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句麗 古墳의 造營과 祭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871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ombs of Koguryo, especially stone-filed tombs and mural painting tombs, and Sacrificial Rites. Chapter Ⅱ is a basic step for a synthetic examination of existing reports on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in the region of Jian and ...

      This study is on tombs of Koguryo, especially stone-filed tombs and mural painting tombs, and Sacrificial Rites.
      Chapter Ⅱ is a basic step for a synthetic examination of existing reports on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in the region of Jian and then to understand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by the forms and chronology of the royal tombs. This is basic study for burial site and master of the Koguryo stone-filed tombs
      Stone-filed tombs of Koguryo is consisted of four exterior forms (non-stylobate, fence, stylobate, stairway) and four interior forms (stone outer coffin, stone burial hole , burial hole and chamber, stone burial chamber). Thus the stone-filed tombs of Koguryo has developed by mixing of these forms. Comparing to these patterns of development in forms, we can find out that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which is over 30 meters tall, has only two exterior forms(fence style and stairway style). This means that development to stairway style stone-filed tombs, the mixture of fence style and stylobate style, had been rapid and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had been built in the form of fence style and stylobate style to be as tall as agreeable to the kingship.
      The royal big stone-filed tombs of Koguryo in the region of Jian, in the aspect of form categorization, we can suppose that it had developed from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hole o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outer coffin to the stairway style tome with burial hole and chamber and finally to the stairway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chambe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hole or the fence style tombs with stone outer coffin seemed to have existed from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third century and stairway style tome with burial hole and chamber seemed to have existed from the middle of thir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forth century. Among these, stairway style tombs with stone burial chamber had mainly existed from the middle of four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fifth century and shows the most elaborated form of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Thus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which appeared after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and have their every side over 30 meters are related to the advent of a powerful kingship: this shows that the Koguryo already established the system of a powerful kingship in the middle of second century. In the middle of third century when the stairway style stone-filed tombs appeared, the Koguryo began to grow to claim its own cosmological conception in the forth century. With this development the royal stone-filed tombs of Koguryo symbolically shows the transition of kingship.
      And the buried of Koguryo great stone-filled tomb were examined. Many of researches about buried people in Koguryo stone-filed tombs and locating of Koguryo kings' tombs have been preceded without general analysis on written records. The location of the Koguryo king’s tombs is recently discussed energetically. It is considered better to work based on historical records for the moment. Also, making a chronicle according to the location, size, excavated remains and style of the tomb to figure out approximat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and tomb’s original location is crucial. I will point out few problems in other theories and verify historical facts precisely from Samguksagi, Samgukyusa, Japanese historical material, and inscriptions engraved into stones or metal to scrutinize the location of the Koguryo king’s tomb. Becaus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o king’s tomb is kept on record in Samguk Sagi, if the location of tombs in other studies differ to a great extent from that of Samguk Sagi, that location might be wrong. Gukyang, Gogukwon and Gukgansang are found out to be indicating the same region, a certain plain area around Guknae Castle. Thus, instead of the original theories on river in Ji’an, Gukcheon can be located as Amnok River, Seocheon as Tongu river, Dongcheon as a small river in front of Taewanghyang, Jungcheon as a small river from Woo Mountain to south of Guknae Castle and Micheon as Maseonguha. This implies a number of tombs of Koguryo kings since King Shindae had existed at Woo Mountain tomb or near the Chilsung Mountain tomb group.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Koguryo stone-filed Tomb closely, these kings’ tombs could be located at following places: under mountain castle No. 36(late 2C) as the tomb of King Sindae ; Chilsung Mountain tomb No. 871(early 3C); Woo Mountain tomb No.2110(late 3C) as the tomb of King Jungcheon; Chilsung Mountain tomb No.0211 (late 3C) as the tomb of King Seocheon; Imgang Tomb (late 3C-mid 4C) as the tomb of King Bonsang; Seodae Tomb (early 4C) as the original burial site of King Micheon and Masungu tomb No.2100 (mid 4C) as the second burial site; Woo Mountain tomb No.0540 (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won; Cheonchu Tomb (late 4C) as the tomb of King Sosurim; Taewang Tomb (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yang; Jangun Tomb (early 5C) as the tomb of Gwanggaeto the Great. But now I can't guess tombs of king Gogugchun and King Dongchun. Meanwhil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o nobility is found out to be located based on the land territory of family or one’s hometown. From now on,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investigations on this subject, locating the Koguryo king’s tomb, with great care and from various views. Particularly the way of selecting archaeological features which is regarded as the utmost reliable should be examined divided into two periods: when the tomb is originally established, and when it was restored.
