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분포 특성분석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Knowledge Services Startups in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04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동력이자 성장 대안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경제구조가 지식기반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지식서비스업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최근 10년간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분포 변화를 미시적 차원인 읍·면·동 공간단위로 살펴보고 창업의 공간의존성을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분포변화를 GIS를 통해 분석하되, 지식서비스업을 그 특성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공간적 자기 상관 기법을 활용하여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의존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은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구성비가 지속적으로 높아졌지만, 해당 산업의 창업구성비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집중 분포지역은 기존 도심지역에서 해운대구, 기장군, 강서구 등 시 외곽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지식서비스업의 집적지 변화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4가지로 구분된 지식서비스업 유형별 창업의 공간적 분포특성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의존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화되었으며 지식서비스업 유형별 창업의 군집지역은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입지요인이 시간에 따라 변해왔으며, 산업 유형별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최근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동력이자 성장 대안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경제구조가 지식기반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지식서비스업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

      최근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동력이자 성장 대안으로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경제구조가 지식기반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지식서비스업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최근 10년간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분포 변화를 미시적 차원인 읍·면·동 공간단위로 살펴보고 창업의 공간의존성을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분포변화를 GIS를 통해 분석하되, 지식서비스업을 그 특성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공간적 자기 상관 기법을 활용하여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의존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은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구성비가 지속적으로 높아졌지만, 해당 산업의 창업구성비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집중 분포지역은 기존 도심지역에서 해운대구, 기장군, 강서구 등 시 외곽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지식서비스업의 집적지 변화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4가지로 구분된 지식서비스업 유형별 창업의 공간적 분포특성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의존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강화되었으며 지식서비스업 유형별 창업의 군집지역은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입지요인이 시간에 따라 변해왔으며, 산업 유형별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o provide basic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for activating the startup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in the last ten years in terms of Eup-Myeon-Dong unit. And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spatial dependence of the location of startups. In this study, GIS was employed to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and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was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the regional economy continued to increase, but the ratio of startups in the industry decreased in Busan. Second, the accumulation area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was moved from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to the suburbs of the city. This tendency is similar to the change of accumulation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addi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knowledge service industries were different. Finally, the spatial dependence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startups has been strengthened over time.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o provide basic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for activating the startup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o provide basic direction of policy establishment for activating the startup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in the last ten years in terms of Eup-Myeon-Dong unit. And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spatial dependence of the location of startups. In this study, GIS was employed to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and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was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the regional economy continued to increase, but the ratio of startups in the industry decreased in Busan. Second, the accumulation area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 startups was moved from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to the suburbs of the city. This tendency is similar to the change of accumulation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addi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knowledge service industries were different. Finally, the spatial dependence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startups has been strengthened over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창업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분포 변화분석 Ⅳ.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자기 상관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창업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분포 변화분석 Ⅳ.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자기 상관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일, "패널자료 구축을 통한 대도시권 지식기반산업의 창업·폐업 및 이전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93-112, 2016

      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 "통계청, MDIS"

      4 설병문, "창업자 특성과 사업기회의 상황 간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19-28, 2013

      5 최혁준, "지식서비스산업의 정책 현황 및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4 (14): 49-68, 2013

      6 산업자원부,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전략" 산업자원부 2007

      7 남정민, "업종별 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업종별 창업자의 사업소득 및 창업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13-20, 2014

      8 이창효, "신생기업 생존과 설립지역 특성에 대한 관계 실증분석 - 신생기업 설립지역의 산업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131-151, 2017

      9 김은진, "스타트업의 창업 공간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10 서연미, "서울시 창업의 업종별 변화와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 박정일, "패널자료 구축을 통한 대도시권 지식기반산업의 창업·폐업 및 이전 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93-112, 2016

      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 "통계청, MDIS"

      4 설병문, "창업자 특성과 사업기회의 상황 간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19-28, 2013

      5 최혁준, "지식서비스산업의 정책 현황 및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4 (14): 49-68, 2013

      6 산업자원부,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전략" 산업자원부 2007

      7 남정민, "업종별 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업종별 창업자의 사업소득 및 창업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13-20, 2014

      8 이창효, "신생기업 생존과 설립지역 특성에 대한 관계 실증분석 - 신생기업 설립지역의 산업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131-151, 2017

      9 김은진, "스타트업의 창업 공간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10 서연미, "서울시 창업의 업종별 변화와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1 최창호, "산업별 창업기업의 입지결정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193-206, 2010

      12 이창근, "산업별 창업 결정요인의 세 가지 가설 검증, 2008-2014년" 한국지역학회 33 (33): 17-27, 2017

      13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14 김근종, "레스토랑 창업에 따른 입지조사 사례에 관한 연구" (11) : 7-28, 2000

      15 "국가공간정보포털"

      16 OECD, "The Knowledge-based Economy" OECD 1998

      17 Audretsch, D. B., "The Geography of Firm Birth in Germany" 28 (28): 359-365, 1994

      18 Fotopoulos, G., "Spatial Variations in New Manufacturing Plant Openings : Some Empirical Evidence from Greece" 33 (33): 219-229, 1999

      19 Lloyd, P. E., "Spatial Variations in New Firm Formation in the United Kingdom: Comparative Evidence from Merseyside, Greater Manchester and South Hampshire" 18 (18): 207-220, 1984

      20 Hart, M., "Spatial Variations in New Firm Formation in the Republic of Ireland, 1980-1990" 28 (28): 367-380, 1994

      21 Guesnier, B., "Regional Variations in New Firm Formation in France" 28 (28): 347-358, 1994

      22 Keeble, D., "New Firms, Small Firms and Dead Firms: Spatial Patterns and Determinants in the United Kingdom" 28 (28): 411-427, 1994

      23 European Union, "Knowledge-Intensive Business Services: Users and Sources of Innovation" EU 1995

      24 이희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지리정보학 이론과 실습" 396-401,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