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학 : 유기체적 삶과 규범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 Dewey's naturalistic ethics : focusing on the life of human organism and the problem of norm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37496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철학과 , 2015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62.45 판사항(6)

      • DDC

        19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iv, 120장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노양진
        참고문헌: 장 109-11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규범성의 근거를 자연주의적으로 해명하려는 듀이의 시도를 통해 유기체적 삶에 기초한 새로운 도덕 이론 구성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데 있다. 오늘날까지 도덕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은 칸트의 의무론과 공리주의의 도덕 관념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까닭은 규범윤리학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등장한 메타윤리학과 덕윤리가 규범윤리학을 대체할 이론적 대안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덕윤리는 도덕에 대한 폭넓은 관념을 제안하지만 행위의 규범성 문제를 적절하게 해명하지 못한다. 그 결과 윤리학은 여전히 객관주의 아니면 허무주의라는 분기 상황에 놓여 있다. 필자는 도덕적 경험에 대한 자연주의적 접근을 시도하는 듀이의 윤리학에서 두 갈래의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이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듀이는 인간 본성과 행위에 대한 자연주의적 탐구로부터 도덕성이 인간 본성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인간 행위를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조명한 데서 비롯된다. 사회심리학에 기초한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학에서 도덕적 행위자는 본유적인 도덕성의 소유자가 아니라 충동과 욕구, 습관과 지성의 총체다. 도덕성은 그것들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데서 발생하는 경험의 한 국면일 뿐이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관념론적 의식철학이 가정하는 도덕성 개념은 부정될 수밖에 없다.
      규범성을 자연화하려는 듀이의 시도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자는 그의 도덕철학을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이어서 도덕성을 인간에게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른 원리에서 규범적 근거를 찾으려고 했던 규범윤리학의 한계를 규명한다. 또한 규범윤리학에 대한 대안적 이론으로 등장한 비규범윤리학, 특히 정의주의와 덕윤리 등을 듀이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듀이에 따르면 행위는 주어진 것으로서의 도덕성에 기초한 보편적 법칙이나 원리를 따르는 데서가 아닌 사회적 관계 속에서만 선하거나 악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판단이 허무주의적 상대주의로 귀결되지는 않는다. 그 판단의 기저에 삶의 원천이자 행위의 제약 근거인 ‘유기체적 조건’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충동과 습관의 총체인 인간 본성과 환경이 유기체적 조건을 구성한다. 도덕은 그러한 조건 위에서 가능하며 유기체적 삶을 더 자유롭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도구다. 도덕은 더 나은 삶을 위한 판단의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더 나은 행위로 이끄는 것은 ‘지성’이다. 상상력은 상황 속에서 우리의 선택을 실험하고 검사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한다. 듀이는 이와 같은 상상적 지성의 활동을 ‘도덕적 숙고’라고 부른다. 행위를 지도하는 숙고가 인간에 대한 자연주의적 탐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듀이의 윤리학은 ‘자연주의 윤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주의 윤리학은 규범성의 근거를 유기체적 조건에 둠으로써 도덕에 대한 시각의 전환을 가져오지만, 가치평가에 이용되는 과학적 탐구의 구체적 메커니즘을 밝히지 못했다는 점에서 미완에 그친다. 하지만 규범성에 대한 경험적 해명은 도덕을 발생적 차원에서 되물으며, 도덕이 이상 세계가 아닌 현실적 삶을 위한 담론이 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함축한다는 데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요구로부터 도덕은 과학적 탐구의 대상으로서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인지과학 등과의 연관성 속에서 연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오늘날 이것은 유기체인 인간 삶의 조건을 토대로 도덕을 재구성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들로 이어지며, 학제 간 연구를 촉구함으로써 도덕 탐구의 미래적 전망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규범성의 근거를 자연주의적으로 해명하려는 듀이의 시도를 통해 유기체적 삶에 기초한 새로운 도덕 이론 구성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데 있다. 오늘날까지 도덕에 대한 ...

