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섬진강 유역의 어살[漁箭] 연구 = 남원 · 곡성 살뿌리 도깨비살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5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어살[漁箭]은 하천이나 바다에 나무 또는 돌로 발을 설치하여 이동하는 고기를 잡는 전래어법(傳來漁法)의 하나이다. 이 글은 하천의 어살로는 거의 유일하게 살담(돌보)이 남아있는 섬진강 살뿌리 도깨비살의 일생을 추적한 논문이다. 남원과 곡성의 경계에 위치한 이어살은 대각선 방향으로 살담을 쌓아 강물을 가로막고, 그 끝에 대나무로 엮은 발을 설치하여 고기를 가두는 독살[石箭]이다. 봄철에는 섬진강 상류로 거슬러 올라오는 황어 등을 어획하고, 늦여름과 가을에는 바다로 내려가는 은어 · 참게 등을 주로 낚았다.
      그동안 살뿌리 도깨비살에 대한 연구는 1994년 어살의 구조에 대한 기초조사가 이루어진 이래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본고는 남원 · 곡성 살뿌리 인접지역의 광범위한 현장조사를 토대로 살뿌리 도깨비살의 네 가지 전승양상에 주목하였다. 첫째는 섬진강 유역 어살의 유래와 역사이고, 둘째는 ‘도깨비살’이란 별칭을 얻게 된 유래담의 상징과 의미, 셋째는 풍어를 기원하는 독살고사 등 살뿌리 도깨비살의 어로민속이다. 끝으로 살뿌리 도깨비살의 지속과 소멸 과정을 추적하면서 생활문화사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어살[漁箭]은 하천이나 바다에 나무 또는 돌로 발을 설치하여 이동하는 고기를 잡는 전래어법(傳來漁法)의 하나이다. 이 글은 하천의 어살로는 거의 유일하게 살담(돌보)이 남아있는 섬진강 ...

      어살[漁箭]은 하천이나 바다에 나무 또는 돌로 발을 설치하여 이동하는 고기를 잡는 전래어법(傳來漁法)의 하나이다. 이 글은 하천의 어살로는 거의 유일하게 살담(돌보)이 남아있는 섬진강 살뿌리 도깨비살의 일생을 추적한 논문이다. 남원과 곡성의 경계에 위치한 이어살은 대각선 방향으로 살담을 쌓아 강물을 가로막고, 그 끝에 대나무로 엮은 발을 설치하여 고기를 가두는 독살[石箭]이다. 봄철에는 섬진강 상류로 거슬러 올라오는 황어 등을 어획하고, 늦여름과 가을에는 바다로 내려가는 은어 · 참게 등을 주로 낚았다.
      그동안 살뿌리 도깨비살에 대한 연구는 1994년 어살의 구조에 대한 기초조사가 이루어진 이래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본고는 남원 · 곡성 살뿌리 인접지역의 광범위한 현장조사를 토대로 살뿌리 도깨비살의 네 가지 전승양상에 주목하였다. 첫째는 섬진강 유역 어살의 유래와 역사이고, 둘째는 ‘도깨비살’이란 별칭을 얻게 된 유래담의 상징과 의미, 셋째는 풍어를 기원하는 독살고사 등 살뿌리 도깨비살의 어로민속이다. 끝으로 살뿌리 도깨비살의 지속과 소멸 과정을 추적하면서 생활문화사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fishpound[漁箭] is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used to trap fish as they swim by installing a wooden or stone fence in the river or ocean.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lifetime of the Seomjin Rinver’s Dokkaebi’s Salbburi, which is the only remaining stone fish weir in the river. This fishpound, located along the boundary of Namwon and Gokseoung, channels the river using stones placed diagonally and then traps the fish with a bamboo blind further down the river. In the spring, fishermen catch tribolodon swimming upstream in the Seomjin River and mostly catch sweet fish and mitten crab migrating downstream to the ocean in late summer and fall.
      Currently, the research on the Dokkaebi’s Salbburi has been at a standstill since basic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fishpound was conducted in 1994. This paper concentrated on four transmission aspects related to the Dokkaebi’s Salbburi, based on extensive investig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First, we studied the origin and history of a fish weir. Second, we studied the meaning of “dokkaebi’s sal” and its origin. Third, we studied the rituals practiced to have a big catch: the Doksal rituals and fishing folk customs like the Dokkaebi’s Salbburi. Lastly, we considered the impact that the Dokkaebi’s Salbburi has had on the environment, both upstream and downstream.
      번역하기

      A fishpound[漁箭] is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used to trap fish as they swim by installing a wooden or stone fence in the river or ocean.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lifetime of the Seomjin Rinver’s Dokkaebi’s Salbburi, which is the only re...

