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위주체의 역사적 재현 - 『본조여사』의 기녀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89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조여사』는 1898년에 편찬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사이다. 편저자 김상집은 현모, 열녀부터 조선사회에서 가장 하위주체였던 첩, 여종, 기녀까지 대상의 신분 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게 잡았다. 편저자가 유교적 지식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신분의 구애 없이 하위주체를 역사적 인물로 소환하여 공적으로 인정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하위주체 기녀에 대한 역사적 재현한 양상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기녀는 기역을 담당하는 현장에서 정치적 감각을 익히고 안목을 키웠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소신껏 드러내고 비판적 언사도 서슴지 않았다. 사대부 남성과 탈성애적 만남을 통해 인정하는 관계를 형성하였다. 나아가 남성에게 받은 시첩을 상징 자본으로 만들어 생존 전략을 짜기도 하였다. 가부장적 가족 내로 편입하기 위해 윤리 규범을 따랐고 자신의 성적 자율권을 지키고 자유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자신들에 게 허용된 언어를 통해 비주류로서의 삶을 반추하며 자의식을 드러냈다. 김상집은 기녀를 파편화된 주체로 접근하고 주변화된 하위주체 여성들의 목소리와 서사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기녀의 복합적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 으며 하위주체의 역사적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본조여사』속 기녀를 통해 전근대 기녀와 근대 기녀의 사회적 역할을 사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조여사』는 1898년에 편찬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사이다. 편저자 김상집은 현모, 열녀부터 조선사회에서 가장 하위주체였던 첩, 여종, 기녀까지 대상의 신분 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게 ...

      『본조여사』는 1898년에 편찬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사이다. 편저자 김상집은 현모, 열녀부터 조선사회에서 가장 하위주체였던 첩, 여종, 기녀까지 대상의 신분 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게 잡았다. 편저자가 유교적 지식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신분의 구애 없이 하위주체를 역사적 인물로 소환하여 공적으로 인정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하위주체 기녀에 대한 역사적 재현한 양상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기녀는 기역을 담당하는 현장에서 정치적 감각을 익히고 안목을 키웠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소신껏 드러내고 비판적 언사도 서슴지 않았다. 사대부 남성과 탈성애적 만남을 통해 인정하는 관계를 형성하였다. 나아가 남성에게 받은 시첩을 상징 자본으로 만들어 생존 전략을 짜기도 하였다. 가부장적 가족 내로 편입하기 위해 윤리 규범을 따랐고 자신의 성적 자율권을 지키고 자유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자신들에 게 허용된 언어를 통해 비주류로서의 삶을 반추하며 자의식을 드러냈다. 김상집은 기녀를 파편화된 주체로 접근하고 주변화된 하위주체 여성들의 목소리와 서사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기녀의 복합적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 으며 하위주체의 역사적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본조여사』속 기녀를 통해 전근대 기녀와 근대 기녀의 사회적 역할을 사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njoyeosa』 is Korea's first women's history, compiled in 1898. Editor Kim Sang-jip covered a wide spectrum of subjects' status, from wise mothers and virtuous women to concubines, female servants, and gisaeng, who were the lowest subjects in Joseon society. Although the editor was a Confucian intellectual, it is noteworthy that he summoned lower-ranking subjects as historical figures and publicly recognized them without regard for statu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lower-class gisaeng through his work. Gisaeng acquired political sense and developed insights into the field of government. She expressed her thoughts to the fullest and did not hesitate to make critical remarks. She formed an accepting relationship with a man through a post-sexual encounter and further developed her survival strategy by turning the concubines she received from men into symbolic capital. She followed her own ethical code to integrate into her patriarchal family and strived to preserve her own sexual autonomy and realize her free will. She revealed her self-consciousness by reflecting on her life as a non-mainstream person through the language allowed to her. Kim Sang-jip approached gisaeng as a fragmented subject and attempted to recover the voices and narratives of marginalized women. As a result, the complex identity of gisaeng can be confirmed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a subordinate subject as a historical subject can be discovered. Through the gisaeng in 『Bonjoyeosa』, we can get a personal look at the social roles of both pre-modern and modern gisaeng.
      번역하기

      『Bonjoyeosa』 is Korea's first women's history, compiled in 1898. Editor Kim Sang-jip covered a wide spectrum of subjects' status, from wise mothers and virtuous women to concubines, female servants, and gisaeng, who were the lowest subjects in Jos...

      『Bonjoyeosa』 is Korea's first women's history, compiled in 1898. Editor Kim Sang-jip covered a wide spectrum of subjects' status, from wise mothers and virtuous women to concubines, female servants, and gisaeng, who were the lowest subjects in Joseon society. Although the editor was a Confucian intellectual, it is noteworthy that he summoned lower-ranking subjects as historical figures and publicly recognized them without regard for statu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lower-class gisaeng through his work. Gisaeng acquired political sense and developed insights into the field of government. She expressed her thoughts to the fullest and did not hesitate to make critical remarks. She formed an accepting relationship with a man through a post-sexual encounter and further developed her survival strategy by turning the concubines she received from men into symbolic capital. She followed her own ethical code to integrate into her patriarchal family and strived to preserve her own sexual autonomy and realize her free will. She revealed her self-consciousness by reflecting on her life as a non-mainstream person through the language allowed to her. Kim Sang-jip approached gisaeng as a fragmented subject and attempted to recover the voices and narratives of marginalized women. As a result, the complex identity of gisaeng can be confirmed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a subordinate subject as a historical subject can be discovered. Through the gisaeng in 『Bonjoyeosa』, we can get a personal look at the social roles of both pre-modern and modern gisae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하위주체의 역사적 재현
      • 3. 하위주체에 대한 역사적 재현의 의의
      • 4. 맺는 말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하위주체의 역사적 재현
      • 3. 하위주체에 대한 역사적 재현의 의의
      • 4. 맺는 말
      • 부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