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百濟 古爾王대 聯盟王國說 검토 = A Study on the Level of Socio-Political Integr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Ko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86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existing arguments on the level of socio-political integr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Koi from Paekche; this article questions the claim that Mahan Paekche statelet emerged as a confederated kingdom during King Koi's era(23...

      This article examines the existing arguments on the level of socio-political integr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Koi from Paekche; this article questions the claim that Mahan Paekche statelet emerged as a confederated kingdom during King Koi's era(234~286). Previous studies on the formation of Korean antient state commonly accepted the argument that Silla was established into a confederated kingdom during King Naemul's era(356~402). Regarding the process of state formation, however, it is contradictory to insist that Baekjae preceded Silla by 100 years; seemingly, such claim has been emerged because of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the concept of the term 'confederated kingdom' has been used without any definitive agreements. Second,interpretation of literature records from King Koi' era has been somewhat exaggerated, while the reliability of the records are problematic themselves.
      Confederated kingdom is a term describing a type of ancient state. An important feature of this stage includes indirect governance towards subjugated statelets. After a chief statelet conquered its surrounding statelets, it establishes a ruler-subject relationship and imposes various types of indirect governance. The name of subjugated statelet disappear in foreign relations. It is Mahan Paekche statelet which conquered and integrated small statelets into Paekche, as it is Chinhan Saro statelet for Silla. According to the records from Jinshu history of the Jin Dynasty, the statelets in the Mahan region participated on an equal footing in its diplomatic activities with Western Jin Dynasty until the early 290s when King Koi were in reign. The situation was similar in Jinhan region. Regarding the scale of burial itself and burial goods from Mahan and Jinhan does not differ in quality and quantity.
      Archaeologists who considered the emergence of fortresses, large tombs, and particular pottery type as indicators for a state formation, claim that Paekche had already reached an state level by the late 3rd century A.D.. As opposed to this argument, a significant number of scholars insisted that the fortresses,large tombs, and the Paekche pottery type were not originated from the third century but from the mid- and late fourth century A.D..
      King Koi's confederated kingdom argument would not be a compelling argument without any material evidences which could demonstrate Paekche's conquest of the Mahan statelets during the late 3rd century A.D. and its implementation of indirect governance over them. Almost none from the late third century archaeological data supports such claims yet. Scholars studying Silla history utilized prestige goods such as gilt bronze crowns and gilt bronze shoes from the 5th century, excavated from the various parts of Ky.ngsang province, as their material evidences to demonstrates how Silla, as a confederated kingdom, executed indirect governance. Even in Paekche' region, it is not until the fourth to the fifth century A.D. when the prestige goods including the gilt bronze crowns and gilt bronze shoes appeared. Applying the same standards for both Silla and Paekche, it is not during the reign of King Koi but the fourth century afterwards when Paekche was established as a confederated kingdom. For the past one decade, archeological data within the Paekche region rapidly increased. These newly excavated archeological materials requires to be judged and examined objectively without any preconceived id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백제 古爾王대의 정치.사회적 통합 수준이 연맹왕국단계에 이르렀다는 기존의 인식에 문제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현재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과정에서 연맹왕국단계는 部體制단...

