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黃帝內經』의 噫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Meaning of ‘Yi(噫)’ in 『Huangdineij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8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meaning of ‘yi(噫)’ from verses containing the character in 『Huangdineijing』. Methods : First, examples of the usage of ‘yi(噫)’ in Huangdineij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llowed by examples from the o...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meaning of ‘yi(噫)’ from verses containing the character in 『Huangdineijing』.
      Methods : First, examples of the usage of ‘yi(噫)’ in Huangdineij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llowed by examples from the other books of the time when 『Huangdineijing』 was written. Finally the term 'ai' which surfaced in a later period than Huangdineijing to refer to eructation was examined.
      Results & Conclusions : Based on analysis of the usage of ‘yi(噫)’ in the 『Huangdineijing』, out of a total of 20 cases, 14 cases could be categorized as referring to eructation, 4 cases were difficult to categorize as eructation, and 2 cases were indeterminable. At the time of publication of 『Huangdineijing』, the character ‘yi(噫)’ was generally used to refer to eructation when used in a medical context, while in non-medical contexts it referred to sigh, or groan. The appearance of ‘ai(噯)’ is predicted to be during the Song period, but its appearance did not take away the meaning of eructation from ‘yi(噫)’ and both were used. Based on the change of meaning of ‘yi(噫)’, we can determine the approximate time when certain contents of the 『Huangdineijing』 were constructed. In the case of ‘心爲噫[Heart makes ‘yi(噫)’]’, we can understand it as the pectoral qi leaking through the throat manifesting as a sigh in order to relieve stagnation of the excessiveness of the Heart. In cases of deficiency, when the Stomach function is weak, the body is likely to let out a sigh. The term meaning sighing which is 'taixi(大息)' was understood as symptomatic of problems of the Gallbladder as well as the He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Objectives : 본 논문에서는 『內經』에서 噫가 쓰이는 문장에서 噫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Methods : 먼저『內經』에서 噫의 용례를 찾아서 주석가들의 의견을 참고하면...

      Objectives : 본 논문에서는 『內經』에서 噫가 쓰이는 문장에서 噫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Methods : 먼저『內經』에서 噫의 용례를 찾아서 주석가들의 의견을 참고하면서 문맥에 따라 噫의 기전을 분석하여 트림의 의미로 볼 수 있는 경우와 보기 어려운 경우, 의미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를 구별하였다. 다음으로 『內經』이 지어진 시대의 전후의 의서 및 기타 서적에서 噫의 용례를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內經』보다 후대에 트림의 의미로서 출현한 噯가 사용된 예 등을 검토하고, 기존의 噫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Results & conclusion : 『黃帝內經』의 噫의 용례를 분석한 결과 총 20회의 용례 중 噫를 트림으로 볼 수 있는 경우는 14회, 트림으로 보기 어려운 경우는 4회, 의미를 확정하기 어려운 경우는 총 2회 나온다. 『內經』저작 당시의 의서에서 噫는 『內經』과 마찬가지로 대체로 트림의 의미로 쓰였으며 의서 이외의 기타 서적에서는 일부 트림의 의미로 쓰인 것도 있지만 대부분 한숨, 탄식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噯’ 글자의 등장 시기는 宋代로 추정된다. 이후 의서에서는 트림에 대하여 噯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이후의 明淸代의 많은 의서에서는 噯의 용례를 다수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噯가 쓰인 이후에도 噫와 의미가 분리되지 않고 혼용되었다. 『內經』의 내용이 만들어진 시기는 噫의 의미가 한숨, 탄식으로 주로 쓰이다가 트림의 의미가 나타나는 과도기라고 추정된다. 5. 宗氣와 心과 胃의 관계에서 心爲噫를 해석해본다면 실증에서는 胸中에 쌓여 있는 宗氣가 心에서 鬱滯된 것을 풀기 위해 喉嚨을 통해 새어나가는 한숨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허증에서도 胃의 기능이 약해 宗氣가 약해지면 심박동과 호흡의 작용이 약해짐으로 인해 한숨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內經』에서 한숨을 의미하는 太息은 心 이외에 膽의 문제로도 인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保景文化社 1991