      Chapter Ⅲ is study on Koguryo mural painting. Until now the remaining number of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was believed to be one hundred and seven. However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the total remaining number of mural painting tombs in China is thirty-eight : thirty-six in Jian area, one in Huanren area and another one in Musoon area. The number of mural painting tombs remaining in North Korea was believed to be seventy-six. And four more can be added to this number: K대msandong tomb in Sunchon area, double room tomb of Jinpari old mound in Pyongyang, Jinpari tomb number 7 and Dankun royal tomb. Accordingly currently confirmable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amount to one hundred and eighteen including thirty eight remaining in China and eighty found in North Korea. Especially mural painting tombs with external formation as a stone-filed tomb and internal construction as a stone chamber are being found : under mountain castle Julchun tomb, under Woo-moutain number 1041 tomb, under Woo-moutain number 3319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1405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1408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725 tomb, under mountain castle number 798 tomb. The fact that wall paintings are discovered in stone-filed tombs gives important suggestion related to the reception of mural painting tombs. I intends to clarify the types of Koguryo mural tombs, which have been excavated up to date, by form of their structures and contents. The form of Koguryo mural tombs can be categorized into 'Da-sil-boon(a burial site which is consisted of more than three rooms; I)', 'Yi-sil-boon(a burial site which is consisted of two rooms; Ⅱ)', 'Dan-sil-boon(a burial site consisted of one room; Ⅲ)' and 'Teuk-soo-boon(a burial site which has a particular structure or shape, thus cannot be defined as being consisted of rooms ; Ⅳ)' in terms of structure. And the form of Koguryo mural tomb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Ⅱ),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decorative patterns(Ⅳ)', 'decorative patterns and Sa-shin-do(Ⅴ), Sa-shin-do(a painting depicting four gods who control four directions Ⅵ) in terms of the contents of mural painting. By these terms, the structure and contents, we can also categorize them into several types: the typeⅠ-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Ⅰ-Ⅱ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Ⅱ), the typeⅠ-Ⅲ a combined form of Da-sil-boon(Ⅰ)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Ⅱ-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 Ⅱ-Ⅱ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Ⅱ), the type Ⅱ-Ⅲ which is a combined form of Yi-sil-boon(Ⅱ)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Ⅲ-Ⅰ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portraits and customs(Ⅰ), the type Ⅲ-Ⅲ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Sa-shin-do(Ⅲ), the type Ⅲ-Ⅳ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ecorative patterns(Ⅳ), the type Ⅲ-Ⅴ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ecorative patterns and Sa-shin-do(Ⅴ), the type Ⅲ-Ⅵ which is a combined form of Dan-sil-boon(Ⅲ) and d Sa-shin-do(Ⅴ). And a particular type which is a combined form of Teuk-soo-boon and portraits and customs(Ⅳ-Ⅰ), Teuk-soo-boon and portraits and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Ⅳ-Ⅱ)
      Meanwhile, seeing the structure of the burial chamber of Seoksil-bongto-bun(A kind of a tomb that is portioned with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we can find that seven Jeok-seok-chong(stone-filed tomb) are the type Ⅲ-A, Ⅲ-B and Ⅱ-B. The under mountain castle(San-seong-ha) No.725, under mountain castle No.798, under Woo mountain (Woo-san-ha) No.3319 are the Ⅲ-A types. Th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0.1041, San-seong-ha No.1405 are the Ⅲ-B types. The San-seong-ha N.1408 is the Ⅱ-B type. Among these, th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and Woo-san-ha No.3319 are identified having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as their mural painting. This fact led us to suppose that other three tombs may have the portraits and customs(Ⅰ) as their mural painting. As a result, we can conclude that these stone-filed tombs can exist in both the type Ⅱ-Ⅰ and the type Ⅲ-Ⅲ.