      이 논문은 백제 古爾王대의 정치.사회적 통합 수준이 연맹왕국단계에 이르렀다는 기존의 인식에 문제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현재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과정에서 연맹왕국단계는 部體制단계와 마찬가지로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단계로 넘어 가는 직전 단계를 가르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백제는 古爾王대(234~286)를, 신라는 奈勿麻立干대(356~402)를 聯盟王國 성립기 내지는 部體制성립기로 설정하고 있다. 백제가 신라보다 국가 형성 과정에서 100 여 년 앞섰다고 하는 이같은 인식에는 문제가 있다.
      개념상 小國연맹체단계에서는 진한이나 마한처럼 小國들이 개별적인 정치체로서 독자성을 유지하고 小國간에 우열의 차이는 있으나 맹주국과는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이와 달리 ‘연맹왕국’은 고대국가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이 단계에서는 맹주국이 소국을 정복하여 上下의 지배 복속관계를 형성하고 복속 지역에 대해 여러 유형의 간접통치를 실시하며, 피복속 소국은 대외 교섭권 등을 상실한다.
      고이왕대를 연맹왕국단계로 인식한 것은 ‘통치체제 정비 기사’ 등 신뢰성에 많은 문제가 있는 문헌 기록을 과대 해석한 결과이다. 290년 초까지도 마한 小國들은 西晉과의 교섭에서 小國으로서의 독자성을 유지하였고, 伯濟國은 가장 유력한 소국연맹체의 맹주국일 뿐 다른 小國들을 복속시켜 대외교섭을 독점하는 존재가 아니었다. 진한 斯盧國의 西晉 遣使 시작은(280년) 마한 보다 4년 늦을 뿐이며 이 때까지도 양 지역의 정치.사회적 통합 수준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고고학자들도 성곽, 대형 무덤, 토기양식 등을 국가 성립의 고고학적 지표로 삼아 3세기 중후반 경 백제는 일정 영역을 확보한 국가 단계에 도달했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백제 국가 성립의 지표로 삼은 고고학자료의 편년이 연구자에 따라 3세기 후반~4세기 중후반 등으로 견해 차이가 크고 유동적이어서 고이왕대 연맹왕국설을 지지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고이왕대 ‘연맹왕국’설 내지는 부체제설이 성립하려면 3세기 후반 백제국이 마한 소국을 정복하여 지배 복속관계를 확립하고 간접통치를 실시했음을 물질자료 등을 통해 입증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3세기 후반대의 물질적 자료는 거의 확보되지 않고 있다. 반면 백제 지역에서 출토되는 東晋제 도자기, 금동관, 금동신발 등 간접통치 실시를 뒷받침하는 각종 위세품들은 모두 4~5세기대의 것이다. 신라사에서는 금동관 등의 위세품 등이 출현하는 이러한 단계를 연맹왕국단계 내지는 부체제 단계로 해석한다. 고이왕대를 연맹왕국 내지는 부체제성립기로 보는 문헌사가들 중에는 백제지역에서 출토되는 금동관 등의 위세품을 직접통치의 산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동일한 성격의 고고학 자료에 대해 백제와 신라에 서로 다른 잣대를 적용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훈, "金銅冠을 통해 본 百濟의 地方 統治와 對外交流" 55 : 2012

      2 이훈, "金銅冠을 통해 본 4~5세기 百濟의 地方統治" 공주대학교 2010

      3 한지선, "한성지역출토 중국제유물의 교차편년, 한성지역백제토기분류표준화방안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4 양기석, "한성시대 후기의 정치적 변화, In 한국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95

      5 이종욱, "한국초기국가발전론" 새문사 1999

      6 성정용, "토기양식으로 본 고대국가 형성, 국가형성의 고고학" 2007

      7 김정배, "초기국가의 성격, In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8 노태돈, "초기고대국가의 국가 구조와 정치운영" 17 : 2000

      9 이창엽, "천안 청당동분묘군의 편년 재검토" 73 : 2011

      10 정재윤, "집권기반의 확립과 영토 확장, In 熊津 都邑期의 百濟, 百濟文化史大系 4" 2007

      1 이훈, "金銅冠을 통해 본 百濟의 地方 統治와 對外交流" 55 : 2012

      2 이훈, "金銅冠을 통해 본 4~5세기 百濟의 地方統治" 공주대학교 2010

      3 한지선, "한성지역출토 중국제유물의 교차편년, 한성지역백제토기분류표준화방안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4 양기석, "한성시대 후기의 정치적 변화, In 한국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95

      5 이종욱, "한국초기국가발전론" 새문사 1999

      6 성정용, "토기양식으로 본 고대국가 형성, 국가형성의 고고학" 2007

      7 김정배, "초기국가의 성격, In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8 노태돈, "초기고대국가의 국가 구조와 정치운영" 17 : 2000

      9 이창엽, "천안 청당동분묘군의 편년 재검토" 73 : 2011

      10 정재윤, "집권기반의 확립과 영토 확장, In 熊津 都邑期의 百濟, 百濟文化史大系 4" 2007

      11 성정용, "중서부 마한지역의 백제영역화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2 권오영,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중부고고학회 8 (8): 31-49, 2009

