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차시 식생활 교육이 중학생의 식행동과 영양지식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16-Class Nutrition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Knowled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33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et of 16 nutrition education lessons on the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target was a group of 128 boy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 Changwon, 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et of 16 nutrition education lessons on the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target was a group of 128 boy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 Changwon, who took the classes from the 29th of August, 2011, to the 17th of February, 2012. The education was performed for 16 weeks using the e-learning textbook, 'Health and nutrition of youth', and a teacher's guidebook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tudents demonstra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knowledge about nutrition and in their dietary behavior due to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he effects were observed to be maintained for one year after education. The average nutrition knowledge score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1 year after th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3.0 before the education to 18.8 after education (p<0.001), maintaining the score of 18.5 1 year later. The eating-related questions of 'I will practice healthy eating habits in life' and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to build healthy eating habits', were given a high score by the students at the last survey conducted one year later. Of course,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dietary behavior of students through dietary education in schools.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uch educatcan is necessary since the habits can indeed be changed, as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은실, "초등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연관교과 내 식생활교육의 효과판정 -식습관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795-804, 2005

      2 이영미, "초등학생 Na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사전, 사후, 추후 검증을 통한 교육효과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603-613, 2010

      3 이영민,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통한 영양교육 효과 - 4, 5, 6학년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 개선을 중심으로 -" 대한영양사협회 11 (11): 331-340, 2005

      4 안윤,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266-276, 2009

      5 박희정,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양표시 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6 (16): 226-238, 2010

      6 이보숙, "초, 중, 고 학생의 아침식사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1 (11): 25-38, 2006

      7 김기남, "청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량에 대한 영양소 밀도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271-280, 2005

      8 정영호, "청소년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195-219, 2010

      9 양일선, "중·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한국영양학회 37 (37): 576-584, 2004

      10 승정자, "일부 남녀 중학생의 건강 관련 임상증상에 따른 식습관과 체형관심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202-208, 2005

      1 허은실, "초등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연관교과 내 식생활교육의 효과판정 -식습관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795-804, 2005

      2 이영미, "초등학생 Na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사전, 사후, 추후 검증을 통한 교육효과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5 (15): 603-613, 2010

      3 이영민, "초등학교 재량활동을 통한 영양교육 효과 - 4, 5, 6학년 영양지식과 식생활습관 개선을 중심으로 -" 대한영양사협회 11 (11): 331-340, 2005

      4 안윤,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266-276, 2009

      5 박희정,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양표시 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6 (16): 226-238, 2010

      6 이보숙, "초, 중, 고 학생의 아침식사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1 (11): 25-38, 2006

      7 김기남, "청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량에 대한 영양소 밀도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271-280, 2005

      8 정영호, "청소년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195-219, 2010

      9 양일선, "중·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한국영양학회 37 (37): 576-584, 2004

      10 승정자, "일부 남녀 중학생의 건강 관련 임상증상에 따른 식습관과 체형관심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202-208, 2005

      11 이정숙, "부산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체형 인식도, 식생활 태도, 식이 자기 효능감 및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295-301, 2003

      12 문현경, "대도시 일부 초등학교 5학년의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4 (14): 259-275, 2008

      13 Choi JY,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 weight status,and body shape perception in Korean adolescents: Korea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05 to 2007" Inje Univ 2011

      14 Harter S,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53 : 87-97, 1982

      15 Song HJ, "The effects of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on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knowledge by high schoolstudents in Jeonju area" Chonbuk NationalUniv 2009

      16 Park HN, "The effectiveness of sugar, Na education programin elementary school - six month follow-up study" Kyungwon Univ 2011

      17 Lee YJ, "The analysis of effects an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6 : 86-96, 2000

      18 Jang SH, "Studies on snack food consumption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and motherly awareness for itsactual condition" Chonnam Univ 2005

      19 Gual P, "Self-esteem, personality, and eating disorder : baseline assessment of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cohort" 31 : 261-273, 2002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utrition and health ofadolescents - middle school teachers' guidebook"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utrition and health ofadolescents - middle school students' textbook"

      22 "Korean Statistical Office"

      2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Ⅴ-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Ministry of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and Prevention 2012

      2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Ⅴ-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Ministry of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and Prevention 2011

      25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Ⅳ-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6 Erikson EH, "Identity: Youth and Crisis" WW Norton & Company 50-, 1968

      27 Won HS, "Guidelines of body mass indexin Korean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and relationshipwith physical strength" 33 : 279-288, 2000

      28 Kim JY, "Eating habits in relation with skipping breakfast and preferences in breakfast menu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24 : 61-75, 2009

      29 Jeong SY,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sfor adolescents healthy diet" MyongJi Univ 65-66, 2013

      30 Jeong JH, "A survey of dietary behavior and fastfood consumption by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39 : 111-124,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