      These tombs can be arrayed in this order in time order: (Ⅰ-Ⅰ) · (Ⅲ-Ⅰ) ->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 (Ⅰ-Ⅵ) · (Ⅱ-Ⅱ) -> (Ⅲ-Ⅲ) · (Ⅲ-Ⅳ) -> (Ⅲ-Ⅴ) · (Ⅲ-Ⅵ). With this transition and development proven by formal categorization the chronicle can be defined: The type of (Ⅰ-Ⅰ) is a Da-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Anak N. 3 built in 357 can be the standard for the chronicle. It was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o the late 5th century. The type (Ⅲ-Ⅰ), a Dan-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seems to had been built in the near age. The Deokheungri tomb which was built in 408 can be the standard of the type of (Ⅰ-Ⅱ), (Ⅰ-Ⅲ), (Ⅱ-Ⅰ) and (Ⅱ-Ⅲ). They are Da-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and Yi-sil-boon with portraits and customs and they had been commonly distributed from the first half to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 type of (Ⅰ-Ⅵ) and (Ⅱ-Ⅱ) are Da-sil-boon with Sa-shin-do or Yi-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or portraits, customs and decorative patterns. These seem to be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and the late 5th century. The type of (Ⅲ-Ⅲ) and (Ⅲ-Ⅳ) are Dan-sil-boon with portraits, customs and Sa-shin-do or rooms of regressive form and decorative patterns. These are supposed to be built from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 type of (Ⅲ-Ⅴ) and (Ⅲ-Ⅵ) are Dan-sil-boon with decorative patterns, Sa-shin-do or Dan-sil-boon with Sa-shin-do. These are supposed to be built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Meanwhile, among the stone-filed tombs seven wall-painted tombs can be divided into three forms: type Ⅲ-A, type Ⅲ-B and type Ⅱ-B by the structure of Seoksil bongto-bun. The type Ⅲ-A are San-seong-ha No.725, San-seong-ha No.798, Woo-san-ha No.3319. The type Ⅲ-B are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San-seong-ha No.1405. The type Ⅱ-B is San-seong-ha No.1408. Among these stone-filed tombs San-seong-ha Jeol-cheon-jeong-myo, Woo-san-ha No.1041, Woo-san-ha No.3319 have wall paintings which depict portraits and customs and the rest four tombs are also supposed to have wall paintings depicting portraits and customs. Thus these stone-filled tomb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Yi-Sil-Boon and has wall paintings of portrait and customs, the other is Dan-sil-boon and has wall paintings of portrait and customs. And It was already mentioned that Woo-san-ha No. 3319 is supposed to be built in 357, so this tomb can be the standard of chronicles of ancient Koguryo tombs. Woo-san-ha No. 3319 is a special type of tomb(Gyedan-jeonsil stone-filled tomb; Stairway stone-filled tomb with blocked room) However, this tombs has some traits which provide that it was built relatively earlier than other tombs: It contains celadon porcelains of East Qin. This means it was influenced by the ancient Chinese culture. San-seong-ha No. 798 and 725 have rooms on the route. In other word, this was built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considering that Kyedan-seoksil-jeokseok-chong(Stairway stone-filled tomb with stoned room) did not appear until the late 4th century. Woo-san-ha No. 1041 and San-seong-ha No. 1405 and San-seong-ha No. 1408 are stairway-shaped and having one room. They are supposed to be built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is chronicle of ancient Koguryo tomb is provided by the form of table in the text. This chronicle i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tombs whose blueprint could be extracted from the wall painting of them and the content of wall painting could be concretely perceived.
      Approaching the burier of mural painting tomb is a difficult problem. This paper has tried to verify the burier of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by looking through the records of ‘Samguksagi’, ‘Samgukyusa’ and historical records from Japan. Since the names of burial ground of Koguryo king s are recorded in Samguksagi, not able differences can be ascribed to maladministration of the royal tomb.
      Anak number 3 tomb had a lot of controversies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burier of the tomb. In the perspective of Dongsu’s tomb, it tried to illustrate the historical estrangement between ink-written writings of the burial ground and ‘Seong-sang-beon(聖上幡)’. Accordingly with the belief that government official position found in ink-written writings of Anak number 3 tomb is false, painting of parade and 聖上幡’s ink writings can also be considered a falsehood. painting of parade and 聖上幡’s ink writings are not drawn to show current livings to be extended again in future life but to show after death would be better than the present. Besides mural painting tombs which express the Gaesae idea (A thought of desiring wealth and prosperity of a lifetime may prolong after death) there are also other mural painting tombs which show hope for better life after-death. Those wishing for better life after-death can be found in ‘王(king)’ portrait designed mural painting tombs and yellow dragon drawn mural painting tombs.
      After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eongyang,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names of Koguryo kings followed the names of the burial site starting from the Jangsu King. This paper has look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with a perspective that big-sized Koguryo mural painting tombs in Pyeongyang area are mostly royal tomb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Jangsu royal tomb has a high possibility of existing in Pyeongyang area. And to be more specific, it may be Dongmyung royal tomb. Jinpari old mound in the area of Dongmyung royal tomb ha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in the construction area of Koguryo royal tomb. Therefore Jinpari number 1, 4 and 7 can be understood as the possession of Anjang king, Munjamyung king and Joda.
      Samguksagi confirms that several names of the kings originated from their burial site names starting from Anwon king. From Anwon king, royal tomb construction areas were divided to different individual areas. Therefore big-sized Seoksil bongto-bun(A kind of a tomb that is portioned with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found in Pyeongyang area has high possibility of being a mural painting royal tomb which was built after sixth century. Currently confirmed mural painting tombs built after sixth century are Gaema tomb, Naeri number 1, Jinpari number 1, Jinpari number 4, Jinpari number 7, Honamri sasin tomb, Gangseo big tomb, Gangseo middle tomb and so forth. Among these some may be built into royal tomb. This paper has assumed Honamri sasin tomb as the Anwon king. Moreover it is hard to discuss both Gangseo big tomb and Gangseo middle tomb as a royal tomb. Only Gangseo big tomb can be said as a king Pyongwon's tomb. Hereafter, Koguryo royal tomb location problem should be conducted with a more diversified examination.
