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24년 3월 27일부터 4월 2일까지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린 연구자의 석사학위 청구전인〈희희 녹록(鹿鹿)〉전에 전시된 작품을 중심으로 장생도의 조형적 변용과 표현이라는 주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77784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 민화학과 , 2024. 8
2024
한국어
653.35 판사항(6)
서울
A study on the formative transformation and expression of Jangsaengdo :focused on the researcher's artworks
vi, 92 p. : 천연색삽화 ; 26cm
동덕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송창수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 p. 89-89
I804:11021-0000001077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2024년 3월 27일부터 4월 2일까지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린 연구자의 석사학위 청구전인〈희희 녹록(鹿鹿)〉전에 전시된 작품을 중심으로 장생도의 조형적 변용과 표현이라는 주제...
이 논문은 2024년 3월 27일부터 4월 2일까지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린 연구자의 석사학위 청구전인〈희희 녹록(鹿鹿)〉전에 전시된 작품을 중심으로 장생도의 조형적 변용과 표현이라는 주제로 연구한 결과물이다. 장생도는 오랜 생명력과 상서로운 기운을 지닌 자연이나 동식물을 주제로 한 그림으로 조선 후기에 크게 부상하였다. 또한 장생도에는 모든 이들이 꿈꾸는 이상향과 낙원의 세계를 시각화한 부분도 포함되어 있어 주제가 포괄하는 범위는 매우 넓은 편이다.
현대인들이 희구하는 장수와 건강이라는 염원이 담긴 장생도는 한국 민화를 대표하는 장르이다. 오랜 세월에 걸쳐 형성된 한국인의 정서와 미감을 표현한 한국 전통미술이 이끌어 온 자생적인 한국 미술의 분야이기도 하다.
본 연구자는 전통 민화의 주요 주제인 장생도를 재해석하여 바쁘게 살아가는 현실 속에서 현대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상향의 공간이라 할 낙원을 형상화하고자 했다. 장생의 모티프는 현대적인 형상으로 단순화했으며, 장생도에 등장하고 있는 대부분의 소재들은 연구자가 상상력을 통해 형상화한 도상들이다. 그 형상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작품과 전혀 다른 표현 방식과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본 연구자가 새롭게 제시하는 현대 장생도의 표현 방식이다.
먼저 본 논문에서는 장생도의 유래와 전개를 통해 도상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장생도에 나타난 장생물과 색상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또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장생의 소재들을 다룬 근대와 현대 작가들의 작품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조선시대 십장생도와 장생도에 속하는 작품들을 모사와 방작을 통해 접함으로써 조형적 변용을 색채, 형태, 공간구성, 표현 방법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통적인 미의식을 작업으로 연계하여 장생도의 조형적인 특징들을 확장하였다. 이에 장생도 작품의 조형적 특징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유형은 장생도, 희희낙락, 동행, 판타지 시리즈로 작품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장생도 도상의 표현 방법에 따른 제작 배경과 화면구성 그리고 작품에 나타나는 표현에 관한 특징들을 객관적인 분석을 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자는 창작에 있어 장생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동물과 자연물이 함께 만들어 낸 이상향의 공간을 나타내고자 했다. 그리고 사슴이라는 구체적인 소재를 등장시켜 유희적인 표현을 통해 관객들의 시선을 유도하고자 했다. 또한 사슴이 뛰어노는 낙원이라는 공간을 경쾌하게 만들어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이 감상자들에게 끝없이 확장되는 의미 있는 공간이 되도록 고찰하였다. 이러한 장생도의 모티브를 단순화하거나 공간의 구성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현대적인 기법인 오브제를 이용한 설치 작업으로도 연계하여 본 연구자가 의도하는 낙원을 다양한 형상으로 화면에 담았다.
본 논문에서는 창작 민화를 통해 연구자가 원하는 현실 속 이상향의 낙원이자 현대 사회가 요구한 장생도의 의미를 찾고, 시각적인 공간을 제시하여 많은 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조형 세계를 제시하고자 했다. 나아가 우리 전통 민화의 소중함을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켜 새로운 형식의 현대적 장생도를 구현하고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results on the theme of stylistic adaptation and expression of Jang Saeng-do(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centered around the artworks exhibited during the researcher's master's degree presentation exhibition titled "H...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results on the theme of stylistic adaptation and expression of Jang Saeng-do(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centered around the artworks exhibited during the researcher's master's degree presentation exhibition titled "Hee Hee Nok Rok" held at Dongduk Art Gallery from March 27 to April 2, 2024. Jang Saeng-do gained prominence in the late Joseon period for its paintings depicting nature and wildlife with enduring vitality and auspicious energy. It works also encompass visualizations of utopian and paradise-like worlds, making the scope of its themes very broad.
Jang Saeng-do, a genre representing Korean folk painting, encapsulates the desires for longevity and health cherished by contemporary individuals. It also represents the independent field of Korean art that expresses the emotions and aesthetics formed over many centuries by Koreans.
The researcher aimed to visualize an idealized paradise, empathetic to modern people amidst their busy lives, by reinterpreting Jang Saeng-do's major theme of traditional folk painting. Most icons reimagined through the researcher's imagination, offering a new expression and meaning distinct from traditional works, motifs from Jang Saeng-do were also simplified into contemporary form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Jang Saeng-do and the symbolic meanings of creatures and colors depicted in its works. It also reviews the diverse and innovative approach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in handling longevity symbols, analyzing stylistic adaptations through color, form, composition, and expression methods. Through this process, traditional aesthetic was integrated into the works, expanding the styles of Jang Saeng-do.
The paper categorizes and examines the stylistic features of Jang Saeng-do's works by them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works: Jang Saeng-do, Hee Hee Nak Nak, Donghaeng, and Fantasy Series, objectively analyzing the production background, screen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representation of longevity symbolic icons.
The researcher aimed to depict an idealized concept of paradise, borrowing imagery from traditional longevity symbols where animals and natural materials coexist. Particularly the researcher featured deers, aiming to captivate the audience's attention through playful expressions by creating a vibrant depiction of the paradise where deer leap, expanding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endlessly for viewers.
This paper involved the reinterpretation of motifs of longevity symbols and the reinterpret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s, linking them with contemporary installation techniques using objets d'art, thus presenting the paradise envisioned by the researcher in various forms.
Through creative folk painting, the researcher sought to explore the meaning of Jang Saeng-do demanded by contemporary society and to present a sculptural worl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udiences visually. Furthermore, it is aimed to understand and inherit the preciousness of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new form of contemporary Jang Saeng-do.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