      2 박형익, "한국 자전의 역사" 역락 2012

      3 채영진, "소문·지진요대론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01

      4 郭靄春, "黄帝內經素問語譯" 人民衛生出版社 1996

      5 王琦, "黄帝內經素問今釋" 성보사 1983

      6 高士宗, "黃帝內經素問直解" 學苑出版社 2001

      7 馬蒔, "黃帝內經素問注證發微" 人民衛生出版社 1998

      8 吳昆, "黃帝內經素問吳注" 學苑出版社 2001

      9 孫洽熙, "黃元御醫學全書"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0 馬繼興, "馬王堆古醫書考釋" 湖南科學技術出版社 1992

      1 "禮記" 保景文化社 1991

      2 박형익, "한국 자전의 역사" 역락 2012

      3 채영진, "소문·지진요대론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01

      4 郭靄春, "黄帝內經素問語譯" 人民衛生出版社 1996

      5 王琦, "黄帝內經素問今釋" 성보사 1983

      6 高士宗, "黃帝內經素問直解" 學苑出版社 2001

      7 馬蒔, "黃帝內經素問注證發微" 人民衛生出版社 1998

      8 吳昆, "黃帝內經素問吳注" 學苑出版社 2001

      9 孫洽熙, "黃元御醫學全書"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0 馬繼興, "馬王堆古醫書考釋" 湖南科學技術出版社 1992

      11 章楠, "靈素節注類編" 浙江科學技術出版社 1986

      12 河北醫學院, "靈樞經校釋" 人民衛生出版社 1982

      13 윤창열, "難經硏究集成" 주민출판사 2007

      14 王象禮, "陳無擇醫學全書" 中國中醫藥出版社 2005

      15 蘭鳳利, "論《黃帝內經》對《說文解字》的影響" 10 (10): 201-205, 2006

      16 許惟賢, "說文解字注(上)" 鳳凰出版社 2009

      17 안동림, "莊子" 현암사 2005

      18 丹波元簡, "聿修堂醫書選 素問識" 人民衛生出版社 1984

      19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20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21 張登本, "白話通解黄帝內經" 世界圖書出版公司 2000

      22 張登本, "王冰醫學全書" 中國中醫藥出版社 2006

      23 김달호, "注解補注 黃帝內經靈樞(全)" 의성당 2002

      24 김달호, "注解補注 黃帝內經素問(上)(下)" 의성당 2001

      25 吳謙, "標點·索引 御纂醫宗金鑑" 법인문화사 2006

      26 "書傳集註" 太山文化社 1984

      27 "文淵閣 四庫全書" 迪志文化出版有限公司 2007

      28 李家源, "敎學 大漢韓辭典" 敎學社 1998

      29 송일병, "改訂增補 四象醫學" 집문당 2012

      30 松亭 金赫濟, "懸吐釋字具解 論語集註" 明文堂 2000

      31 박찬국,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運氣七篇注釋" 집문당 2009

      32 박찬국,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注釋" 집문당 2005

      33 李志庸, "張景岳醫學全書"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34 史廣江, "康熙字典" 中州古籍出版社 2006

      35 허준, "對譯 東醫寶鑑" 동의보감출판사 2006

      36 司馬遷, "史記 第八冊 傳(二)" 中華書局 1982

      37 松亭 金赫濟, "原本集註 詩傳(全)" 明文堂 1991

      38 松亭 金赫濟, "原本 小學集註(上)" 明文堂 1985

      39 李順保, "傷寒論版本大全" 學苑出版社 2006

      40 柯琴, "傷寒來蘇集"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6

      41 上海書店, "二十五史 2" 上海古籍出版社 1995

      42 王官惠, "《內經》“噫”字辨析" 3 : 40-41,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3 0.5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