      Chapter Ⅳ is study on Sacrificial Rites of Koguryo tombs. This study observes the construction of Koguryo stone-filed tombs and the act of ancestral rit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 of Koguryo people’s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Archaeological data and documentary record about Myo-sang architecture(Build and architecture above a tomb), altar, Bae-chong(small tomb situated next to the main tomb), arbor, tomb furnishing, mural painting, Sumyo(ancient custom of guarding a tomb) that can be seen on Koguryo stone-filed tombs history or the boundaries of a grave are examined.
      Generally funeral rit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Bin-ryeong rites’ held right after a person’s death until main funeral, ‘Jang-song rites’ held from the grave, ‘Myo-jeon rites(ceremony held in front of tombs)’ after the burial and ‘Chu-seon rites’ which can be added as an option. Myo-sang architecture of the stone-filed tomb may have functioned as a symbolic meaning of a king’s bedchamber or at least as a place which holds a ceremony or an ancestral rite. Stone-filed tombs with myo-sang architectures are mainly those built in huge sizes. Namely the owner of a tomb with a bedchamber may be a king, a person from a royal family or a noble class. Currently the remains of an altar are in an ambiguous state. However it can be considered as a temporarily built ceremonial facility related to Myo-jeon rites. Likewise the case of ‘Bae-chong’ also has some controversy but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a notable facility concerning after-death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Documentary records of Koguryo stone-filed tomb confirm that arbores found inside the boundaries of a grave are related to tree-cult religion and can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hu-jang. Sumyo custom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documentary records is not directly related to ‘Simyosali’(offsprings taking care of their parents grave by living next to it for few years.). However it can be thought as a kind of ‘Chu-seon rites’ in the aspect of protecting and managing royal tomb. Grave goods found in Koguryo stone-filed tombs are an important outcome concerning ancestral rites. Especially a large amount of roof tiles, inscriptive end pieces of roof tiles, bells, bricks reflect ancestral rites and after-death related religions. Intentional demolition of grave goods also took place in Koguryo. Mural painting which gained attention as a funeral art of ‘Seoksil-Bongto-bun(kind of tomb that is portioned with a stone and the rest part is piled-up by soil)’ is found in six wall-painted tombs of stone-filed ones. Therefore it should not be neglected. Wall paintings of stone-filed tombs are mostly those showing living customs which can be connected to ‘Gaesae idea’(thought of desiring wealth and prosperity of a lifetime may prolong after death).
      Hence Koguryo people’s religion and ancestral rites are confirmable through Myo-sang architecture, altar, Bae-chong, excavated relic, mural painting and documentary record. Since stone-filed tombs were constructed with a focus on their external form, ancestral rites were mainly expressed to the outer part. Big-sized stone-filed tombs with Myo-sang architecture, altar, Bae-chong, Sumyo-in(Person who guards a tomb)are generally huge-sized ones that belong to the royal family.
      And this study is on the religious mind and the relevant matters by wall paintings and the facilities in the Seoksil-bongto-bun. Seoksil-bongto-bun have a big size, but express the religious mind or ceremony in interior of tomb. Especially the interior structure and the facilities or traces depicted on the wall paintings contain the religious mind and ceremony form of the period of Seoksil-bongto-bun of Koguryo. Thus this seems to be the reason why a Seoksil-bongto-bun seldom contains exterior facilities. Furthermore, the ancient Koguryo tombs had developed in two different ways in the level of stone-filled tomb and Seoksil-bongto-bun. Of course, these stream had accompanied the transition of tomb form and the religious mind or mind of the people of Koguryo. It means that understanding the tombs or wall paintings can lea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mind or ideas of that period.
      Diversified examination on the religious mind and the form of ceremony of Koguryo will be needed. In addition, research on Korean own religion or religious mind expressed on the wall paintings should be carried out.
      The above research shows that the form of ancient Koguryo tomb has changed from the stone-filled tomb to the Seoksil-bongto-bun. From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stone-filled tombs of big size, more that 30 meters per side, began to appear and became the tomb for royal family or upper class.
      From the 4th century the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became abundant by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and after 5th century it became the tomb for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instead of the stone-filled tomb. Thus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in which the tomb for the highest ranks appeared, is an important key to figure out the feature of Koguryo dynasty's kingship and the 4th century, in which the change from stone-filled tomb to the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is apparent,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the transition of ancient Koguryo tomb style. This changes are contemporary wit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from Guknae castle to Pyeongyang. From that time the Stone-filled tombs began to be equipped with the big stoned room and Seoksil-bongto-bun and stone-filed tomb are combined to some degree to become the Bangdan-seoksil-bongto-bun and after this Seoksil-bongto-bun become the royal tomb.