      13 이우태, "신라의 융성, In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1997

      14 이희준,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2007

      15 김재홍, "신라(사로국)의 형성과 발전" 21 : 1996

      16 최병현, "신라 조기양식토기의 설정과 편년" 영남고고학회 (63) : 105-156, 2012

      17 최병현,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성립" 중부고고학회 12 (12): 5-58, 2013

      18 조가영,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 검토 – 고분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5 (75): 252-275, 2012

      19 林永珍, "백제한성시대고분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20 문동석, "백제지배세력연구" 혜안 2007

      21 이도학, "백제의 중앙집권체제확립과 영역확대, In 漢城都邑期의 百濟, 百濟文化史大系 3" 2007

      22 노중국, "백제의 왕・후호제와 금동관 부장자의 실체 -歸葬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70) : 317-347, 2013

      23 문안식, "백제의 왕후제 시행과 지방통치방식의 변화" 호남사학회 27 : 2006

      24 김기섭, "백제와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2000

      25 박순발, "백제, 언제 세웠나-고고학적 측면, 백제, 누가 언제 세웠나?" 한성백제박물관 2012

      26 임영진, "백제, 누가 세웠나-고고학적 측면" 한성백제박물관 2012

      27 조가영, "백제 한성 도읍기 한강유역의 고분구조 검토, 백제고분의 새로운 인식" 2012

      28 박기범, "백제 초기 정치체제의 성립과정과 구조적 특질" 백제학회 (4) : 43-67, 2010

      29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제 지방세력의 존재양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30 이남규,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2008

      31 이현혜, "마한사회의 형성과 발전, In 百濟의 起源과 建國 百濟文化史大系 2" 2007

      32 정동준, "동아시아 속의 백제 정치제도" 일지사 2013

      33 박현숙, "담로제의 실시, In 百濟의 政治制度와 軍事 , 百濟文化史大系 8" 2007

      34 김기옥, "김포 운양동유적" 2009

      35 김병모, "금관의 비밀" 고려문화재연구원 2012

      36 우병철, "궐수형철기를 통해 본 진·변한 정치체의 상호작용 – 대등 정치체 상호작용 모델(peer polity interaction model)의 적용 -" 한국상고사학회 65 (65): 75-105, 2009

      37 한국고고학회, "국가형성의 고고학" 2007

      38 박순발, "국가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국가형성의 고고학" 2007

      39 여호규, "국가의 형성, In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상)" 2008

      40 김기섭, "고대국가의 여명, In 漢城都邑期의 百濟, 百濟文化史大系 3" 2007

      41 이현혜, "고고학자료로 본 斯盧國 六村" 한국고대사학회 52 (52): 193-232, 2008

      42 권오영, "고고자료로 본 지방사회, In 百濟의 政治制度와 軍事, 百濟文化史大系 8" 2007

      43 이남석, "경기남부 백제유적의 분포 양상과 역사적 의미" 40 : 2004

      44 김일규, "가락동 2호분에 대하여, 한성지역 백제 고분의 새로운 인식과 해석" 2013

      45 주보돈, "麻立干時代 新羅의 地方統治" 19 : 1996

      46 윤선태, "馬韓의 辰王과 臣濆沽國" 34 : 2001

      47 신희권, "風納土城 初築年代試論" 37 : 2002

      48 이기백, "韓國史新論" 일조각 1976

      49 이기백, "韓國史 講座 古代篇" 일조각 1982

      50 이병도, "韓國史 古代篇" 을유문화사 1959

      51 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76

      52 王志高, "試論韓國首尒風納土城的三个問題, In 동북아시아 속의 풍납토성" 2012

      53 창원대학교박물관, "蔚山中山里遺蹟Ⅰ본문.발굴보고서" 2006

      54 임영진, "積石塚으로 본 百濟 건국집단의 남하 과정" 19 : 2003

      55 노중국, "百濟의 王・侯號, 將軍號制와 그 運營" 55 : 2012

      56 이남석, "百濟의 冠帽 · 冠飾과 地方統治體制" 고려사학회 (33) : 443-478, 2008

      57 노중국, "百濟政治史硏究" 일조각 1988

      58 임영진, "百濟式積石塚의 發生 背景과 意味" 한국상고사학회 57 (57): 77-104, 2007

      59 한지선, "百濟土器 成立期 樣相에 대한 檢討" 41 : 2005

      60 한지수, "百濟 風納土城 출토 施釉陶器 연구 -경당지구 196호 유구 출토품과 중국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백제연구소 (51) : 1-39, 2010

