), 주두석(동틀돌, 첨차석)의 이용, 유공초석의 사용이다. 석축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들은 나름대로 지진에너지를 흡수하는 특별한 역할을 하면서 전체적으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복잡하고 세밀한 내진 구조들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석축 안에 감추면서 미학적으로 절정의 건축물을 만든 건축설계는 1250년 전 신라인들의 기술 수준을 짐작하게 한다. 기교에만 치우쳐 지나치게 치장한 것으로도 보일 수 있는 이 건축물의 진정한 미는 과학에 근거한 아름다움을 추구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reverse fault lines are passing through the alluvial fans and west hill slope of Bulguksa mountains including Mt. Toham in the directions of N-S and NW-SE. The study area is known as relatively unstable, because of active faults. Assuming on the ...
Some reverse fault lines are passing through the alluvial fans and west hill slope of Bulguksa mountains including Mt. Toham in the directions of N-S and NW-SE. The study area is known as relatively unstable, because of active faults. Assuming on the record of Samguksagi about earthquakes, the architects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lguksa Temple should have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breakdown from the earthquakes and the need for an unique structure against at that time. Against earthquakes, Grengee technique, a stonework construction technique following wooden one and use of Chuduseok(Dongtleseok or Chumchaseok) were appli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lguksa Temple. By designing the foundation stone with hole, a structure is prevented from modification that pillars secede from a foundation stone in spite of horizontal load of earthquake while wood construction is strong frame at earthquake. The Bulguksa Temple is usually evaluated to be a beautiful architecture from the appearances like the weight balanced structure with unique decoration. Impressive architectures are beautiful in balance and harmony coming from the important and specific rolls in its own way by each part of whole structure. This beauty comes from the scie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호, "한국의 전통건축" 문예출판사, 서울 1996
2 박경석, "한국의 우곡지형연구" 1989
3 윤순옥,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35 (35): 231-246, 2000
4 윤순옥, "한국 남동부 경주시 불국사단층선 북부의 활단층지형" 34 (34): 231-246, 1999
5 황상일, "한국 남동부 경주 및 울산시 불국사단층 지역의 선상지 분포와 지형발달" 36 (36): 217-232, 2001
6 "지진은 왜 일어나는가?" 기문당, 서울 1999
7 기상청, "지진관측보고(1978-2001)" 기상청 2001
8 "지진과 재해" 기전연구사, 서울 1996
9 윤순옥, "조선시대 이래 한반도 지진발생의 시공간적 특성" 36 (36): 93-110, 2001
10 정지성, "잉카문명의 신비" 도서출판 한백, 서울 1998
1 장경호, "한국의 전통건축" 문예출판사, 서울 1996
2 박경석, "한국의 우곡지형연구" 1989
3 윤순옥,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35 (35): 231-246, 2000
4 윤순옥, "한국 남동부 경주시 불국사단층선 북부의 활단층지형" 34 (34): 231-246, 1999
5 황상일, "한국 남동부 경주 및 울산시 불국사단층 지역의 선상지 분포와 지형발달" 36 (36): 217-232, 2001
6 "지진은 왜 일어나는가?" 기문당, 서울 1999
7 기상청, "지진관측보고(1978-2001)" 기상청 2001
8 "지진과 재해" 기전연구사, 서울 1996
9 윤순옥, "조선시대 이래 한반도 지진발생의 시공간적 특성" 36 (36): 93-110, 2001
10 정지성, "잉카문명의 신비" 도서출판 한백, 서울 1998
11 변진섭, "우리가 알아야할 지진" 일공일공일, 서울 1998
12 장기인, "석조(한국건축대계 Ⅶ)" 보성각, 서울 1997
13 신영훈, "석불사·불국사" 조선일보사, 서울 1998
14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불국사 복원공사 보고서" 1976
15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 창작과 비평사, 서울 1997
16 김찬삼, "김찬삼의 세계여행 1" 1972
17 황상일, "경주시 하동 주변의 선상지 지형발달과 구조운동" 5 (5): 189-200, 1998
18 ?謔浙V攣, "琯?????遝?(?n?評??|꼬) 櫓卵꼬ㅞ삶???撻望課????澹띨^" 109 (109): 644-658, 1998
19 岡田篤正, "岡田篤正·渡邊滿久·佐藤比呂志·全明純·曺華龍·金性均·田正秀·池憲哲·尾池和夫" 111-126, 1994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아열대 기후구 전망
한반도의 지반운동 (Ⅰ) : DEM 분석을 통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 규명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3 | 1.701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