      Meanwhile the concept of the future life and the funeral ceremony of the rulers of Koguryo was concretely revealed by the whole examination of the tombs. At least, the facilities of royal tombs and the burial system of royal family was revealed to a certain extent and in the level of wall-painted tomb the interior facilities shows the status of the buried. The stone-filled tomb and Seoksil-bongto-bun with mural painting reflects the true character of Koguryo. The Koguryo wall-painted tomb with the essential elements of stone-filled tomb, Sa-shin-do and decorative patterns is one of ancient Koguryo tomb's original character distinguished from ancient China tomb'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도 대형 적석총과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하여 고구려 왕릉급 혹은 지배층의 무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집안일대 대형 적석총에 대하여 기존 보고서들을 ...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도 대형 적석총과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하여 고구려 왕릉급 혹은 지배층의 무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집안일대 대형 적석총에 대하여 기존 보고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고구려 왕릉급 대형 적석총의 형식과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구려 왕릉 비정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인 측면이 강하다. 고구려 적석총은 전반적으로 무기단, 계장, 기단, 계단의 4가지 외형과 매장부가 석곽, 석광, 광실, 석실의 4가지 매장부 형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고구려 적석총은 이들 형식의 조합에 의해 변화·발전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발전의 양상을 감안하고서 집안 일대의 대형 적석총을 살펴보면, 30미터 이상의 왕릉급 대형적석총의 외부형식은 계장과 계단의 2가지 형태만 나타난다. 이것은 계장식과 기단식이 혼합된 계단적석총으로의 이행이 비교적 급속도로 이루어졌고, 대형 적석총은 왕릉급의 위상에 맞는 높이를 고려하여 계장식이나 계단식으로만 축조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집안 일대 왕릉급의 대형 적석총은 형식 분류와 함께 생각해보면 계장석광 혹은 계장석곽적석총에서 계단광실적석총으로 발전해서 최종적으로는 계단석실적석총으로 가장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집안일대 대형적석총의 편년은 대체로 계장석광 혹은 계장석곽적석총이 2세기 중반 - 3세기 전반, 계단광실적석총이 3세기 중반 - 4세기 전반까지 존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가운데 횡혈식의 계단석실적석총은 4세기 중반 - 5세기 전반에 주로 존재하며, 고구려 적석총 가운데 가장 완성된 형식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세기 중반 이후에 등장하는 각변 30미터 이상의 대형 적석총들은 국왕 중심의 강력한 왕권의 등장이라는 측면과 연결되는데, 이미 고구려에서는 적어도 2세기 중반경에 국왕 중심의 강력한 지배체제가 확립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계단적석총이 등장하는 3세기 중반에 고구려는 더욱 성장하여 4세기 이후 독자적인 천하관을 표방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과 함께 고구려의 대형 적석총도 고구려 왕권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 대형 적석총의 축조에 있어 壽陵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아울러 고구려 왕릉에 대한 위치비정 문제를 논의를 『三國史記』,『三國遺事』, 일본측 사료, 금석문 등의 기록에서 먼저 검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고구려 왕의 장지명이 『三國史記』 등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의 기록과 큰 차이가 있는 경우는 왕릉 비정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록을 통해 검토한 결과 고구려의 國壤, 故國原, 國岡上 지역은 같은 지역을 이르는 명칭이며, 이곳은 국내성 일대의 한정된 평야지대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관점에서 고구려 집안지역의 하천에 관해서 기존설을 비판하고 國川을 압록강으로, 西川을 통구하로, 東川은 태왕향 앞을 흐르는 소하천으로, 中川을 우산하에서 국내성 남벽을 따라 흘러가는 하천으로, 美川을 마선구하로 비정하였다. 따라서 고구려 신대왕 이후 많은 왕들의 무덤은 대부분 國壤, 故國原, 國岡上 등으로 표현된 국내성일대의 평야지대 즉 대체로 우산하 고분군이나 칠성산 고분군, 산성하 고분군 인근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로선 고구려 대형 적석총의 발전단계와 왕의 장지를 연결시켜 보면 다음과 같이 비정이 가능할 듯하다. 즉 신대왕릉은 산성하전창 36호분 혹은 전창 145호분(2세기 후반), 고국천왕릉은 우산하 2111호묘(2세기말), 산상왕릉은 칠성산 871호분(3세기 전반), 동천왕릉은 현재로선 비정이 어렵다. 중천왕릉은 우산하 2110호분(3세기 후반), 서천왕릉으로 칠성산 0211호분(3세기말), 봉상왕릉으로 임강묘(3세기말-4세기 전반경), 미천왕의 초장릉은 서대묘(4세기 전반)로, 개장릉은 마선구 2100호분(4세기 중반), 고국원왕릉으로 우산하 0540호분(4세기 후반), 소수림왕릉으로 천추총(4세기 후반), 고국양왕릉으로 태왕릉(4세기 후반), 광개토왕릉으로 장군총(5세기 전반)으로 비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고구려 벽화고분은 국내에서는 107기로 정리되어 왔는데, 연구사적 검토를 통해 살펴본 결과 집안지역 36기, 환인지역 1기, 무순지역 1기로 중국지역내에 존재하는 벽화고분의 수는 38기로 파악된다. 그리고 북한지역의 벽화고분의 수는 그동안 76기로 정리되어 왔는데, 4기의 벽화고분을 더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순천지역의 검산동 고분, 평양의 진파리 고분군내의 쌍실무덤(16호분), 진파리 7호분, 傳단군릉이 이에 해당된다. 이렇게 보면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은 중국지역 38기, 북한지역 80기 등 총 118기에 이른다.
