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혼 청년남녀의 사회갈등인식과 미래사회 위험인식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Conflict Perception and Future Social Risk Perception on Unmarried Young Adult’s Marriage Int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2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혼 청년남녀의 미래사회 위험인식과 사회갈등인식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성별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에 부합하는 비혼 청년 13,268명의 데이터를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비혼 청년은 성별에 따라 결혼의향, 사회갈등인식수준과 미래사회 위험인식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비혼 청년남녀의 사회갈등인식, 미래사회 위험인식과 결혼의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사회갈등인식은 결혼의향이 없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았고 미래사회 위험인식은 결혼의향이 없는 여성에게서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비혼 청년여성은 사회갈등인식만이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고, 청년남성은 사회갈등인식, 미래사회 위험인식 모두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혼 및 출산 관련 정책결정시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미래사회에 대한 신뢰감 향상을 고려한 방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혼 청년남녀의 미래사회 위험인식과 사회갈등인식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성별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자료...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혼 청년남녀의 미래사회 위험인식과 사회갈등인식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성별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에 부합하는 비혼 청년 13,268명의 데이터를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비혼 청년은 성별에 따라 결혼의향, 사회갈등인식수준과 미래사회 위험인식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비혼 청년남녀의 사회갈등인식, 미래사회 위험인식과 결혼의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사회갈등인식은 결혼의향이 없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았고 미래사회 위험인식은 결혼의향이 없는 여성에게서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비혼 청년여성은 사회갈등인식만이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고, 청년남성은 사회갈등인식, 미래사회 위험인식 모두 결혼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혼 및 출산 관련 정책결정시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미래사회에 대한 신뢰감 향상을 고려한 방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erceptions of future societal risks and social conflicts impact the marriage intentions of unmarried young adults,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Methods: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this study analyzed 13,268 unmarried individuals who met specific research criteria.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Results: First, unmarried youth showed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s in marriage intentions,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and perceived risks to future society.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future societal risks, and marriage intentions revealed that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both unmarried young men and women with no marriage intentions. In contrast, perceived societal risks were notably higher only among unmarried young women with no marriage intentions. Third, among unmarried young women,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represented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marriage intentions. whereas for unmarried young men, both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and societal risks significantly impacted their marriage inten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here highlight the need for policy measures targeting youth that aim to reduce social conflicts and build trust in the future societal framework,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policymaking related to marriage and childbirth.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erceptions of future societal risks and social conflicts impact the marriage intentions of unmarried young adults,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Methods: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erceptions of future societal risks and social conflicts impact the marriage intentions of unmarried young adults,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Methods: Utilizing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this study analyzed 13,268 unmarried individuals who met specific research criteria.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Results: First, unmarried youth showed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s in marriage intentions,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and perceived risks to future society.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future societal risks, and marriage intentions revealed that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both unmarried young men and women with no marriage intentions. In contrast, perceived societal risks were notably higher only among unmarried young women with no marriage intentions. Third, among unmarried young women,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represented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marriage intentions. whereas for unmarried young men, both perceptions of social conflicts and societal risks significantly impacted their marriage inten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here highlight the need for policy measures targeting youth that aim to reduce social conflicts and build trust in the future societal framework,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policymaking related to marriage and childbirt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