      이 논문의 목적은 규범성의 근거를 자연주의적으로 해명하려는 듀이의 시도를 통해 유기체적 삶에 기초한 새로운 도덕 이론 구성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데 있다. 오늘날까지 도덕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은 칸트의 의무론과 공리주의의 도덕 관념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까닭은 규범윤리학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등장한 메타윤리학과 덕윤리가 규범윤리학을 대체할 이론적 대안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덕윤리는 도덕에 대한 폭넓은 관념을 제안하지만 행위의 규범성 문제를 적절하게 해명하지 못한다. 그 결과 윤리학은 여전히 객관주의 아니면 허무주의라는 분기 상황에 놓여 있다. 필자는 도덕적 경험에 대한 자연주의적 접근을 시도하는 듀이의 윤리학에서 두 갈래의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이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듀이는 인간 본성과 행위에 대한 자연주의적 탐구로부터 도덕성이 인간 본성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인간 행위를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조명한 데서 비롯된다. 사회심리학에 기초한 듀이의 자연주의 윤리학에서 도덕적 행위자는 본유적인 도덕성의 소유자가 아니라 충동과 욕구, 습관과 지성의 총체다. 도덕성은 그것들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데서 발생하는 경험의 한 국면일 뿐이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관념론적 의식철학이 가정하는 도덕성 개념은 부정될 수밖에 없다.
      규범성을 자연화하려는 듀이의 시도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자는 그의 도덕철학을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이어서 도덕성을 인간에게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른 원리에서 규범적 근거를 찾으려고 했던 규범윤리학의 한계를 규명한다. 또한 규범윤리학에 대한 대안적 이론으로 등장한 비규범윤리학, 특히 정의주의와 덕윤리 등을 듀이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듀이에 따르면 행위는 주어진 것으로서의 도덕성에 기초한 보편적 법칙이나 원리를 따르는 데서가 아닌 사회적 관계 속에서만 선하거나 악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판단이 허무주의적 상대주의로 귀결되지는 않는다. 그 판단의 기저에 삶의 원천이자 행위의 제약 근거인 ‘유기체적 조건’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충동과 습관의 총체인 인간 본성과 환경이 유기체적 조건을 구성한다. 도덕은 그러한 조건 위에서 가능하며 유기체적 삶을 더 자유롭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도구다. 도덕은 더 나은 삶을 위한 판단의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더 나은 행위로 이끄는 것은 ‘지성’이다. 상상력은 상황 속에서 우리의 선택을 실험하고 검사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한다. 듀이는 이와 같은 상상적 지성의 활동을 ‘도덕적 숙고’라고 부른다. 행위를 지도하는 숙고가 인간에 대한 자연주의적 탐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듀이의 윤리학은 ‘자연주의 윤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주의 윤리학은 규범성의 근거를 유기체적 조건에 둠으로써 도덕에 대한 시각의 전환을 가져오지만, 가치평가에 이용되는 과학적 탐구의 구체적 메커니즘을 밝히지 못했다는 점에서 미완에 그친다. 하지만 규범성에 대한 경험적 해명은 도덕을 발생적 차원에서 되물으며, 도덕이 이상 세계가 아닌 현실적 삶을 위한 담론이 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함축한다는 데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요구로부터 도덕은 과학적 탐구의 대상으로서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인지과학 등과의 연관성 속에서 연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오늘날 이것은 유기체인 인간 삶의 조건을 토대로 도덕을 재구성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들로 이어지며, 학제 간 연구를 촉구함으로써 도덕 탐구의 미래적 전망을 제시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국문초록 ⅲ
      • 제1장 서론 1
      • 차 례
      • 국문초록 ⅲ
      • 제1장 서론 1
      • 1. 규범윤리와 메타윤리를 넘어서 1
      • 2. 자연주의의 의미와 지평 4
      • 3. 삶의 기술로서의 도덕 7
      • 제2장 듀이 자연주의 윤리학의 재구성 12
      • 1. 자연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도덕 12
      • 2. 듀이의 경험 개념 17
      • 3. 숙고의 윤리학 21
      • 1) 인간 본성과 행위에 대한 탐구 23
      • ⑴ 습관 23
      • ⑵ 충동 29
      • ⑶ 지성 32
      • 2) 도덕적 행위와 상상력 36
      • 제3장 규범윤리학에 대한 듀이적 해석 44
      • 1. 자율성에 기초한 의무의 윤리학 44
      • 1) 규범성의 원천으로서의 인간성 46
      • 2) 이성에서 지성으로 51
      • 2. 쾌락에 기초한 결과의 윤리학 56
      • 1) 유용성의 원리와 도덕성 57
      • 2) 결과에서 과정으로 62
      • 제4장 현대 윤리학에 대한 듀이적 해석 66
      • 1. 메타윤리와 그 이후 66
      • 1) 정의주의와 보편적 규정주의 66
      • 2) 듀이적 관점에서 메타윤리 비판 70
      • 2. 덕윤리의 부활 75
      • 1) 매킨타이어와 덕윤리 75
      • 2) 덕윤리에 대한 듀이적 해석 78
      • 3. 신실용주의에 대한 듀이적 비판 82
      • 제5장 자연주의 윤리학의 한계와 전망 87
      • 1. 도덕적 성장 개념의 모호성: 미적 경험과의 연관성 87
      • 2. 도덕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문제점과 계승 94
      • 1) 도덕적 문제 상황과 탐구의 모호성 94
      • 2) 자연주의 윤리학에 대한 인지과학적 해명 100
      • 제6장 결론 104참고문헌 109
      • Abstract 11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황정미, "역", 서울: 새물결, 2003