      고구려 석실봉토벽화고분 가운데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묘실구조에 따라 형식 분류를 시도하였고, 미술사적 측면에서 벽화내용을 통해 형식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두 가지의 형식 분류를 종합하여 보면 고구려 벽화고분은 크게는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Ⅰ-Ⅰ),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Ⅰ-Ⅱ),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Ⅰ-Ⅲ), 다실분이면서 사신도(Ⅰ-Ⅵ),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Ⅱ-Ⅰ),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Ⅱ-Ⅱ),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Ⅱ-Ⅲ),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Ⅲ-Ⅰ),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Ⅲ-Ⅲ),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Ⅲ-Ⅳ),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와 사신도(Ⅲ-Ⅴ), 단실분이면서 사신도(Ⅲ-Ⅵ), 특수형의 동혈다실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Ⅳ-Ⅰ), 이혈 석실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Ⅳ-Ⅱ)의 유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선후관계는 큰 흐름상에서 보면 (Ⅰ-Ⅰ) · (Ⅲ-Ⅰ) ->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 (Ⅰ-Ⅵ) · (Ⅱ-Ⅱ) -> (Ⅲ-Ⅲ) · (Ⅲ-Ⅳ) -> (Ⅲ-Ⅴ) · (Ⅲ-Ⅵ) 순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형식 분류를 통해 본 벽화고분의 변화와 발전을 감안하면 벽화고분은 편년은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겠다. (Ⅰ-Ⅰ) 유형은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고분으로 안악 3호분이 절대연대인 357년경의 고분을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시기인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후반경까지 주로 유행한 고분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Ⅲ-Ⅰ)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고분도 비슷한 시기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Ⅰ-Ⅱ) · (Ⅰ-Ⅲ) · (Ⅱ-Ⅰ) · (Ⅱ-Ⅲ) 유형은 408년경으로 절대연대가 확보되는 덕흥리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다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같이 그려진 고분과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가 주로 그려지는 고분들이다. 대체로 5세기 전반에서 중반 경까지에 해당된다. (Ⅰ-Ⅵ) · (Ⅱ-Ⅱ) 유형은 다실분이면서 사신도,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이나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장식무늬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벽화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중반경에서 후반경의 고분으로 보인다. (Ⅲ-Ⅲ) · (Ⅲ-Ⅳ) 유형은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와 사신도가 같이 그려진 고분과 퇴형형 감실을 가진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가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중반에서 6세기 전반경의 고분으로 이해된다. (Ⅲ-Ⅴ) · (Ⅲ-Ⅵ) 유형의 고분은 단실분이면서 장식무늬도와 사신도가 함께 그려진 고분과 단실분이면서 사신도가 그려진 고분들이다. 이들 고분들은 대체로 5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경까지의 고분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적석총 가운데에 벽화가 있는 7기의 고분에서도 석실봉토분의 묘실구조를 통해 볼 때 Ⅲ-A식과 Ⅲ-B식, 그리고 Ⅱ-B식 3가지 형식이 나타난다. Ⅲ-A식은 산성하 725호묘, 산성하 798호분, 우산하 3319호묘 Ⅲ-B식은 산성하 절천정묘, 우산하 1041호묘, 산성하 1405호묘, Ⅱ-B식은 산성하 1408호묘이다. 이들 적석총의 벽화는 산성하 절천정묘, 우산하 1041호묘, 우산하 3319호묘는 벽화가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머지 4기의 고분 역시 인물 및 생활풍속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 적석총은 전체적으로 이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유형과 단실분이면서 인물 및 생활풍속도인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우산하 3319호분이 357년경에 축조된 것으로 짐작되기 때문에 편년의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우산하 3319호분은 계단전실적석총이라는 특이한 형태의 고분이다. 그러나, 이 고분은 동진계 청자의 출토 등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국 문화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산성하 798호분이나 산성하 725호분은 연도부에 일종의 감실을 갖춘 계단석실적석총의 형태로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의 고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계단석실적석총의 등장이 4세기 후반에나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5세기 전반경으로 적석총으로 볼 수 있다. 