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공기관 개혁정책에 따라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세무서비스는 일반 국민들에게 매우 복잡하고 이용하기 어려운 서비스로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82266
2013
Korean
세무공무원 ; 직무만족 ; 민원인 ; 지각된 서비스 품질 ; 서비스 만족도 ; tax officer ; job satisfaction ; client ; perceived service quality ; service satisfaction
KCI등재
학술저널
1835-1855(2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부의 공공기관 개혁정책에 따라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세무서비스는 일반 국민들에게 매우 복잡하고 이용하기 어려운 서비스로 인...
정부의 공공기관 개혁정책에 따라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세무서비스는 일반 국민들에게 매우 복잡하고 이용하기 어려운 서비스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무당국은 이러한 국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실질적인 서비스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학계에도 반영되어 서비스 품질에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세무서비스 대리인이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 측정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서비스 품질의 선행요인인 세무공무원의 직무만족 요인을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있다. 내부마케팅 분야에서 직무만족은 서비스 품질 또는 만족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관련된 두 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세무공무원의 직무만족은 민원인이 지각하는 서비스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둘째, 이러한 서비스 품질은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무공무원의 직무만족과 민원인의 서비스 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는 세무공무원의 직무만족이 민원인의 세무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무행정서비스의 품질과 서비스 만족도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는 세무행정대리서비스의 품질이 세무행정서비스에 대한 민원인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government accelerates reformation policy of public institutions, service qualities of public institutions are becoming noticed. Until now, tax services are regarded complex and not easy to use. Tax offices take action to improve these undesira...
As the government accelerates reformation policy of public institutions, service qualities of public institutions are becoming noticed. Until now, tax services are regarded complex and not easy to use. Tax offices take action to improve these undesirable images. There are some studies related with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tax service. These past studies have focused service qualities of tax agents experienced. And existed studies did not consider tax officer"s job satisfaction as antecedent of service quality. Job satisfaction has been regarded an important antecedent in internal marketing field.
Therefore we examine two hypothesis related tax service qualities. First, we propose that tax officer"s job satisfaction will influence client"s perceived service quality positively. Second, we propose client"s perceived service quality will affect service satisfaction positively.
The result of analysis between tax officer"s job satisfaction and client"s service satisfaction has shown that two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ffect the satisfaction of client"s service quality. And, the result of analysis between client"s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ervice satisfaction has shown that all the factors of tax services, such as reliability, procedural convenience, responsiveness, physical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accessibility, affect the satisfaction of cli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심태섭, "세무서의 국세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연구-세무사 사무실 근무자의 경우" 5-30, 2000
2 전태영, "세무서비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 211-235, 1998
3 이정기, "세무서비스 품질이 수용자의 만족과 납세순응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23 (23): 55-77, 2006
4 윤종원, "세무대리서비스의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 불평의도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7 (7): 175-200, 2006
5 노현섭, "세무 및 재무 유효세율의 결정요인: 세무자료를 사용한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2849-2866, 2008
6 김정호, "성실신고확인제도가 납세자와 세무대리인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1443-1461, 2012
7 이학식, "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 77-99, 1999
8 이유재, "서비스마케팅, 제2판" 학현사 1999
9 노현섭, "기업의 장기적인 조세회피와 기업특성 : 장기현금유효세율의 사용"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849-868, 2010
10 Rand McNally,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1297-1350, 1976
1 심태섭, "세무서의 국세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연구-세무사 사무실 근무자의 경우" 5-30, 2000
2 전태영, "세무서비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 211-235, 1998
3 이정기, "세무서비스 품질이 수용자의 만족과 납세순응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23 (23): 55-77, 2006
4 윤종원, "세무대리서비스의 품질이 이용자 만족도, 불평의도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7 (7): 175-200, 2006
5 노현섭, "세무 및 재무 유효세율의 결정요인: 세무자료를 사용한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1 (21): 2849-2866, 2008
6 김정호, "성실신고확인제도가 납세자와 세무대리인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1443-1461, 2012
7 이학식, "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 77-99, 1999
8 이유재, "서비스마케팅, 제2판" 학현사 1999
9 노현섭, "기업의 장기적인 조세회피와 기업특성 : 장기현금유효세율의 사용"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849-868, 2010
10 Rand McNally,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1297-1350, 1976
11 Homburg, C., "The Link Between Salespeople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 Business-to-Business Context: A Dyadic Analysis" 32 (32): 144-158, 2004
12 Chartrand, T, "The Chameleon Effect: The Perception-Behavior Link and Social Interaction" 76 : 893-910, 1999
13 Gump, B., "Stress, Affiliation and Emotional Contagion" 72 : 305-319, 1997
14 Parasuraman, A.,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64): 12-40, 1988
15 Macintosh, G, "Retail Relationships and Store Loyalty: A Multi-Level Perspective" 14 (14): 487-497, 1997
16 Keiningham, T., "Reexamining the Link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Store Performance in a Retail Environment" 17 (17): 51-57, 2006
17 Betty, R, "Personal Administration ; An Experimental Skill Building Approach, 2nd, ed"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1
18 Cronin, J.,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56 (56): 55-68, 1992
19 Berry, L, "Marketing Services: Competing Through Quality" The Free Press 1992
20 Christensen, A., "Evaluation of Tax Services: A Client and Preparer Perspective" 14 (14): 60-87, 1992
21 Bitner, M., "Evaluating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54 (54): 69-82, 1990
22 Howard, D., "Emotional Contagion Effects of Product Attitudes" 28 : 189-201, 2001
23 Carman, J.,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n Assessment of the SERVQUAL Dimensions" 66 (66): 33-55, 1990
24 Albrecht, K., "At America's Service" DowJones-Irwin 1988
25 Spreng, R,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 Model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72 (72): 201-214, 1996
26 Gronroos, C.,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s" 36-44, 1984
27 Bolton, R.,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Service Changes on Customer Attitudes" 55 (55): 1-9, 1991
28 Parasuraman, A.,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49 (49): 41-50, 1985
DCC-GARCH 모형을 이용한 한국과 일본 금융시장간 연계성 변화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2-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Review of Business & Economics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 ![]() |
2006-06-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0.97 | 1.238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