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Ⅰ: 기업가정신 및 창업관련 의견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51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관련교육 참여현황 등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청소년 기업가정신과 창업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가정신 및 창업 관련이론 등을 살펴보고자 국내·외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업가정신 및 창업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워크숍, 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관련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과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체험활동을 통해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창업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역사회 관련 기관간 연계 강화 및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의무화 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지원 및 강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교사대상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연수 확대가 필요하다. 일곱째, 학교급별 교과와 연계한 체험활동 구성·운영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덟째, 문화가치 및 셀프리더십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보급이 필요하다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홍보강화, 관련프로그램 개발·보급,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담당교사제 운영,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 동아리활동 지원 강화 등 초등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4과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교수 ? 학습방법 혁신, 동아리활동중심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활성화 등 중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3과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지도자 연수기회 확대, 비즈쿨 선도학교 역할 재정립, 고등학교-대학교-지역사회가 연계된 삼위일체형 프로그램 개발?보급,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정책 확대?강화 등 고등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4과제, 청소년활동과 학교행사활동 연계를 통한 기업가정신 및 창업체험활동 활성화, 문화가치?셀프리더십수준 제고를 위한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등 청소년활동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2과제가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관련교육 참여현황 등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청소년 기업가정신과 창업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이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관련교육 참여현황 등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청소년 기업가정신과 창업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가정신 및 창업 관련이론 등을 살펴보고자 국내·외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업가정신 및 창업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워크숍, 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관련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과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체험활동을 통해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창업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역사회 관련 기관간 연계 강화 및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의무화 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지원 및 강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교사대상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연수 확대가 필요하다. 일곱째, 학교급별 교과와 연계한 체험활동 구성·운영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덟째, 문화가치 및 셀프리더십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보급이 필요하다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에 대한 홍보강화, 관련프로그램 개발·보급,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담당교사제 운영,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관련 동아리활동 지원 강화 등 초등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4과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교수 ? 학습방법 혁신, 동아리활동중심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활성화 등 중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3과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지도자 연수기회 확대, 비즈쿨 선도학교 역할 재정립, 고등학교-대학교-지역사회가 연계된 삼위일체형 프로그램 개발?보급,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정책 확대?강화 등 고등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4과제, 청소년활동과 학교행사활동 연계를 통한 기업가정신 및 창업체험활동 활성화, 문화가치?셀프리더십수준 제고를 위한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활성화 등 청소년활동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역량 강화방안 2과제가 도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initia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ocuments for preparing policy to cultivate youth entrepreneurship and youth start-up competency through analyzing youth percep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articipation regarding youth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empirical research, and conducted and analyzed a survey with youth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the need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his study also analyzed related policy plans through a specialized workshop and the policy advisory council.
      Implications drawn through the surveys results suggests the following needs: (1) interest and public relations regard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2)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related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3) cultivating experts i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4)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related centers in community and forming consultation groups in order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and keep start-up competency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are systematical and effective; (5)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the current law and institutions to have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courses as required education; (6) expanding training programs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among teachers; (7) forming and invigorating experiential activities connected with curriculums in school grade levels; (8)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that enhance cultural values and levels of self-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to address the needs outlined above, various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which include the follow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ur-Plans for elementary schools through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regard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developing and distributing related programs, managing head teacher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supporting club activit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hree-Plans for middle schools through developing standard curricula and text book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innovating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and invigorat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cused on club activities,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ur-Plans for high schools through enlarging training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leaders, reestablishing leading schools of Bizcool,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with high school-college-community, expanding and strengthening governmental support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wo-Plans for invigorat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xperimental activities through youth activities and school event activities, developing and invigorating youth activities programs to improve cultural value and levels of self-leadership.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study was initia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ocuments for preparing policy to cultivate youth entrepreneurship and youth start-up competency through analyzing youth percep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articipation regarding youth en...

      The goal of this study was initia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ocuments for preparing policy to cultivate youth entrepreneurship and youth start-up competency through analyzing youth percep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articipation regarding youth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empirical research, and conducted and analyzed a survey with youth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the need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his study also analyzed related policy plans through a specialized workshop and the policy advisory council.
      Implications drawn through the surveys results suggests the following needs: (1) interest and public relations regard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2)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related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3) cultivating experts i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4)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related centers in community and forming consultation groups in order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and keep start-up competency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are systematical and effective; (5)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the current law and institutions to have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courses as required education; (6) expanding training programs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among teachers; (7) forming and invigorating experiential activities connected with curriculums in school grade levels; (8)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that enhance cultural values and levels of self-leader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to address the needs outlined above, various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which include the follow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ur-Plans for elementary schools through strengthening public relations regard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developing and distributing related programs, managing head teacher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supporting club activit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hree-Plans for middle schools through developing standard curricula and text book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innovating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and invigorat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cused on club activities,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Four-Plans for high schools through enlarging training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leaders, reestablishing leading schools of Bizcool,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grams with high school-college-community, expanding and strengthening governmental support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Two-Plans for invigorating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xperimental activities through youth activities and school event activities, developing and invigorating youth activities programs to improve cultural value and levels of self-leader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발간사]
      • [국문초록]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 [표지]
      • [발간사]
      • [국문초록]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 2. 연구방법
      • 3. 주요결과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제Ⅰ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내용
      • 3. 연구방법
      • [제Ⅱ장 조사개요]
      • 1. 표본설계 및 응답자 특성
      • 2. 조사도구
      • 3. 분석방법
      • [제Ⅲ장 기업가정신 및 창업관련 의견조사 분석]
      • 1. 기업가정신 및 기업가정신교육 관련인식
      • 2. 창업 및 창업교육 관련인식
      • 3.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활성화 방안 관련인식
      • 4. 문화가치수준
      • 5. 셀프리더십수준
      • 6. 문화가치·셀프리더십수준과 기업가정신의 개인적 역량과의 관계
      • 7. 소결 및 시사점
      • [제Ⅳ장 연구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 1. 연구결과 요약
      • 2. 정책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 [2014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간행물 안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