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한복음에 나타난 고별강화의 구조 연구 : 요한복음 13-17장을 중심으로 = A Structural Study on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18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요한복음 13-17장에 나타난 예수의 고별강화에 관한 것이다. 요한복음에서 고별강화는 시간적 경과에 따른 구조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파격적일 정도의 비중으로 다뤄지고 있다. 첫 번째 의문점은 요한복음 다른 복음들서에 비해 고별강화를 강조하고 있는 이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고별강화는 동일 내용이 반복되는 부분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결함을 가진 것으로 보이게 한다. 두 번째 의문점은 고별강화의 구조적 혼돈에 관한 것이다.
      요한복음의 고별강화를 구조적으로 연구한 바, 1) 고별강화가 분량상, 구조상 강조된 이유는 신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요한 사후의 교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예수의 고별강화가 상당한 분량으로 다루어진 것이다. 2) 고별강화의 구조적 혼돈은 문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며 그것은 요한의 기록방식의 한 형태로서, 중요 내용의 반복현상 때문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요한복음 13-17장에 나타난 예수의 고별강화에 관한 것이다. 요한복음에서 고별강화는 시간적 경과에 따른 구조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파격적일 정도의 비중으로 다뤄지고 있다. ...

      본 연구는 요한복음 13-17장에 나타난 예수의 고별강화에 관한 것이다. 요한복음에서 고별강화는 시간적 경과에 따른 구조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파격적일 정도의 비중으로 다뤄지고 있다. 첫 번째 의문점은 요한복음 다른 복음들서에 비해 고별강화를 강조하고 있는 이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고별강화는 동일 내용이 반복되는 부분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결함을 가진 것으로 보이게 한다. 두 번째 의문점은 고별강화의 구조적 혼돈에 관한 것이다.
      요한복음의 고별강화를 구조적으로 연구한 바, 1) 고별강화가 분량상, 구조상 강조된 이유는 신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요한 사후의 교회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예수의 고별강화가 상당한 분량으로 다루어진 것이다. 2) 고별강화의 구조적 혼돈은 문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며 그것은 요한의 기록방식의 한 형태로서, 중요 내용의 반복현상 때문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surbey the Farewell Discourses of Jesus Christ in John Chapter 13-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some points in question in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aspect of the time passage of structure. The first question on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is its remarkable emphasizing than the other Gospels.
      And similar statements for the farewell discourses are found repeatedly. It seems there are some structural defects. The second question is the confusion of the structure in the Gospel of John about Farewell discourses. To solve these questions I have approached as followed.
      In chapter Ⅱ, the fact that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is much more emphasized and mentioned than the others is investigated.
      In chapter Ⅲ the purpose of writing, characters of general discourses, characters of farewell discourses, and his distinguished description of discourses are researched. Through this study, I figured out the theological and liteary characters in the farewell discourses.
      To sum up, this structural study of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concluded that the purpose of its structural and remarkable emphasizing is to stabilize church after his death. And the structural confusion of Farewell discourses is understood as literary character, reiterating the significant statem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surbey the Farewell Discourses of Jesus Christ in John Chapter 13-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some points in question in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play a very ...

      This study is to surbey the Farewell Discourses of Jesus Christ in John Chapter 13-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some points in question in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aspect of the time passage of structure. The first question on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is its remarkable emphasizing than the other Gospels.
      And similar statements for the farewell discourses are found repeatedly. It seems there are some structural defects. The second question is the confusion of the structure in the Gospel of John about Farewell discourses. To solve these questions I have approached as followed.
      In chapter Ⅱ, the fact that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is much more emphasized and mentioned than the others is investigated.
      In chapter Ⅲ the purpose of writing, characters of general discourses, characters of farewell discourses, and his distinguished description of discourses are researched. Through this study, I figured out the theological and liteary characters in the farewell discourses.
      To sum up, this structural study of the Farewell discourses in the gospel of John concluded that the purpose of its structural and remarkable emphasizing is to stabilize church after his death. And the structural confusion of Farewell discourses is understood as literary character, reiterating the significant stat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문제의 진술 = 1
      • B.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 3
      • 1. 연구의 목적 = 3
      • 2. 연구의 중요성 = 4
      • Ⅰ. 서론 = 1
      • A. 문제의 진술 = 1
      • B.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 3
      • 1. 연구의 목적 = 3
      • 2. 연구의 중요성 = 4
      • C. 연구의 방법론 및 제한 = 4
      • Ⅱ. 공관복음에 나타난 고별강화 = 6
      • A. 마태복음의 고별강화 = 6
      • B. 마가복음의 고별강화 = 12
      • C. 누가복음의 고별강화 = 16
      • D. 공관복음에 나타난 고별강화들의 특성 = 21
      • Ⅲ. 요한복음 13-17장에 나타난 고별강화 = 23
      • A. 요한복음의 기록목적 = 23
      • B. 일반강화(1-12장)의 주제별 특징 = 28
      • 1. 니고데모 강화(3:1-21) = 29
      • 2. 사마리아 여자 강화(4:7-26) = 32
      • 3. 아들에 관한 강화(5:19-47) = 34
      • 4. 생명의 떡에 관한 강화(6:22-58) = 35
      • 5. 선한 목자에 관한 강화(10:1-38) = 38
      • 6. 예수의 영광 받음에 관한 강화(12:33-46, 44-50) = 41
      • C. 고별강화의 문학적 구조 = 42
      • 1. 논란이 되는 문제들 = 42
      • 2. 다락방 강화(13:1-14:31) = 45
      • 3. 겟세마네로 가는 중의 강화(15:1-16:33) = 47
      • 4. 예수의 기도(17:1-26) = 49
      • D. 고별강화를 묘사하는 요한의 태도 = 45
      • 1. 문학적 특성 = 51
      • a. 구조적인 면 = 51
      • b. 특징적인 반복 = 52
      • 2. 신학적 특성 = 54
      • Ⅳ. 결론 = 57
      • A. 요약 = 57
      • B. 제언 = 59
      • 참고문헌 = 60
      • 국문초록 = 65
      • ABSTRACT =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