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생활만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교사용 유아생활만족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유아생활만족 관련문헌과 선행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35136
2010
-
375.05
KCI등재
학술저널
27-49(23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생활만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교사용 유아생활만족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유아생활만족 관련문헌과 선행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생활만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교사용 유아생활만족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유아생활만족 관련문헌과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교육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을 통해 만 4세와 5세 유아의 생활만족에 적합한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개발된 유아생활만족척도 시안은 예비검사와 3차의 전문가 회의를 통한 문항구성의 적합도와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요인분석을 거쳐 보완·수정되었다. 수정된 척도는 본 조사에서 유아생활만족척도의 양호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하여 최종 9개 영역 51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예비조사를 위해 5명의 교사와 55명의 유아가 포함되었으며 개발된 유아생활만족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최종적으로 32명의 유아교사와 만 4세와 5세 유아 351명(남아 182명, 여아 169명)이었다. 유아생활만족척도를 적용하여 검사를 실시한 A세와수집된 자료는 SPS셓와Win 15.0을 이용하여 내용 타당도(문항양호도)의 산술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인타당도 또한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신뢰도는 확인을 위해 Cronbach α를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생활만족도척도는 유아의 생활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로 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ated scale for testing young children's life satisfaction. For developing and validating of new scale for Korean young children, study I, Ⅱ, Ⅲ were performed. In study I, the researchers review rec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ated scale for testing young children's life satisfaction. For developing and validating of new scale for Korean young children, study I, Ⅱ, Ⅲ were performed. In study I, the researchers review recent developments in the field, including books and studies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developing the possible categories, classification and items of the life satisfac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In study Ⅱ, a pilot study was performed with 5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 and 55 preschool teachers. They were tested with the developed scale of life satisfaction among preschoolers. A group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including preschool teachers, 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were tested with the scales for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In study Ⅲ, 32 preschool teachers and their 351 children (182 boys and 169 girls) were subjected for tes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ife satisfac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were constructed in 9 subfactors and 51 items after the factor analysis. Second, LSSC meets requirements as good measur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cale is an appropriate tool for measuring life satisfaction for young children.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정,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에 관한 연구 개관" 4 : 123-143, 2005
2 구자영,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BIFAH)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1-19, 2007
3 최인수, "행복, 재미, 몰입" 아동영재교육연구소 2009
4 황명진, "한국의 행복지수 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93-117, 2008
5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13 (13): 99-142, 1999
6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3 (3): 79-101, 1998
7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해설집" 여성가족부 2007
8 이정화,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박영신,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5 (5): 57-76, 1999
10 송준화,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4 : 55-86, 2006
1 이수정,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에 관한 연구 개관" 4 : 123-143, 2005
2 구자영,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BIFAH)과 주관적 안녕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1-19, 2007
3 최인수, "행복, 재미, 몰입" 아동영재교육연구소 2009
4 황명진, "한국의 행복지수 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93-117, 2008
5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13 (13): 99-142, 1999
6 김의철,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3 (3): 79-101, 1998
7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해설집" 여성가족부 2007
8 이정화,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박영신,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5 (5): 57-76, 1999
10 송준화,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4 : 55-86, 2006
11 조아미, "청소년 여가만족도, 생활만족도,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169-189, 2006
12 임원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3 교육인적자원부, "제 7차 유치원교육과정해설집" 교육인적자원부 2008
14 이경민,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65-181, 2009
15 안선희,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63-180, 2002
16 이은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17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15-235, 2009
18 Hoggard, L., "영국 BBC 다큐멘터리 행복: 행복전문가 6인이 밝히는 행복의 심리학" 예담 2009
19 이정미, "아동이 지각한 부모 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20 김영희, "아동의 놀이성 군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21 이정안, "삶의 질 측정 ‘국민행복지수’ 만든다. 경찰신문, 정치면"
22 박영신,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과 생활만족도 형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63-92, 2002
23 Csikszentmihalyi, M.,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한울림 2007
24 양병화,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마케팅, 사회 및 행동과학을 위한 SPSS for Window 100% 활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5 이현수, "긍정적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8
26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9
27 Compton, W. C., "긍정심리학 입문" 박학사 2007
28 Seligman, M. E. P, "긍정심리학" 물푸레 2006
29 김난영,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49 : 145-161, 2001
30 양남희,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생활의 질 만족에 관한 연구" 17 (17): 87-109, 1994
31 Diener, E., "Very happy people" 13 : 81-84, 2002
32 Campbell, A.,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Russel Sage Foundation 1976
33 Myers, D. M., "The pursuit of happiness: Who is happy and why?" Avon Books 1992
34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125 (125): 276-302, 1999
35 Andrews, F. M.,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Plenum Press 1976
36 Kraut, R. E., "Social and emotional messages of smiling: An ethological approach" 37 : 1539-1553, 1979
37 Danner, D. D., "Positive emotions in early life and longevity: Findings from the Nun Study" 30 : 804-813, 2001
38 주재선, "OECD포럼과 행복지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 : 80-86, 2007
39 곽금주, "KLSSA 검사에 의한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 2 (2): 5-16, 1995
40 Veenhoven, R., "Is a happiness relative?" 24 : 1-34, 1991
41 Hills, P., "Happiness, introversion-extraversion and happy introverts" 30 : 595-608, 2001
42 Diener, E.,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 71-75, 1985
43 Scheier, M.,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16 : 201-228, 1992
44 Linley, P. A., "Character strengths in the United Kingdom: The VIA inventory of strengths" 43 : 341-351, 2007
45 Diener, E., "A value-based index for measuring national quality of life" 36 : 107-127, 1995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영유아 안전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체제의 적절성과 형평성에 대한 평가위원의 논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72 | 2.72 | 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74 | 2.67 | 3.087 | 0.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