우산하 1041호분과 산성하 1405호분, 산성하 1408호분은 계단형으로 단실을 갖춘 형태로 모두 5세기 중반경에 축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 벽화고분에서 도면의 확보가 가능하고 벽화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분을 대상으로 본문에서 표로 제시한 바와 같이 고구려 벽화고분에 대한 필자의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벽화고분의 피장자 비정을 위하여 우선 묘지명이 남아있는 안악 3호분, 덕흥리고분을 실견하여 판독문을 제시하였고, 모두루총에 대한 기존 판독문을 정리하였다. 그동안 피장자 문제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던 안악 3호분은 동수묘라는 입장에서 묘지로 파악되는 묵서와 ‘聖上幡’ 사이의 역사적 괴리를 설명해 보고자하였다. 이에 따라 안악 3호분의 묘지묵서에 나타난 관직이 허구적이다는 견해를 따라 대행렬도와 성상번의 묵서도 허구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대행렬도와 ‘聖上幡’이라는 묵서는 생전 생활이 내세에 그대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점에서 그려진 것이 아니고 내세에서 생전보다 더 나은 삶은 바라는 염원이 담겨져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고구려 벽화고분 가운데 계세사상을 표현한 것 이외에도 내세에서의 보다 나은 삶에 대한 소망을 담은 벽화고분들은 王자도안이 새겨진 벽화고분이나 황룡이 그려진 벽화고분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고구려 벽화고분도 왕릉에 해당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三國遺事』, 일본측 사료 등의 기록에서 먼저 검증하고자 노력하였다. 고구려 왕의 장지명이 『三國史記』 등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三國史記』의 기록과 큰 차이가 있는 경우는 왕릉 비정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양천도 이후인 장수왕부터 시작되는 고구려 왕호도 대체로 葬地名 왕호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양일대에 산재한 고구려 고분 가운데에서는 위계적으로 볼 때 대형 벽화고분이 왕릉일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하여 문헌기록을 살펴보았는데, 장수왕릉은 평양지역에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고 구체적으로는 傳동명왕릉이 아닐까 생각된다. 동명왕릉 지구내 진파리 고분군도 고구려 왕릉의 축조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진파리 1호분, 4호분 안장왕, 문자명왕의 무덤으로 이해하였다.
      『삼국사기』를 통해 볼 때 안원왕대부터 몇 왕은 장지명 왕호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안원왕대부터 왕릉 조영지가 각기 다른 개별지역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평양 일대의 대형 석실봉토분 가운데 6세기 이후로 편년되는 벽화고분이 왕릉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현재까지 확인되는 평양일대 6세기 이후의 벽화고분으로는 개마총, 내리 1호분, 진파리 1호분, 진파리 4호분, 진파리 7호분, 호남리 사신총, 강서대묘, 강서중묘 등이 확인된다. 아마 이들 가운데에서 일부가 왕릉으로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호남리 사신총을 안원왕의 무덤으로 추정하였고, 그동안 왕릉으로 거론되어 온 강서대묘, 강서중묘 등 모두를 왕릉으로 비정하는 것은 어려울 듯 하며, 강서대묘만을 평원왕릉으로 비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고구려 왕릉 축조에 있어 수릉과 귀장은 현재로선 인정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고구려 고분의 축조와 제의 행위를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고구려 적석총 단계의 능역 혹은 묘역 내에서 파악되는 墓上建築, 祭臺, 陪冢과 함께 樹木, 副葬品, 壁畵, 守墓 등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기록의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상장의례는 사람이 죽은 직후부터 本葬까지의 殯斂儀禮, 묘소에서의 葬送儀禮, 매장이 끝난 이후의 墓前儀禮라는 3단계로 나누거나 여기에 追善儀禮가 추가되기도 한다. 적석총 묘상건축은 영혼이 머무르는 상징적인 寢殿으로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祭臺는 현재로선 유구의 성격이 불명확하긴 하지만 墓前儀禮와 관련하여 임시적으로 축조한 제의관련 시설물 정도로 생각된다. 陪冢의 경우도 그 성격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고구려인의 사후 신앙과 제의와 관련하여 주목할 수 있는 시설물임은 부정할 수 없을 듯하다. 한편 고구려 적석총 단계의 문헌에서 확인되는 묘역내의 樹木은 神木신앙과 관련되고 厚葬의 한 요소로 파악된다. 아울러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되는 守墓制도 후손에 의한 직접적인 시묘살이는 아니겠으나, 능묘를 보호하고 관리한다는 측면에서는 追善儀禮의 일종으로 생각해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구려의 적석총에서 확인되는 부장품도 제의와 관련한 중요한 산물이다. 특히 다량의 기와나 명문와당, 방울, 전돌 등에도 제의나 사후세계와 관련된 신앙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고구려에서도 부장품의 의도적인 훼기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아울러 그동안 석실봉토분의 장의미술로 주목을 받아왔던 벽화도 적석총에서 7기의 벽화고분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소홀히 할 수 없을 듯하다. 적석총의 벽화도 주로 인물 및 생활풍속도 계열의 벽화로 繼世思想과 연결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구려 적석총에서는 주로 외형적인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축조한 묘제였던 만큼 그 제의의 일면도 대체로 외부에 주로 표현되었다고 생각된다. 대형 적석총 가운데 묘상건축, 제대, 배총, 수목, 수묘인 등을 모두 갖춘 무덤은 대체로 대형 적석총으로 왕릉급 무덤에 해당될 것이다.
