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동북아시아 3국은 글로벌경기 악화, 메르스, 화산폭발 등 다양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항공시장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00년대 JAL 파산, 경기침체, 지방공항 공급 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8162
2015
-
300
학술저널
58-58(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중일, 동북아시아 3국은 글로벌경기 악화, 메르스, 화산폭발 등 다양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항공시장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00년대 JAL 파산, 경기침체, 지방공항 공급 과...
한중일, 동북아시아 3국은 글로벌경기 악화, 메르스, 화산폭발 등 다양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항공시장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일본의 경우 2000년대 JAL 파산, 경기침체, 지방공항 공급 과잉 등을 겪으며 항공산업과 공항의 구조조정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중국은 기존의 중국의 동부, 동북부 위주의 공항확충과 함께 중서부 개발을 필두로 하여 항공산업과 공항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하여 김포, 제주, 김해공항의 국제노선을 강화하고 인천공항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자유무역지역 확충 등에 노력하고 있다. 한중 자유무역협정 체결 후 한중일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논의가 재개되었고 중국관광객의 증가 및 3국간 항공화물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경쟁체제 하에서의 협력방안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공항의 허브화전략 차원에서 일본, 중국과의 협력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일본의 경우 지방공항, 저비용항공의 국제노선 협력, 중국의 경우 중서부 공항과의 연계 및 중국/일본 공항 운영 참여 등 가칭 airport allliance를 제안하고 있다.
계절형 ARIMA 모형을 이용한 인천공항 LCC 여객 수요 예측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