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8년 노인장기요양제도 출범 이후 확산되고 있는 돌봄 사회화와 관련된 다양한 담론들을 고찰해보고, 노인돌봄을 문화현상으로 접근하여 바람직한 돌봄문화에 대한 정의와 정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4156
2014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2-115(34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장기요양제도 출범 이후 확산되고 있는 돌봄 사회화와 관련된 다양한 담론들을 고찰해보고, 노인돌봄을 문화현상으로 접근하여 바람직한 돌봄문화에 대한 정의와 정책...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장기요양제도 출범 이후 확산되고 있는 돌봄 사회화와 관련된 다양한 담론들을 고찰해보고, 노인돌봄을 문화현상으로 접근하여 바람직한 돌봄문화에 대한 정의와 정책적 함의를 찾기 위해 실행되었다. 지난 20년간 돌봄 관련 기존연구들은 공적 돌봄 제도의 도입 필요성, 제도 출범 후 공적 서비스의 문제점, 정책운영 방식 및 서비스 질 개선 등에 초점을 맞추어 왔고, 최근 ‘좋은 돌봄’ 담론에 대한 연구들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봄을 문화현상으로 접근하여 우리 사회에서 오랫동안 이루어진 돌봄을 역사적 맥락에서 그 의미와 구성을 재해석하는 작업에 초점을 두었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가족중심 돌봄의 당사자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좋은 돌봄’ 담론을 비판하며 돌봄의 사회화 이후 ‘바람직한 돌봄문화’ 담론을 제기하였다. 둘째, 전통적 가족중심 돌봄과 공적 돌봄제도 출현 이후의 문화를 비교하여 ‘역사적으로 구성된 바람직한’ 돌봄문화에 대한 의미와 이러한 재정의가 갖는 사회 정책에 대한 함의를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돌봄문화란 돌봄의 관계적 측면에서 관계적 자율성을 지향하며, 돌봄의 장소 측면에서 요양시설의 존재인정과 가정의 주거-돌봄 공간으로의 변화, 돌봄의 욕구와 내용면에서 가족과 노인 당사자 간의 욕구 격차 감소를 통한 돌봄 내용의 다양화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바람직한 돌봄문화 담론은 공적 제도 출범이후 제도의 목표와 돌봄 당사자의 만족 간에 접점을 찾는 데 기본 함의가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08, July, the NLTCI(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s) policy for the elders was just started for expanding social services for elders to need long-term care regardless of their household in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
In 2008, July, the NLTCI(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s) policy for the elders was just started for expanding social services for elders to need long-term care regardless of their household in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w caring culture for older persons since the NLTCI has been implemented. During the last 20 years, the main topics of the previous studies on ‘elderly care’ have moved the issues from the need for establishing a public care policy, to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NLTCI, and to , recently, the discourse on ‘good care’. This study, however, regarded ‘care’ as ‘culture’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key conten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critics against the discourse on ‘good care’ directed toward family care and self-consumerism, the study explored the discourse on desirable caring culture post socialization of care. Secondly, the study discussed the desirable caring culture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raditional caring culture in Korea and the one of the post public care period. Finally, the desirable caring culture has been characterized (1) autonomic relationships among relevant parties in terms of care-relationships, (2) recognition of care institution of elders and the transition of ‘home’ in terms of care-places, (3) variations of care contents to meeting the needs of both the elderly and the policy in terms of care cont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세근, "현대 복지국가의 ‘돌봄’ 위기에 대응하는 유교사상의 정책 담론 도출에 관한 연구 - 노인에 대한 ‘좋은 돌봄(good care)’의 이념 구상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4) : 209-247, 2011
2 공병혜, "한국사회에서 노인돌봄" 한국여성철학회 13 : 1-22, 2010
3 백지은, "한국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 비교 문화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2006
4 공선희, "한국 노인의 돌봄 자원과 돌봄 기대 : 생애구술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8
5 Ruddick, S.,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아카데미 2005
6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월보"
7 김윤정,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 대처자원이 부양자의부담 및 부양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22 (22): 63-83, 1993
8 이경자, "치매노인의 간호 문제와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15 (15): 30-51, 1995
9 강현숙, "치매노인을 돌보는 며느리의 삶: 해석학적 분석" 29 (29): 1233-1243, 1999
10 김수영,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 예측요인" 한국노년학회 24 (24): 111-128, 2004
1 오세근, "현대 복지국가의 ‘돌봄’ 위기에 대응하는 유교사상의 정책 담론 도출에 관한 연구 - 노인에 대한 ‘좋은 돌봄(good care)’의 이념 구상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4) : 209-247, 2011
2 공병혜, "한국사회에서 노인돌봄" 한국여성철학회 13 : 1-22, 2010
3 백지은, "한국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 비교 문화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2006
4 공선희, "한국 노인의 돌봄 자원과 돌봄 기대 : 생애구술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8
5 Ruddick, S.,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아카데미 2005
6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월보"
7 김윤정,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 대처자원이 부양자의부담 및 부양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22 (22): 63-83, 1993
8 이경자, "치매노인의 간호 문제와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15 (15): 30-51, 1995
