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바슐라르의 상상력으로 연극교육의 상상력을 활용한 수업 구조의 핵심적 특성을 분석하여 연극 교육이 지닌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바슐라르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34745
함현경 (성결대학교)
2025
Korean
연극교육 ; 상상력 ; 가스통 바슐라르 ; 수업 구조 ; 인지과학 ; Theater education ; imagination ; Gaston Bachelard ; instructional structure ; cognitive science
KCI등재
학술저널
99-115(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바슐라르의 상상력으로 연극교육의 상상력을 활용한 수업 구조의 핵심적 특성을 분석하여 연극 교육이 지닌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바슐라르의 ...
본 연구는 바슐라르의 상상력으로 연극교육의 상상력을 활용한 수업 구조의 핵심적 특성을 분석하여 연극 교육이 지닌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바슐라르의 상상력 개념과 상상력이 지닌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았다. 상상력은 실재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닌 실재를 넘어선 이미지를 새 롭게 변형하고, 창조할 수 있는 창조적 상상력이 본질이다. 상상력은 상상 주체의 주관성에 의한 무한한 변화 의 잠재성과 시대와 세대를 초월하는 보편성을 동시에 지닌다. 그러므로 상상력은 개인과 사회의 성장을 촉진 할 수 있는 삶의 중요한 원동력으로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이를 바탕으로 연극교육의 수업 구조가 지닌 핵심적 특성을 분석하여 연극교육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고찰 하였다. 정리하면, 주관 세계인 연극교육의 세계는 과거의 기억으로 삶을 새롭게 재구성한 창조적 상상력의 결 과물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놀이와 즉흥을 바탕으로 한 열린 구조는 학생들 스스로 답을 창조하는 것이기에 이미지를 창조하는 능동형으로의 회복이 가능하다. 또한 놀이와 즉흥을 통한 놀이성은 긍정적 정서와 움직임 을 통해 상상 주체의 내적 동기인 능동적 의지 회복과 사고 촉진이 가능함을 뇌 기반 학습원리로 확인하였다. 이어 물질적 상상력인 역할 경험은 다양한 사회적 존재를 상상 주체의 의미 부여를 통해 구체적인 형태로 창 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인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역할 경험은 상상 주체의 실존을 확장하여 개인과 사회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새로운 문화 형성을 도울 수 있음을 인지과학의 객 관적 근거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상상력에 대한 적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극교육의 체계적 설계와 실 천에 관한 다양한 심화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structure of theatre education utilizing Bachelard’s concept of imagination, thereby clarify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atre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structure of theatre education utilizing Bachelard’s concept of imagination, thereby clarify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atre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Bachelard’s concept of imaginati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Imagination, in its essence, is not about forming images of reality but about creatively transforming and generating images that go beyond reality. It possesses both the potential for infinite variation driven by the subjectivity of the imagining entity and a uni- versality that transcends time and generations. Therefore, imagination holds meaning and value as a crucial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nalyz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struc- ture of theatre education and explore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summary, the world of theatre education, as a subjective domain, generates creative imagination-based outcomes that reconstruct life through past memories. In this process, the open structure rooted in play and improvisation en- ables students to create their own answers, thus restoring their ability to actively generate images. Additionally, playfulness through play and improvisation fosters positive emotions and physical en- gagement, which, based on brain-based learning principles, enhances the active will and motivation of the imagining subject while promoting cognitive stimulation. Furthermore, the experience of roles as a form of material imagination involves creating concrete representations of various social beings through the subjective meaning-making process of the imagining entity. Therefore, it encompasses both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Such role experiences expand the existential domain of the imagining subject, fostering individual and societal growth, and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new cultures, as substantiated by cognitive science.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imagin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in-depth studies on the systematic design and practice of theater education will continue.
K-POP 수업이 몽골 유학생의 문화 적응과 학업 동기에 미치는 영향
무사시노 미술대학의 고전 회화실기 수업에 대한 고찰: ‘회화조성’ 실기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영·유아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방향: 유아교육·보육과정 및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