      2 정수남, "역", 서울: 일신사, 2007

      3 James, William, "실용주의", 아카넷, 파주: 살림, 2008

      4 노양진, "?덕과 윤리?",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71집 겨울), 2013

      5 Locke, John, "인간 지성론 1", 한길사, 파주: 한길사, 2014

      6 김동식, "프래그머티즘", 서울: 아카넷, 2003

      7 Dewey, John, "철학의 재구성", 아카넷, 서울: 아카넷, 2010

      8 김성숙, 이귀학,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동서 문화사, 2008

      9 Dewey, John,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서울: 책세상, 2003

      10 노영란, "덕윤리와 상대주의", 철학논총 제53집, 2008

      1 황정미, "역", 서울: 새물결, 2003

      2 정수남, "역", 서울: 일신사, 2007

      3 James, William, "실용주의", 아카넷, 파주: 살림, 2008

      4 노양진, "?덕과 윤리?",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71집 겨울), 2013

      5 Locke, John, "인간 지성론 1", 한길사, 파주: 한길사, 2014

      6 김동식, "프래그머티즘", 서울: 아카넷, 2003

      7 Dewey, John, "철학의 재구성", 아카넷, 서울: 아카넷, 2010

      8 김성숙, 이귀학,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동서 문화사, 2008

      9 Dewey, John,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서울: 책세상, 2003

      10 노영란, "덕윤리와 상대주의", 철학논총 제53집, 2008

      11 노양진 ( Yang Jin Noh ), "「도덕의 영역들」",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47집, 2007

      12 Dewey, John, "공공성과 그 문제들", 한국문화사, 서울: 한국문화사, 2014

      13 김태길, "존 듀이의 사회철학", 明文堂, 서울: 명문당, 1990

      14 이대희, "「듀이의 도덕철학」",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제26집, 2001

      15 노영란, "덕윤리의 비판적 조명", 철학과현실사,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9

      16 손승길, "「존 듀이의 도덕철학」", 대동철학 제37집, 2005

      17 정해창, "『제임스의 미완성 세계』", 파주: 청계, 2009

      18 김무길, "듀이의 교호작용과 언어관",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제26집, 2001

