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나키스트 이향의 문학론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3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한국 근대 아나키즘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와 구별되는 아나키즘의 독자성을 규명하는 데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민족주의, 공산주의와 구별되는 아나키즘의 독자성을 구축하는 것 자체가 한국 근대 아나키스트들의 목적이 아니었다면, 더욱 중요한 것은 한국 근대사회라는 구체적인 현장에서 한국의 근대 아나키스트들이 무엇을 하려고 했느냐를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그 과정을 통해서 한국 근대 아나키즘과 한국 근대사회에 대한 생산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 아래에서 또다시 문제가 되는 것은 그동안 아나키즘을 압도해왔던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와 아나키즘간의 상호 대립과 영향관계에 대한 이해이다. 본 연구에서 정열적으로 아나키즘 운동에 투신했던 아나키스트 이향의 문학론을 살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향은 특히 한국 근대 아나키즘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크로포트킨의 사상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깊은 인물이었다. 사실 크로포트킨의 사상에 대한 이해 없이 한국 근대 아나키즘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이야말로 마르크스주의와 근본적인 차원에서 대립되는 아나키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근대사에서 일어난 아나키스트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 간의 갈등은 대체로 대중 획득 경쟁에서 발생한 것이 많았다. 그러나 문학논쟁 과정에서 일어난 갈등은 단순한 대중 획득 경쟁이라기보다는 근본적인 가치관의 충돌이었다. 그 과정에서 아나키스트 문학론자들은 문학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사람들로, 혹은 민족주의자들과 거의 구분이 되지 않는 인물들로 이해되었으며, 심지어는 개량주의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와 같은 평가의 저변에는 크로포트킨주의에 대한 몰이해가 자리 잡고 있다. 그러므로 이향의 아나키즘 예술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향 문학예술론의 핵심은 사회적 모순의 근원이 자본주의에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한 상태에서 현장의 경험을 문학이라는 형식 속에 명확하게 투영한 문학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었다. 경험과 개인의 정서를 중요한 예술적 요소로 규정하는 이향의 태도는 당시 마르크스주의 문학예술론과 배치되는 점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을 명확하게 반영한 것이었다.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은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세계를 구축해보자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근대사회의 발전이 인간 내부에 존재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인간 역사발전의 가장 중요한 추동력이었던 상호부조가 산업화와 근대화라는 이름 아래에서 점차 망각되거나 상실되어 왔다는 점을 말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은 엄밀하게 말해서 인간본성의 회복운동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어떤 정치적인 이념이 인간의 내적 정서나 자발적 주관성을 외면하는 방향에서 전개된다면, 그것은 중앙집권적 전제정치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한 주장이었다. 한국의 근대 아나키스트 문학이론가 이향이 마르크스주의 문학론과 중산층 중심의 민족주의를 비판하는 근거가 바로 여기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때, 이향의 문학론, 나아가 한국 근대 아나키스트들의 문학 사상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번역하기

      그동안 한국 근대 아나키즘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와 구별되는 아나키즘의 독자성을 규명하는 데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민족주의, 공산주의와 구별되는 아나키즘...