      A fishpound[漁箭] is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used to trap fish as they swim by installing a wooden or stone fence in the river or ocean.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lifetime of the Seomjin Rinver’s Dokkaebi’s Salbburi, which is the only remaining stone fish weir in the river. This fishpound, located along the boundary of Namwon and Gokseoung, channels the river using stones placed diagonally and then traps the fish with a bamboo blind further down the river. In the spring, fishermen catch tribolodon swimming upstream in the Seomjin River and mostly catch sweet fish and mitten crab migrating downstream to the ocean in late summer and fall.
      Currently, the research on the Dokkaebi’s Salbburi has been at a standstill since basic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fishpound was conducted in 1994. This paper concentrated on four transmission aspects related to the Dokkaebi’s Salbburi, based on extensive investig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First, we studied the origin and history of a fish weir. Second, we studied the meaning of “dokkaebi’s sal” and its origin. Third, we studied the rituals practiced to have a big catch: the Doksal rituals and fishing folk customs like the Dokkaebi’s Salbburi. Lastly, we considered the impact that the Dokkaebi’s Salbburi has had on the environment, both upstream and downstre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섬진강 유역 어살의 유래와 역사
      • Ⅲ. 도깨비살 유래담의 상징과 의미
      • Ⅳ. 살뿌리 도깨비살의 구조와 어로민속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섬진강 유역 어살의 유래와 역사
      • Ⅲ. 도깨비살 유래담의 상징과 의미
      • Ⅳ. 살뿌리 도깨비살의 구조와 어로민속
      • Ⅴ. 살뿌리 도깨비살의 지속과 변화
      • Ⅵ. 맺음말: 살뿌리 도깨비살의 생활문화사적 의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 : 충청남도 편"

      2 강성복,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52-254, 2011

      3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태안 개미목마을" 대원사 2006

      4 강성복, "충남의 민속문화" 국립민속박물관 12-115, 2010

      5 주강현, "충남 서해안의 독살 분포와 특징" 한남대학교박물관 (창간) : 43-63, 1998

      6 "조선왕조실록"

      7 곡성군입면향토지편찬위원회, "입면향토지"

      8 남원문화원, "용성지"

      9 "용성지"

      10 "여지도서"

      1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가정신앙 : 충청남도 편"

      2 강성복,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 국립민속박물관 252-254, 2011

      3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태안 개미목마을" 대원사 2006

      4 강성복, "충남의 민속문화" 국립민속박물관 12-115, 2010

      5 주강현, "충남 서해안의 독살 분포와 특징" 한남대학교박물관 (창간) : 43-63, 1998

      6 "조선왕조실록"

      7 곡성군입면향토지편찬위원회, "입면향토지"

      8 남원문화원, "용성지"

      9 "용성지"

      10 "여지도서"

      11 "신증동국여지승람"

      12 "승정원일기"

      13 "세종실록지리지"

      14 박종오, "섬진강의 어살[漁箭] 어로(漁撈) 고찰" 남도민속학회 (28) : 107-131, 2014

      15 주강현, "서산의 해양민속과 민중생활사" 서산문화원 2004

      16 강성복, "백마강 상" 364-368, 2008

      17 김종대, "민담과 신앙을 통해본 도깨비의 세계" 국학자료원 1997

      18 강성복, "미호동(渼湖洞), 취백정과 미호나루가 있던 강촌" 대전시사편찬위원회 23 : 343-362, 2014

      19 이필영, "마을신앙의 사회사" 웅진 1994

      20 충청남도․한남대학교충청문화연구소, "도서지"

      21 김종대, "도깨비신앙의 유형과 전승양상" 국립민속박물관 4 : 181-202, 1997

      22 황복화, "내가 본 고리봉과 살뿌리" 곡성군 51 : 2-12, 1999

      23 남원지편찬위원회, "남원지"

      24 남원시, "남원의 마을유래"

      25 강성복, "금산의 탑신앙" 금산문화원 32-112, 1999

      26 곡성군, "국역 곡성군지"

      27 박종익, "구비설화에 나타난 도깨비의 정체성 고찰 ­충청지역 구비설화를 대상으로­" 어문연구학회 42 : 89-116, 2003

      28 곡성군, "곡성군 마을유래지(증보판)"

      29 곡성군, "곡성군 마을유래지"

      30 박구병, "곡성 살뿌리漁箭에 관한 조사" 수산업사연구소 1 : 111-133,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