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생론적 미학이란 무엇인가? = What is an generative aesthetic on Dilthey, Husserl and German id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7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aesthetic judgments are embodied in a generative form of world awareness and self-consciousness practice. First, the term ‘aesthetic' is closely related to‘self-consciousness' or subjective. In particul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aesthetic judgments are embodied in a generative form of world awareness and self-consciousness practice. First, the term ‘aesthetic' is closely related to‘self-consciousness' or subjective. In particular, Kant has been entirely subjective and individual in the explanation of the aesthetic judgment of objects, such as the feeling of pleasure or discomfort. On the other side, they sometimes ask for universal opposition to these personal taste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other words, we can explain why we have feelings of discomfort or discomfort by talking with others. Also, even if such experiences are perceived as subjective in a particular desire, empathy will also be needed to convey universal emotions that are not limited to only one sensory experience.
      In order to elabo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aesthetic sense and self-consciousnes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volutionary process such as Schiller's explanation of the validity of the universality of subjective judgment and the subsequent hermeneutic analysis of Dilthey. For Dilthey, experience in art is understood not simply as a foundation for artistic creation, but as a concep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individual experience of life through the eyes of the artist is elevated to the level of realism through the grasp of its' significance ', which is connected to the experiences of other individuals' lives in the work, and thus extends to the whole world experience. It will have a persona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at not only German ideology but also Dilthey's hermeneutics and Husserl's phenomenology include the generative thinking of the world-aware for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미적인 판단력이 어떻게 세계인식과 자의식의 실천이라는 발생론적 형식을 담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우선 ‘미적’이라는 용어는 ‘자의식’ 또는 주관적인 것과 밀접...

      본고의 목적은 미적인 판단력이 어떻게 세계인식과 자의식의 실천이라는 발생론적 형식을 담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우선 ‘미적’이라는 용어는 ‘자의식’ 또는 주관적인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칸트가 행하는 쾌나 불쾌의 느낌과 같은 대상의 미적 판단 설명에서는 전적으로 주관적이고 개체적인 영역으로 머물고 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는 이런 만족과 불만족에 대한 언제나 개인적인 취향에 대립되는 보편적인 것을 요청하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왜 우리가 쾌나 불쾌의 감정을 가지는가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과 얘기하며 그 경험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그런 경험들이 비록 특정한 욕구에 있어서의 주관적으로 여겨진다고 해도, 단지 한 개체의 감각경험에만 한정되지 않는 보편적 감정을 전달하고자 하는 공감 역시 필요할 것이다.
      이런 미적 감각과 자의식의 관계를 상세히 논하기 위해서는 주관적인 판단의 보편성의 유효성 근거에 대한 실러의 설명과 그 후로 이어진 딜타이의 해석학과 같은 전개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딜타이에게 있어서는 예술에서 체험이란 단순히 예술적 창조물을 형성하는 토대만이 아니라, 역사적인 의식개념으로 이해된다. 예술가의 눈을 통한 삶의 개별 체험은 그 ‘의미성’의 파악을 통해 사실성이라는 차원으로 고양되며, 이는 작품 속에서 다른 개인들의 삶의 체험들과 연결되기에, 세계경험 전체로 확장하는 발생론적 성격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독일관념론 뿐만 아니라, 딜타이의 해석학, 후설의 현상학이 어떻게 세계인식 형식이라는 발생론적 사고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데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드문트 후설, "형식논리학과 선험논리학" 한길사 2019

      2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적 심리학" 한길사 2013

      3 니클라스 루만, "예술체계이론" 한길사 2014

      4 Schleiermacher, Friedrich Daniel Ernst, "Ästhetik (1819/25). Über den Begriff der Kunst (1831/32)" 1984

      5 Bürger. P., "Zur Kritik der idealistischen Ästhetik" 1983

      6 Hegel, G.W.F., "Wissenschaft der Logik" 1986

      7 Hans-Ulrich Lessing, "Wilhelm Dilthey, Texte zur Kritik der histirischen Vernunft"

      8 Mezzanyanica, M., "Von Dilthey zu Levinas" 2012

      9 Schick, F., "Vermittlung zwischen Natur und Freiheit – der Naturtrieb, in § 8 der Sittenlehre, in: Fichtes System der Sittenlehre, Ein Kooperativer Kommentar" 2015

      10 Honnefelder, L., "Sittliche Lebensform und praktische Vernunft" 1992

      1 에드문트 후설, "형식논리학과 선험논리학" 한길사 2019

      2 에드문트 후설, "현상학적 심리학" 한길사 2013

      3 니클라스 루만, "예술체계이론" 한길사 2014

      4 Schleiermacher, Friedrich Daniel Ernst, "Ästhetik (1819/25). Über den Begriff der Kunst (1831/32)" 1984

      5 Bürger. P., "Zur Kritik der idealistischen Ästhetik" 1983

      6 Hegel, G.W.F., "Wissenschaft der Logik" 1986

      7 Hans-Ulrich Lessing, "Wilhelm Dilthey, Texte zur Kritik der histirischen Vernunft"

      8 Mezzanyanica, M., "Von Dilthey zu Levinas" 2012

      9 Schick, F., "Vermittlung zwischen Natur und Freiheit – der Naturtrieb, in § 8 der Sittenlehre, in: Fichtes System der Sittenlehre, Ein Kooperativer Kommentar" 2015

      10 Honnefelder, L., "Sittliche Lebensform und praktische Vernunft" 1992

      11 Luhmann, Niklas, "Schriften zu Kunst und Literatur" 2008

      12 Unger, D., "Schlechte Unendlichkeit, Zu einer Schlüsselfigur und ihrer Kritik in der Philosophie des Deutschen Idealismus" 2015

      13 Rüttenauer, Albab, "Schelling und die Bibel, Philosophie und Exgese im Gespräch" 2015

      14 Geboers, T., "Rückkehr zur Erde, Grundriss „einer Ökologie der Geschichte “ im Ausgang von Schelling, Nietzsche und Heidegger" 2012

      15 Gadamer: H.-G., "Rhetorik, Hermeneutik und Ideologiekritik, Metakritische Erörterungen zu „Wahrheit und Methode “"

      16 Gander, Hans-Helmuth, "Positivismus als Metaphysik, Voraussetzungen und Grundstrukturen von Diltheys Grundlegungder Geisteswissenschaften" 1987

      17 Hegel, G.W.F., "Phänomenologie des Geistes" 1988

      18 Szilasi W., "Philosophie und Naturwissenschaft" 52-59, 1961

      19 Kant, Immanuel, "Kritik der reinen Vernunft" Meiner Verlag 1998

      20 Kant, Immanuel, "Kritik der Urteilskragt" Meiner Verlag 1998

      21 Cohen, Hermann, "Kants Begründung der Ästhetik" 1889

      22 Freud, "Jenseits des Lustprinzips" 44-, 1920

      23 Ghasernpour, M., "Die Theorie des ästhetischen Scheins bei Schiller und Hegel" 1994

      24 Batz, Michael, "Der Rhythmus des Lebens, Zur Rolle der Musik im Werk Wilhelm Diltheys" 2011

      25 Dilthey, Gesammelte Schriften, "Bd. I-XXIV" 1972

      26 Schelling, Friedrich W. J., "Ausgewählte Werke"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철학과 현상학 연구 -> 현상학과 현대철학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4 1.30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