      61 김성남, "百濟 漢城時代 南方領域의 擴大科程과 支配形態 試論" 44 : 2006

      62 임기환, "百濟 始祖 傳承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고찰" 28 : 1998

      63 金英心, "百濟 地方統治體制 연구 : 5-7세기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64 朴賢淑, "百濟 地方統治體制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65 朴淳發, "百濟 國家의 形成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66 양기석, "百濟 初期의 部" 17 : 2000

      67 주보돈, "百濟 初期史에서의 戰爭과 뉘族의 出現, In 百濟史上의 戰爭"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68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牙山鳴岩里 밖지므레遺蹟, -고찰, 자연과학분석-.발굴보고서" 2011

      69 박순발, "漢城百濟의 誕生" 서경문화사 2001

      70 권오영,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백제연구소 (53) : 131-157, 2011

      71 김승옥, "漢城百濟의 形成過程과 對外關係, In 百濟史上의 戰爭" 2000

      72 柳本照男, "漢城百濟期 編年 再考" 백제연구소 (55) : 169-204, 2012

      73 이성주, "漢城百濟 形成期 土器 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制의 變動" 71 : 2011

      74 김일규, "漢城期 百濟土器 編年再考" 한국고대학회 (27) : 111-130, 2007

      75 서현주, "湖南西南部地域 考古學資料를 통해 본 熊津期의 地方" 55 : 2012

      76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 "浦項玉城里古墳群Ⅱ, 나지구.발굴보고서" 1998

      77 이병호, "日帝强占期 百濟 故地에 대한 古蹟調査事業" 한국고대사학회 (61) : 113-155, 2011

      78 이성주, "新羅伽倻社會의 起源과 成長" 학연문화사 1998

      79 영남문화재연구원, "慶州九於里古墳群Ⅱ.발굴보고서" 2011

      80 이한상, "威勢品으로 본 古代國家의 形成, 국가형성의 고고학" 2007

      81 몽촌토성발굴조사단, "夢村土城發掘調査報告" 1985

      82 서울대학교박물관, "夢村土城 東北地區發掘報告" 1987

      83 박순발,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한국고대사학회 (48) : 155-186, 2007

      84 이현숙, "墓制를 통해 본 漢城期 百濟의 地域相-龍院里遺蹟圈을 中心으로-" 백제연구소 (55) : 29-65, 2012

      85 이병도, "國譯 三國史記" 을유문화사 1977

      86 고려대학교박물관, "可樂洞 2號墳.발굴보고서" 2012

      87 천관우, "古朝鮮史 ・三韓史硏究" 일조각 1989

      88 차윤환, "原三國期~百濟初期 漢江 中下流域 墓制의 地域性" 78 : 2012

      89 김새봄, "原三國後期 嶺南地域과 京畿·忠淸地域 鐵矛의 交流樣相" 한국고고학회 (81) : 77-108, 2011

      90 김태식, "初期古代國家論, In 강좌 한국고대사 2"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3

      91 권오영, "伯濟國에서 百濟로의 전환" 40 : 2001

      92 윤용구, "仇台의 백제건국기사에 대한 재검토" 백제연구소 (39) : 1-15, 2004

      93 김성남, "中部地方 3~4世紀 古墳群 細部 編年" 33 : 2002

      94 윤용구, "三韓의 對中交涉과 그 성격" 85 : 1999

      95 성정용, "4~5세기 백제의 물질문화와 지방지배, In 한성에서 웅진으로" 2006

      96 이한상, "4~5세기 백제 금동관모제품 부장" 51 : 2008

      97 성정용, "4~5세기 百濟의 地方支配" 24 : 2001

      98 강종원, "4세기 백제사연구" 서경 2002

      99 권오영, "4세기 百濟의 地方統制方式 一例"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8

      100 이현숙, "4∼5세기대 백제의 지역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01 李熙濬, "4-5세기 新羅의 考古學的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02 김수태, "3세기 중후반 백제의 발전과 馬韓" 1998

      103 이현혜, "3세기 馬韓과 伯濟國, In 百濟의 中央과 地方"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104 이한상,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서경문화사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8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