      그동안 한국 근대 아나키즘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와 구별되는 아나키즘의 독자성을 규명하는 데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민족주의, 공산주의와 구별되는 아나키즘의 독자성을 구축하는 것 자체가 한국 근대 아나키스트들의 목적이 아니었다면, 더욱 중요한 것은 한국 근대사회라는 구체적인 현장에서 한국의 근대 아나키스트들이 무엇을 하려고 했느냐를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그 과정을 통해서 한국 근대 아나키즘과 한국 근대사회에 대한 생산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 아래에서 또다시 문제가 되는 것은 그동안 아나키즘을 압도해왔던 민족주의, 마르크스주의와 아나키즘간의 상호 대립과 영향관계에 대한 이해이다. 본 연구에서 정열적으로 아나키즘 운동에 투신했던 아나키스트 이향의 문학론을 살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향은 특히 한국 근대 아나키즘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크로포트킨의 사상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깊은 인물이었다. 사실 크로포트킨의 사상에 대한 이해 없이 한국 근대 아나키즘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이야말로 마르크스주의와 근본적인 차원에서 대립되는 아나키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근대사에서 일어난 아나키스트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 간의 갈등은 대체로 대중 획득 경쟁에서 발생한 것이 많았다. 그러나 문학논쟁 과정에서 일어난 갈등은 단순한 대중 획득 경쟁이라기보다는 근본적인 가치관의 충돌이었다. 그 과정에서 아나키스트 문학론자들은 문학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사람들로, 혹은 민족주의자들과 거의 구분이 되지 않는 인물들로 이해되었으며, 심지어는 개량주의자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와 같은 평가의 저변에는 크로포트킨주의에 대한 몰이해가 자리 잡고 있다. 그러므로 이향의 아나키즘 예술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향 문학예술론의 핵심은 사회적 모순의 근원이 자본주의에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한 상태에서 현장의 경험을 문학이라는 형식 속에 명확하게 투영한 문학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었다. 경험과 개인의 정서를 중요한 예술적 요소로 규정하는 이향의 태도는 당시 마르크스주의 문학예술론과 배치되는 점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을 명확하게 반영한 것이었다.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은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세계를 구축해보자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근대사회의 발전이 인간 내부에 존재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인간 역사발전의 가장 중요한 추동력이었던 상호부조가 산업화와 근대화라는 이름 아래에서 점차 망각되거나 상실되어 왔다는 점을 말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은 엄밀하게 말해서 인간본성의 회복운동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어떤 정치적인 이념이 인간의 내적 정서나 자발적 주관성을 외면하는 방향에서 전개된다면, 그것은 중앙집권적 전제정치와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한 주장이었다. 한국의 근대 아나키스트 문학이론가 이향이 마르크스주의 문학론과 중산층 중심의 민족주의를 비판하는 근거가 바로 여기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때, 이향의 문학론, 나아가 한국 근대 아나키스트들의 문학 사상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now, so many researchers who are concerned about Korean modern anarchism made an effort to find a special quality of anarchism. So they discriminated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or nationalism. But, Korean modern anarchists had not a purpose to discriminate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or nationalism. So the study on Korean modern anarchism have to concentrate on Korean modern anarchists’s thought and purpose. And such study needs to comprehension of difference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The reason of study on Lee Hyang’s literary theory is a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anarchism, marxism and nationalism. Lee Hyang could comprehend all Kropotkin’s ideology called mutual aid. It is impossible to comprehend the Lee Hyang’s literary theory without understanding of Kropotkin’s ideology. There is a conflict between Kropotkin’s ideology and Marxism. So the controversy between anarchists and marxists was a fundamental conflict of values. The Lee Hyang’s criticism on marxists’s literary theory was in position of Kropotkin’s ideology. Lee Hyang thought that recognition and experience on a hierarchical society will be positive literary theory. Kropotkin’s ideology was a recovery movement of human nature. And the recovery movement of human nature targeted to recover a internal emotion and voluntarily subjectivity of human nature. So, Kropotkin and Lee Hyang’s ideology rejected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s. It’s a baseless of criticism about literary theory of marxism and nationalism by Lee Hyang. It’s a way to understanding of Lee Hyang’s literary theory and Korean modern anarchists’s ideology of literature.
      번역하기

      Until now, so many researchers who are concerned about Korean modern anarchism made an effort to find a special quality of anarchism. So they discriminated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or nationalism. But, Korean modern anarchists had not a purpose t...

