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고전 읽기 교육에서 사회적 독서를 실현할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여 연결과 확장의 사유를 실천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을 구안하는 것이다. 개인적(정서적・지식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고전 읽기 교육에서 사회적 독서를 실현할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여 연결과 확장의 사유를 실천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을 구안하는 것이다. 개인적(정서적・지식습...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고전 읽기 교육에서 사회적 독서를 실현할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여 연결과 확장의 사유를 실천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을 구안하는 것이다. 개인적(정서적・지식습득)으로 읽는 독서를 사회적 독서(함께 읽고 쓰고 토론하고 나누는) 중심으로 전환하는「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문화체육관광부, 2019)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이에 입각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대학 교양교육 수업에 적용한 교육 효과를 제언하였다.
사회적 독서의 가치를 함양할 수 있도록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Co-op, Co-op)을 적용하여 수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다른 구성원과 상호작용하여 협업하는 것이 자율적 협동학습이 추구하는 가치이며사회적 독서가 책을 읽으며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활동이라는 측면에서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은 사회적 독서 지향의 고전 읽기 수업을 진행하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과정이다. 학습자들은 학습활동을 통해 읽기태도가 향상되었으며, 함께 소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 간 상호능력이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독서 경험의 확장은 학습자의 다양한 정서를 확장할 수 있는매개로 기능하여 자신, 타인, 공동체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나아가 개인적 읽기에서 함께 읽기로의 전환・확장은 담론을 형성하는 대화적 읽기의 장을 재구성하며 학습자의 내재적 독서 동기를 유발하고 독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맥락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수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teaching-learning process that can practice the idea of connection and expansion by examining ways to realize social reading in university classical reading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teaching-learning process that can practice the idea of connection and expansion by examining ways to realize social reading in university classical reading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3rd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Reading Culture" that converts reading to social reading, a teaching model based on this was developed and the educational effect applied to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lasses was suggested.
In order to cultivate the value of social reading, a class program was presented by applying an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terms of interacting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members is the value pursued by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and social reading is an activity that interacts with others while reading books, the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conducting social reading-oriented classical reading classes.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reading attitudes improved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d mutual abilities between learners improv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together.
This expansion of the reading experienc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neself, others, and communities by functioning as a medium to expand learners' various emotion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ition and expansion from personal reading to reading together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provide an educational context that can induce learners' intrinsic reading motivation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reading by reconstructing the field of conversational reading that forms discourse.
비판적 기호학 역량 증진을 위한 ‘맞춤형 인공지능 챗봇’ 활용 방안 : ChatGPT4.0(4o) 커스텀 기능을 활용한 교양교과 <생성형 AI와 인문예술의 만남> 수업 사례
PBL(Problem-Based Learning)을 활용한 AI 리터러시 교육 사례 연구 : 한양대학교 <인공지능의 철학> 과목의 주제 구성과 운영
SF 서사에 나타난 과학적 상상력과 인간탐구 : 김초엽의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를 중심으로
한자와 예술의 융합, <한자 디자인 공모전> 응모작이 교양한자 교육에 주는 시사점