      19 민은경, "타인의 고통과 공감의 원리", 철학사상 제27집, 2008

      20 노양진, "?규범성의 자연주의적 탐구?",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32집, 2004

      21 편경희, "존 듀이 습관 개념의 재조명", 교육철학 제42집, 2008

      22 제임스, "윌리엄. 실용주의 . 정해창 역", 서울: 아카넷, 2008

      23 주선희, "「실용주의는 공리주의인가」",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제123집, 2012

      24 송광일, "「듀이의 자연화된 지성 개념」",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제97집, 2012

      25 김상봉, "「칸트의 윤리학과 동정심 문제」", 칸트연구 2권, 1996

      26 이경후, "존 듀이의 심미적 경험과 예술교육",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제12호 여름), 1994

      27 문성학, "「칸트 윤리학의 네 가지 문제점」", 한국칸트학회, 칸트연구 제13집, 2004

      28 고흐, 빈센트, "반 , . 반 고흐, 영혼의 편지 . 신성림 역", 경기: 예담, 2005

      29 최준호, "「칸트의 심미적 경험과 미학의 역할」", 한국미학예술학회, 미학ㆍ예술학 연구 제24호 , 12), 2006

      30 김무길, "존듀이의 지식론과 Transaction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철학 박 사학위논문, 2000

      31 노양진, "나쁜 것의 윤리학: 몸의 철학과 도덕의 갈래", 서광사, 파주: 서광사, 2015

      32 박구용, "「도덕의 원천으로서 ‘좋음’과 ‘옳음’」", 한국철학회, 철학 제74집, 2003

      33 사카베, "메구미ㆍ아리후쿠 고가쿠. 칸트사전 . 이신철 역", 서울: 도서출판b, 2009

      34 박종원, "“공리주의 윤리설의 존재론적 기초에 대한 연구”", 한국철학회, 철학 제92집, 2007

      35 정회욱, "하우 위 씽크 HOW WE THINK: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서울: 학이시습, 2011

      36 최유준, "예술 음악과 대중 음악:그 허구적 이분법을 넘어서", 서울: 책세상, 2004

      37 황경식, "『자유주의는 진화하는가 : 열린 자유주의를 위하여』", 철학과현실사,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6

      38 주선희, "「감성의 윤리학에서 지성의 윤리학으로: 로티와 듀이」",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62집, 2011

      39 김여수, "「19세기 영국 철학에 있어서의 국가와 개인」. 언어와 문화",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7

      40 이엽, "윤리학의 새로운 명칭으로서 도덕 형이상학과 칸트 윤리학의근본 동기", 칸 트연구 2권, 1996

      41 김무길, "「듀이 의식이론의 현상학적 이해: 윌리엄 제임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 육철학 제50집, 2010

      42 김양현, "「칸트 윤리학의 세 얼굴: 이성중심중의, 인간중심주의, 그리고 전체주의」", 철학비평 제2호, 1999

      43 마뚜라나, "움베르또ㆍ프란시스코 바렐라. 앎의 나무: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 리 . 최호영 역", 서울: 갈무리, 2007

      44 김양현, 노양진, "「존슨의 칸트 해석: 상상력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칸트학회 편. 칸트와 현대 영미철학",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1

      45 미드, "조지 허버트. 정신ㆍ자아ㆍ사회: 사회적 행동주의자가 분석하는 개인과 사 회 . 나은영 역", 파주: 한길사, 2010

      46 전의채, "죤 듀이의 윤리학설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윤리학설의 비판적 연구: 형이상 학적 관점에서",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서울: 카톨릭대학교 출판부, 1995

      47 이유선, "로티의 네오프래그머트즘과 민주주의: 그의 ‘리버럴 아이러니스트’의 개념 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제45집, 1999

      48 강준호, "현대 공리주의 . 「 동향에 대한 연구」. 철학연구 제93집 기든스, 앤소니. 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변동", 배은경ㆍ,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