      Until now, so many researchers who are concerned about Korean modern anarchism made an effort to find a special quality of anarchism. So they discriminated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or nationalism. But, Korean modern anarchists had not a purpose to discriminate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or nationalism. So the study on Korean modern anarchism have to concentrate on Korean modern anarchists’s thought and purpose. And such study needs to comprehension of difference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The reason of study on Lee Hyang’s literary theory is a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anarchism, marxism and nationalism. Lee Hyang could comprehend all Kropotkin’s ideology called mutual aid. It is impossible to comprehend the Lee Hyang’s literary theory without understanding of Kropotkin’s ideology. There is a conflict between Kropotkin’s ideology and Marxism. So the controversy between anarchists and marxists was a fundamental conflict of values. The Lee Hyang’s criticism on marxists’s literary theory was in position of Kropotkin’s ideology. Lee Hyang thought that recognition and experience on a hierarchical society will be positive literary theory. Kropotkin’s ideology was a recovery movement of human nature. And the recovery movement of human nature targeted to recover a internal emotion and voluntarily subjectivity of human nature. So, Kropotkin and Lee Hyang’s ideology rejected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s. It’s a baseless of criticism about literary theory of marxism and nationalism by Lee Hyang. It’s a way to understanding of Lee Hyang’s literary theory and Korean modern anarchists’s ideology of liter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한국 근대 아나키즘과 마르크스주의의 대립, 그리고 이향 연구의 의미
      • 2. 이향의 문학론과 마르크스주의 문학론의 근본적 차이와 갈등
      • 3. 이향의 민족문학, 삶의 현장성과 현재성이 담보된 문학을 부르는 이름
      • 4. 결론
      • 국문요약
      • 1. 한국 근대 아나키즘과 마르크스주의의 대립, 그리고 이향 연구의 의미
      • 2. 이향의 문학론과 마르크스주의 문학론의 근본적 차이와 갈등
      • 3. 이향의 민족문학, 삶의 현장성과 현재성이 담보된 문학을 부르는 이름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藝術의 一翼的 任務를 爲하야」, 『조선일보』, 1928.2.10~28"

      2 "「藝術家로서의 크로포트킨」, 『조선일보』, 1928.2.7~12"

      3 "「爭論에 逆立하야-民族文學과 形式問題小考」, 『조선일보』, 1929.10.31~11.9"

      4 "「人生과 機械, 機械와 藝術」, 『동아일보』, 1929.10.28~11.6"

      5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6 조남현, "한국근대문학의 아나키즘 체험"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2 : 1-44, 1991

      7 오장환, "한국 아나키즘 운동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6

      8 구승회, "한국 아나키즘 100년" 이학사 2004

      9 Kropotkin, Pyotr Alekseyevich, "크로포트킨 자서전(Memoirs of a Revolutionist)" 우물이 있는 집 2003

      10 유문선, "총독부 사법 관료의 아나키즘 문학론: 金華山의 삶과 문학 활동" 한국현대문학회 (18) : 291-326, 2005

      1 "「藝術의 一翼的 任務를 爲하야」, 『조선일보』, 1928.2.10~28"

      2 "「藝術家로서의 크로포트킨」, 『조선일보』, 1928.2.7~12"

      3 "「爭論에 逆立하야-民族文學과 形式問題小考」, 『조선일보』, 1929.10.31~11.9"

      4 "「人生과 機械, 機械와 藝術」, 『동아일보』, 1929.10.28~11.6"

      5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6 조남현, "한국근대문학의 아나키즘 체험"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2 : 1-44, 1991

      7 오장환, "한국 아나키즘 운동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6

      8 구승회, "한국 아나키즘 100년" 이학사 2004

      9 Kropotkin, Pyotr Alekseyevich, "크로포트킨 자서전(Memoirs of a Revolutionist)" 우물이 있는 집 2003

      10 유문선, "총독부 사법 관료의 아나키즘 문학론: 金華山의 삶과 문학 활동" 한국현대문학회 (18) : 291-326, 2005

      11 Darwin, Charles, "인간의 유래 1" 한길사 2006

      12 김택호, "아나키즘 문예지 『文藝狂』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17) : 155-182, 2005

      13 김택호, "아나키스트 권구현의 문학론과 소설" 한국현대소설학회 (29) : 183-205, 2006

      14 김택호, "신채호 사상의 일원성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5) : 211-237, 2008

      15 박환, "식민지시대 한인 아나키즘운동사" 선인 2005

      16 Kropotkin, Pyotr Alekseyevich, "만물은 서로 돕는다(Mutual Aid: A Factor of Evolution)" 르네상스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