9 강현숙, "치매노인을 돌보는 며느리의 삶: 해석학적 분석" 29 (29): 1233-1243, 1999
10 김수영,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 예측요인" 한국노년학회 24 (24): 111-128, 2004
11 김태현,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경험에 관한 연구" 15 (15): 15-27, 1995
12 차흥봉, "장애노인 부양가족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선호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98
13 석재은, "장기요양 현금급여 정책의 국가간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73-302, 2006
14 김수정, "요양보호사의 돌봄관계를 통한 감정노동 경험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4
15 박기남, "영국의 노인돌봄정책과 관련 당사자지지단체(VO)의 역할" 2009
16 고성희, "실버를 골드로-고령화시대의 아름다운 노년 맞이 방안" 하나출판사 2006
17 이진숙, "보수주의 복지국가들의 가족정책적 경로의존성에 대한 연구 - 독일과 스위스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21 (21): 167-188, 2011
18 고성희, "문화간호를 위한 한국인의 민간 돌봄에 대한 연구: 출생을 중심으로" 20 (20): 430-458, 1990
19 홍성욱, "동거가족 요양보호사 급여 현황과 과제" 10 (10): 142-152, 2011
20 마경희, "돌봄의 정치적 윤리로서 관계의 자율성" 2008
21 마경희, "돌봄의 정치적 윤리: 돌봄과 정의의 이원론을 넘어"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319-348, 2010
22 윤승희, "돌봄을 통해 본 복지국가 유형화 연구: 돌봄의 제도와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6) : 31-59, 2012
23 이석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부양자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4 (14): 157-194, 2012
24 최희경, "노인에 대한 사회적 돌봄과 돌봄 서비스의 질 보장" 집문당 2009
25 김혜경, "노인돌봄 : 노인돌봄의 경험과 윤리: 좋은 돌봄을위하여" 양서원 2011
26 이가옥, "노인독립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독립과 의존의 재개념화"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22, 2004
27 이윤경, "노인 장기요양보험의 가족요양 급여체계 개선방안" 165 : 96-104, 2010
28 방수향, "노인 만성 질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와 가족간호자의 부담감" 한국간호과학회 37 (37): 135-144, 2007
29 신경아,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회 45 (45): 64-96, 2011
30 윤현숙, "노인 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및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1 (21): 141-161, 2001
31 남궁명희, "관계적 자율성의 관점에서 본 노부모 돌봄의 자율성 역량과 구조적 조건" 사회과학연구소 19 (19): 72-112, 2011
32 최영희, "간호와 한국문화" 수문사 1992
33 양난주, "가족요양보호사의 발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가족은 왜 요양보호사가 되었나?"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97-129, 2013
34 Brechin, A., "What Makes for Good Care" Sage Publications 1998
35 Kittay, Eva Feder, "WHO Ethical Choices in Long-Term Care: What Does Justice Require?" WHO 2002
36 Fisher, Berenice, "Toward a Feminist Theory for Caring" SUNY Press 1990
37 Sevenhuijsen, Selma, "The Place of Care: The Relevance of the Feminist Ethic of Care for Social Policy" 4 (4): 179-197, 2003
38 Held, V., "The Ethics of Care: Personal, Political, and Global"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9 김찬우, "The Continuum of Care and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s" 2014
40 Tronto, J. C., "Socializing Care" Rowman and Littlefield 2006
41 Clarke, John, "Social policy and the cultural turn" Tilburg University 29-31, 2002
42 MacKenzie, C., "Relational Autonomy: Feminist Perspectives on Autonomy, Agency, and the Social Self"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3 Clements, G., "Public Applications of the Ethic of Care, in Care, Autonomy, and Justice: Feminism and the Ethic of Care" Westview Press 1996
44 Taylor-Gooby, P. F., "New Riskes, New Welfa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5 Tronto, J. C., "Moral Boundaries: A Political Argument for an Ethic of Care" Psychology Press 1993
46 Kittay, E. F., "Love’s Labor: Essays on Woman, Equality, and Dependency" Psychology Press 1999
47 Murray, Charles, "Losing Ground: American Social Policy 1950-1980" Basic Books 1984
48 Knijn, T., "Gender and the Caring Dimension of Welfare States: Towards Inclusive Citizenship" 4 : 328-361, 1997
49 Chamberlayne, Prue, "Cultures of Care: Biographies of Carers in Britain and the Two Germanies" Policy Press 2001
50 Baldock, John, "Culture: the missing variable in understanding social policy?" 33 : 458-473, 1999
51 Pfau-Effinger, Birgit, "Culture and welfare state policies: reflections on a complex interrelation" 34 (34): 3-20, 2005
52 Kremer. M., "Child care policy at the crossroads: gender and welfare states restructuring" Routledge 2002
53 Noddings, N., "Caring: A Feminist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54 Daly, M., "Care as a good for social policy" Cambridege University Press 31 (31): 251-270, 2002
55 Stone, D., "Care Work: Gender, Labour and the Welfare State" Routledge 2000
5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이용 가족주수발자의 서비스 이용지원에 대한 경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영문명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Academy of Critical Health Policy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20-03-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1-11-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
2011-10-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상황과복지 -> 비판사회정책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35 | 1.67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