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자 중·고등학생의 4월혁명 참여 -덕성여자중학교 학생의 참여와 희생을 중심으로- =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pril Revolution -Focusing on the participating and sacrifice of students from Duksung Girls’ Middl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6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월혁명은 우리 역사상 최초로 주권재민을 국민 스스로 획득한 승리의 역사이다. 지금까지 4월 혁명은 대학생이 중심이 되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4월혁명의 초기국면에서는 고등학생과...

      4월혁명은 우리 역사상 최초로 주권재민을 국민 스스로 획득한 승리의 역사이다. 지금까지 4월 혁명은 대학생이 중심이 되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4월혁명의 초기국면에서는 고등학생과 중학생이 주도하다가 4월 18일 이후에 가서야 대학생이 중심이 된다. 4월혁명에서 중·고등학생은 대학생보다 더 ‘먼저’ 시위를 시작하였고, 더 ‘길게’ 싸웠으며, 더 ‘많이’ 피를 흘렸다. 4월혁명에서 희생된 여자 중·고등학생은 4명이다. 희생자는 모두 중학생인데 그 중 2명이 덕성여자중학교 학생이다. 이들 두 명의 4월혁명 참여와 희생을 알아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ril Revolution marks the first time in our history that the people have won sovereignty over themselves. So far, the April Revolution has been known to be centered on university students. However, in the early stages of the April Revolution, hig...

      The April Revolution marks the first time in our history that the people have won sovereignty over themselves. So far, the April Revolution has been known to be centered on university students. However, in the early stages of the April Revolution, hig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led the way, but only after April 18th, university students become the center. In the April Revolu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gan protesting “first” than university students, fought “longer” and lost more blood. Fou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killed in the April Revolution, two of whom are students from Duksung Girls’ Middle School. Let’s look at the participation and sacrifice of these two women in the April Revolu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화운동사 1" 돌베개 2008

      2 장숙경, "한국 민주주의, 100년의 혁명 1919-2019" 한울 2019

      3 김성식, "학생운동의 금후: 4․19 학생의거의 교훈"

      4 김성식, "학생과 자유민권운동" 1960

      5 이회백, "총탄을 헤치고" 1960

      6 정근식, "지역에서의 4월혁명" 선인 2010

      7 이성호, "지역에서의 4월 혁명" 선인 2010

      8 박만순, "지역에서의 4월 혁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0

      9 좌담회, "주도세력 없는 혁명은 정변: 4․19 2주년을 회고하며" 1962

      10 태륜기, "어용학자군의 숙정" 1960

      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화운동사 1" 돌베개 2008

      2 장숙경, "한국 민주주의, 100년의 혁명 1919-2019" 한울 2019

      3 김성식, "학생운동의 금후: 4․19 학생의거의 교훈"

      4 김성식, "학생과 자유민권운동" 1960

      5 이회백, "총탄을 헤치고" 1960

      6 정근식, "지역에서의 4월혁명" 선인 2010

      7 이성호, "지역에서의 4월 혁명" 선인 2010

      8 박만순, "지역에서의 4월 혁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0

      9 좌담회, "주도세력 없는 혁명은 정변: 4․19 2주년을 회고하며" 1962

      10 태륜기, "어용학자군의 숙정" 1960

      11 김동명, "상실된 젊음" 1957

      12 김선미, "부산지역 4 · 19민주항쟁의 주도세력" 역사문화학회 13 (13): 325-357, 2010

      13 부산민주운동사편찬위원회, "부산민주운동사"

      14 좌담회, "민주정치 최후의 교두보-3․15선거후의 정국 관망" 1960

      15 장준하, "또다시 우리의 방향을 천명하면서" 1960

      16 김은경, "다시 보는 한국민주화운동" 선인 2010

      17 정호기,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 한국에서의 민주화 운동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18 고은, "고은시집 21-23" 창작과비평사 2010

      19 오준선, "四․一九十周年紀念誌" 4․19유족회 1970

      20 이상록, "4・19민주항쟁 직후 한국 지식인들의 민주주의 인식 - 자유민주주의와 민주적 사회주의를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71) : 103-133, 2010

      21 홍석률, "4월혁명의 주체들" 역사비평사 2020

      22 오제연, "4월혁명의 기억에서 사라진 사람들―고학생과 도시하층민" 역사문제연구소 (106) : 136-172, 2014

      23 고영복, "4월혁명론" 한길사 1983

      24 김선미, "4월혁명 시기 부산지역 고등학생의 현실인식과 실천 - 시위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5) : 99-135, 2015

      25 한상권, "4월 혁명과 여성 참여 - 2·28대구학생시위로부터 4·11민주항쟁까지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33) : 87-129, 2020

      26 50주년4․19혁명기념사업회, "4․19혁명사(상권)․(하권)" 2011

      27 이회백, "4․19혁명사 하권" 50주년 4․19혁명기념사업회 2011

      28 Glen paige, "4․19혁명사 하권" 50주년4․19혁명기념사업회 2011

      29 Gottfried Kindermann, "4․19혁명사 하권" 50주년4․19혁명기념사업회 2011

      30 이재영, "4․19혁명과 소녀의 일기" 지식과감정 2017

      31 3․15의거기념사업회, "3․15의거사"

      32 권보드래, "1960년을 묻는다" 천년의 상상 2012

      33 오제연, "1960∼1971년 대학 학생운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