      석실봉토분 단계에서의 신앙과 제의 양상을 묘지명, 벽화와 함께 특히 고분 내부 구조에 나타나는 시설물을 주목해보았다. 이를 통해 석실봉토분도 물론 대형 분구의 축조라는 외형적인 측면과 함께 주로 내부에 고구려인의 신앙이나 제의의 일면이 표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덤의 내부 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감실, 석상, 관대, 석주, 휘장 구멍, 迎門石 등의 내부 시설물과 명문이나 벽화에 나타난 여러 정황들은 고구려 석실봉토분 단계의 신앙과 제의를 담아내고 있다. 따라서 석실봉토분에서 외부 시설물이 잘 확인되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점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이처럼 고구려 고분에는 적석총과 석실봉토분 단계에서 위와 같이 각각 다른 양상으로 제의 양상이 발견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양상은 무덤의 형식의 변화와 고구려의 신앙이나 정신세계의 변화와 함께 수반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고분이나 벽화를 통해 이러한 고구려인의 신앙과 관념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보면 고구려의 고분 양식은 적석총에서 봉토분으로의 변화되었다. 2세기 중반부터 각변 30미터 이상의 큰 규모의 적석총이 등장하여 5세기 전반경까지 고구려의 왕릉 혹은 상위 신분층의 무덤이 되었다. 중국의 영향으로 4세기경부터 점차 많이 등장하는 석실봉토벽화분은 5세기 이후가 되면 적석총을 대신하여 고구려 왕릉 혹은 상위 신분층의 무덤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고구려 최상위 신분의 무덤이 출현하는 2세기 중반은 고구려 왕권의 성격을 보여주는 단서가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적석총에서 석실봉토벽화분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은 4세기이므로, 4세기를 고구려 고분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흐름이 특히 평양천도를 전후한 시점에서 왕릉이 대형 적석총에서 석실봉토벽화분으로 채택된다. 이것은 적석총에서도 대형 석실을 갖춘 무덤들이 발전하면서 평양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재래의 석실봉토분과 적석총이 어느 정도 결합되는 양상이 방단봉토석실분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으며, 이후 적석총을 대신하여 왕릉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한편 고구려 고분에 나타난 제의 양상을 통해서 고구려 지배층이 가지고 있던 내세관이나 상장의례의 구체적 모습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적어도 왕릉에서 확인되는 묘역시설이나 능원제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고, 벽화고분 단계에서 주로 내부적인 시설들을 통해 피장자의 위상이 드러나고 있음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들 고구려를 대표하는 적석총과 석실봉토벽화분에는 고구려의 정체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 돌로 무덤을 만든 적석총이나, 사신이나 장식도안이 중심이 되는 벽화분은 중국과는 구별되는 고구려 고분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 論 1
      • 1. 硏究史 1
      • 2. 硏究目的 및 方法 6
      • Ⅱ. 高句麗의 大型 積石塚 12
      • Ⅰ. 序 論 1
      • 1. 硏究史 1
      • 2. 硏究目的 및 方法 6
      • Ⅱ. 高句麗의 大型 積石塚 12
      • 1. 대형 적석총의 型式과 編年 12
      • 1) 분포현황 13
      • 2) 형식 21
      • 3) 편년 33
      • 2. 대형 적석총의 被葬者 45
      • 1) 기존 연구와 몇 가지 문제 45
      • 2) 고구려 王號와 葬地 53
      • 3) 피장자 추정 61
      • Ⅲ. 高句麗의 壁畵古墳 71
      • 1. 벽화고분의 型式과 編年 72
      • 1) 조사와 분포현황 72
      • 2) 형식 84
      • 3) 편년 109
      • 2. 벽화고분의 被葬者 141
      • 1) 銘文의 판독과 연구사적 검토 141
      • 2) 피장자 추정 173
      • Ⅳ. 高句麗 古墳을 통해 본 信仰과 祭儀 186
      • 1. 大型 積石塚 단계의 祭儀 양상 186
      • 1) ‘墓上建築’에 대한 검토 187
      • 2) ‘祭臺’에 대한 검토 194
      • 3) ‘陪冢’ 및 樹木·守墓에 대한 검토 201
      • 4) 出土遺物 및 壁畵에 대한 검토 209
      • 2. 壁畵古墳 단계의 信仰과 祭儀 양상 215
      • 1) 銘文에 대한 검토 216
      • 2) 壁畵에 대한 검토 223
      • 3) 內·外部 構造에 대한 검토 241
      • Ⅴ. 結 論 250
      • 參考文獻 259
      • Absrtact 2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